[영화] 숨바꼭질: 계급 공포

01

며칠 전 영화 <숨바꼭질>을 봤다. 평은 그럭저럭. 범인이 밝혀지기 전까진 재밌었다. 범인이 밝혀진 다음엔 긴장감이 떨어졌고 평이했다. 하지만 이건 취향을 탈 듯.
*어쨌거나 스포일러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내가 기대한 범인은 트랜스젠더 형상이었다. 주인공이 형의 집에서 여성용 속옷을 발견했을 때, 나는 여성동거인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기보다 형이 여장을 하거나 트랜스젠더거나, 대충 그런 가능성을 기대했다. 이럴 때 트랜스젠더 형상을 어떻게 범죄 형상으로 재현하는지 궁금했다. 뭔가 꽤나 재밌거나 한없이 진부하거나, 뭐 그런 가능성을 떠올리면서.
아니었다. 범인은 이웃의 다른 사람이었고 범인을 추리하는 측면에선 그저그런 가능성이었다. 이 찰나, 좀 김이 빠졌다. 그렇다면 형의 방에 깨끗한 여성용 속옷이 있는 이유를 설명하기 힘들다. 범인이 일부러 가져다 두었다고 해도 그렇게 할 이유가 없다. 범인은 집이 중요하지 집에 거주하는 사람에게 어떤 혐의를 씌우는 덴 큰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 영화에서 주인공이 끝까지 살아야 하는 건 이해한다지만 그렇다고 이렇게 부실하게 처리하나, 싶기도 했다. 주인공이 공격 당하기 전까지, 범인은 사람을 죽인 다음 랩 혹은 비닐로 포장했다. 그래서 무기로 죽이진 못 해도 질식사는 시킬 수 있었다. 그런데 주인공을 공격한 다음엔 그냥 방치했다. 다른 시체와 함께 방에 방치했고, 그 방을 집 안에서 그리고 집 밖에서 열 수 없도록 하지도 않았다. 그냥 깨어나면 쉽게 나올 수 있도록 방치했다. 이전 행동 특징과 연결이 안 된다. 물론 억지로 합리화할 순 있다. 이를 테면 이전 피해자는 제대로 숨겨야 그 집을 차지할 수 있지만, 주인공은 전혀 다른 동네에 살기에 대충 처리해도 된다는 것. 억지로 이해하려면 할 순 있지만 글쎄…
02
그렇다고 영화를 다 보고 아까웠냐면 그렇지 않았다. 꽤나 흥미로운 텍스트다. 집을 가진 자의 공포가 적나라하게 드러났기 때문이다.
영화에서 피해자 혹은 주인공 집단은, 동네를 정확하게 알 순 없지만 상당히 넓고 고급스런 집을 소유하고 있으며 카페를 운영하며 경제적으로 윤택하다. 가해자 혹은 범인은 매우 가난한 동네에 살고 있으며 마땅한 집을 소유하고 있지 않다. 이 정도면 쉽게 포착할 수 있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주택 문제가 영화의 배경이다. 어떤 사람은 주택 1,000채를 소유하고 있지만 어떤 사람은 평생 살만한 집에서 살아보지도 못한다. 현재 한국의 주택공급율은 한 명이 한 채 이상 소유할 수 있다. 그럼에도 전세대란이다. 집값 잡는다고 쇼를 한다. 그래, 쇼를 한다. 솔직하게 말해 주택정책을 결정하는 고위 공무원이 한국의 주택 문제를 제대로 처리할 의지가 있다고 여기지 않는다. 고위 공무원은 어느 정도 괜찮은 자가 주택이 있을 것이며 집값이 오르면 이득이다. 그들이 집값을 안정시키거나 낮춘다는 건 곧 스스로 자신에게 손해를 입히는 정책을 추진함과 같다. 전세대란과 주택문제를 해결할 방안이 없어서가 아니라 정책입안자 및 정책을 결정할 권한이 있는 자의 계급 이해가 해결할 수 없도록 한다고 의심한다.
안락하고 드넓은 집을 소유한 이들에게, 집이 없어서 작은 집이나마 구매하거나 전세로 살고자 하는 이들이 결코 좋게 보일리 없다. 자신의 집에 무단 점거했다가 월세를 제대로 안 내고 도망갈 수도 있고 집을 망가뜨릴 수도 있는 그런 부정적 존재로 보일 가능성이 크다. 어떤 임대인은 분명 전세 혹은 월세를 줬음에도 임차인의 집에 수시로 들락거리며 집의 상태를 확인한다. 임대인과 임차인은 결코 연대할 수 없다. 임대인에게 임차인은 탐욕스럽고 게으르고 또 공포스러운 존재일 수도 있다. 때때로 언제든 외국으로 이민갈 수도 있고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을 사는 집단에게 가난한 이들은 그저 공포의 대상이다. 영화는 바로 이 찰나를 다룬다. 계급 간의 갈등이 공포로, 호러로 변용되는 것이 아니다. 이미 한국에선 계급 간의 이미지가 공포고 호러다.
03
현재 살고 있는 집은 주거 밀집 지역이고 꽤나 깨끗한 편이다. 반면 이전에 살던 이태원의 보광동은 재개발을 앞둔 지역이었다. 도로는 있지만 자동차 두 대가 동시에 지나갈 수 없고 골목 사이로 또 골목이 있다. 처음 오는 택배기사는 자칫 엉뚱한 곳에서 헤매기 쉽다. 주택의 높낮이가 다 달라서 난 이층집의 이층에 있었는데 바로 옆집 삼층 옥상이 보였다. 하지만 자취를 하며 다양한 동네에 살았고 내겐 꽤나 괜찮은 곳이었다. 가장 괜찮은 동네라고는 할 수 없겠지만 그래도 상당히 괜찮은 동네였다. 과장해서 말하자면, 나로선 감지덕지였다.
이사하는 날, 이사를 돕는 직원분이 내게 말했다. 어떻게 이런 동네에서 살았느냐고. 처음엔 이사를 축하하는 단순한 인사인 줄 알았다. 아니었다. 어떻게 이런 동네에서 살았느냐는 말을 몇 번이고 반복했다. 그 찰나, 나는 살만하지 않은 공간에 사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것은 사는 지역이 계급을 만드는 찰나일 수도 있다.

영화는 주인공이 사는 동네의 정비된 모습과 주인공의 형, 범인이 사는 동네의 정리되지 않은 모습을 대조한다. 주인공의 시점에서 범인이 사는 지저분한 동네를 혐오스럽고 불결한 형태로 재현한다. 그런 불결하고 지저분한 동네에서, 나는 임대인의 문제만 제외하면 무척 즐겁게 살았다. 다른 말로, 보광동에 살던 시절의 나는, 영화에서 재현하는 계급 혐오 시선의 대상이기도 하다. 범인과 나는 동일한 피사체다.


04
동네의 안전, 거주 공간의 안전은 젠더화되지만 또한 계급화된다. 주인공이 사는 곳엔 주민이 무슨 항의만 해도 경비원, 안전요원 등이 여럿 달려오고 쩔쩔맨다. 곳곳에 CCTV가 있고 CCTV가 비추는 곳을 집안에서 확인할 수도 있다. 아마 경찰도 하루에 몇 번씩 순찰할 것이다. 하지만 범인이 사는 곳은 그렇지 않다. 사고가 나도 이를 알아차리는 사람이 별로 없고 그냥 사라졌나보다 하고 만다. 가까운 경찰서 역시 없는 듯하다. 어떤 위험 사고가 발생할 때 바로 부를 경비원이나 안전요원도 없다. 계급이 안전을 담보한다.
이태원 일대의 한남동과 보광동은 붙어 있는 지역이고 경찰의 순찰이 잦은 지역이다. 하지만 각 지역을 순찰하는 목적은 다르다고 느낀다. 한남동을 순찰할 땐 거주자의 재산과 안전을 보호할 목적일 것이다. 보광동을 순찰할 땐 위험한 거주민을 감찰할 목적일 것이다. 결과적으로 같은 효과를 낸다고 해도 그 의미와 뉘앙스는 다르다.
영화 도입에, 여성역 인물이 동네가 얼마나 위험한지 알려줬다. 이것은 젠더화된 불안이다. 남성역 인물에겐 그럭저럭 살 수 있는 공간이지만 여성역 인물에겐 그럴 수 없다는 뜻에서 그렇다. 하지만 이것은 계급화된 불안이기도 하다. 여성역 인물은, 애인에게 이 동네에서 벗어나 괜찮은 동네에서 살 수 있도록 해달라고 얘기한다. 그 말은 안전을 젠더로만 설명할 수 없으며 지역, 계급과 얽혀 있음을 암시한다.
05
동네의 위험을 알려주는 상징으로 외국인 거주자를 등장시키는 장면은 정말 불쾌했다. 외국인 혐오, 외국인 공포가 노골적으로 드러나는 찰나다. 많은 외국인이 집값이 싼 곳을 찾다보니 영화가 재현하는 가난한 동네에 머물곤 한다. 그런데 이 영화는 지나가는 외국인을 통해 동네의 계급과 공포를 동시에 드러내고 있다.
06
이 영화의 가장 큰 공포는 영화에서 다루는 다양한 공포 요소를 전혀 성찰하지 않는다는 데 있다.

일상: 부산, 공간, 성매매, 글쓰기

지난 토요일은 무려 당일로 부산에 갔다 왔습니다. 장례식이 아니면 이성애혈연가족에게 무슨 일이 생겨도 안 가는 부산인데, 무려 학회일로 갔다 왔습니다. 으하하. 아침 일찍 기차를 타고 갔다가 늦은 밤 기차를 타고 돌아왔더니 일요일은 헤롱헤롱. @_@ 일요일엔 그동안 참여를 못한 세미나에 참가했는데, 역시 새로운 자극은 삶을 풍성하게 만들어요. 즐거웠죠.

요즘 관심이 지역 혹은 특정 공간이다 보니, 부산의 어느 역 주변도 유심히 살피는 자신을 깨달았습니다. 왜 역 주변엔 성매매 공간이 형성되는 걸까요? 이번 이태원 포럼이 끝나면 좀 더 체계적이고 폭넓은 공부를 해야겠다는 다짐을 했지요. 하지만 만날 하는 다짐 또 한다고 뭐가 달라질까요? 흐흐. ㅠ_ㅠ

암튼 교통요지와 성매매 공간, 유흥업소 밀집의 상관관계를 다룬 논문을 아시면, 한 수 가르침 부탁할 게요. 외국 논문 중에 짧게 언급한 글을 읽긴 했지만, 한국에선 어떤 양상을 띠고 있는지 궁금해서요. 누군가가 연구를 했을 것 같기도 하고, 아직 안 했을 거 같기도 한데, 행여나 아직 안 했다면 누군가가 꼭 했으면 좋겠어요. 매우 흥미로운 주제니까요.

어제가 마감이었던 원고는 아직 안 내고 있습니다. 담당자께서 9월 말까지라도 내면 된다는 말에 이번 주까지는 어떻게든 마무리하려고 애쓰고 있는데 쉽지 않네요. 사실 원고 마감을 안 지킨 게 이번이 처음이라 안절부절 못 하고 있어요. 암튼 다음 원고를 쓰기 위해서라도 이번 주엔 꼭 마무리를 지어야죠. 그나저나 허접한 내용으로 원고를 늦게 내는 것만큼 부끄럽고 미안한 일도 없는데. ;ㅅ;

이번에 쓴 글의 자세한 주제는 다음에, 일단 원고를 넘기고 나서 시간이 좀 지나면 그때 대충 얘기할 게요. 이곳을 찾는 분들은 흥미로워할 법한 내용이니까요. 키워드는 간단합니다. 이태원, 트랜스젠더, 그리고 역사/흔적.

주절주절: 연애의 악순환, 성매매지역, 왼손목

01
ㄴ은 ㄱ을 좋아하는데, ㄱ은 ㄴ을 좋아하지 않는다.
ㄷ은 ㄴ을 좋아하는데, ㄴ은 ㄷ을 좋아하지 않는다.
ㄹ은 ….
슬픔의 악순환이라니.

02
같은 지역을 비슷한 시간에 지나다니면 은밀히 혹은 공공연히 이루어지는 일들을 알 수 있다. 나처럼 주변에 무관심한 인간도 알 수 있을 정도면 상당히 노골적인 일인지도 모른다. 그나마 나의 관심 주제이기도 해서 이제라도 깨달은 것인지도 모르고. 나의 관심 주제가 아니었다면 여전히 몰랐겠지.

어딘지는 밝힐 수 없지만(하지만 아는 사람은 다 알고 있다는;;) 내가 주로 다니는 곳에서 공공연히 성매매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걸 깨달은 건 두어 달 전. 첨엔 무심했는데, 어느 순간 ‘혹시…’라며 의심했고, 그 다음엔 확신했다. 방식은 핸드폰과 자동차를 이용하고 있든 듯. 자세한 설명은 성매매의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니 생략. 하지만 핸드폰과 자동차란 단어만으로도 알 수 있는 사람은 알 수 있겠지.

내가 관심을 갖고 연구하는 지역이 아니라 연구할 의사가 없지만 누군가가 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은 있다. 트랜스젠더도 있는 듯해서 공동연구를 해도 재밌을 것 같다. 다만 한동안 더 이상의 자폭은 하지 않기로 했으니 참아야지. 지금으로 충분하니까. 흑.

03
한 사람의 일생은 왼손의 손목에서 빛난다. 희게 바랜 세월 속에서 환하고 또 아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