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온뒤무지개재단, 트랜스젠더

어제 저녁, 비온뒤무지개재단 창립총회가 있었다. 2012년 말부터 논의를 시작해서 얼추 1년하고도 몇 개월의 시간이 더 지났고 이렇게 창립총회를 열었다. 감격이기도 하지만 즐거운 자리였다. 퀴어 이슈로, LGBT 이슈로 재단을 만드는 날이 오다니! 2006년부터 활동을 했으니 활동에 참여한 시간은 얼마 안 되지만 그래도 퀴어 이슈에 집중하는 재단이 생긴다니 정말 기쁜 일이다.
그리고 뭔가 즐거운 기분이었다. 이건 다른 이유에서였다. 재단 창립총회에 참여한 어떤 사람의 면면이 그랬다. 트랜스젠더 이슈와 직접 관련 있는 사람이 많았다. 행사 진행에 적극 참여한 사람 중 트랜스젠더가 많았고 귀한 발언을 하신 분 중엔 트랜스젠더의 부모가 있었다. 혹은 트랜스젠더 활동가도 있었다. 그리고 자리에 참석해 즐겁게 축하를 한 사람 중에도 트랜스젠더가 여러 명이었다. 그러니까 ‘우리는 모두 트랜스젠더 이슈에 관련있어’라는 수준이 아니라 트랜스젠더 이슈를 직접 그리고 적극 고민하는 사람이 많았다.
활동을 시작한 2006년, 그리고 차별금지법 이슈가 크게 터진 2007년 말부터 2008년 초까지엔 이런 분위기가 아니었다. 트랜스젠더이건 아니건 상관없이 트랜스젠더 활동가는 소수였다. 활동판에 트랜스젠더의 존재 자체를 드러내야 하는 일이 주요 이슈일까 싶기도 했다. 그리고 시간이 흘렀다. 2014년 지금, 적어도 재단 창립 행사엔 과거에 비해 확실히 트랜스젠더에 직접 관련 있는 사람이 많았다. 반 이상은 아닐 것이다. 상관없다. 그저 이런 풍경이 즐겁고 또 기뻤다. 이런 풍경이, 비온뒤무지개재단 행사여서 가능할 수도 있다. 다른 단체에서도 이런 풍경일 수도 있다. 어느 쪽이건 상관없다.
세상은 정말 내가 인식하지 못 하는 속도로 변하고 있다.

트랜스젠더 삶의 조각보 만들기 기획단을 모집합니다.

트랜스젠더 삶의 조각보 만들기 프로젝트에서 새로운 기획단을 모집한다고 합니다. 트랜스젠더 이슈에 관심 있는 분, 혹은 퀴어 이슈와 관련한 활동에 관심 있는 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트랜스젠더 삶의 조각보 만들기 기획단을 모집합니다.    
트랜스젠더 삶의 조각보만들기 기획단 모집!
트랜스젠더 삶의 조각보만들기 프로젝트는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에서 아름다운 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하고 있는 3년으로 계획된 트랜스젠더 인권 향상을 위한  프로젝트입니다. 3년 후에는 최종적으로 독립적인 트랜스젠더 인권단체 창립의 토대를 구축하는 걸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13년 조각보에서는 자료조사와 인식조사, 인터뷰를 해왔고, 2014년에는 2년차 프로젝트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그래서 모집합니다!!
<(가)커뮤니티팀 팀원 모집!>
조각보 기획단에는현재 자료조사팀과 인터뷰팀이 구성되어 있으며,  2014년에는 (가)커뮤니티팀의 팀원을 새로이 모집합니다.
하는 일은? 
트랜스젠더의 일상에서 서로 축하할 일과 위로할 일을 키워드로 4번의 축하/위로 행사 자리를 마련합니다.
거리로 나가 트랜스젠더의 삶과 인권을 외치고, 조각보를 홍보하는 대중 캠페인을 3회 이상 진행합니다.
이 외에도 트랜스젠더 이슈와 관련된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더하여 커뮤니티 구성 및 활성화와 관련된 여러 일을 기획하실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을 찾나요?
새로운 행사를 기획하거나 관련하여 아이디어가 넘치시는 분을 환영합니다
캠페인을 해본 경험이 있거나 즐겁게 할 수 있으면 더욱 좋습니다.
매달 월 1~2회 회의 참여가 가능해야 합니다.
1월 18~19일에는 1박 일정의 오리엔테이션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이 자리에 꼭 참석하셔야 합니다.
무엇보다!!
사람간의 소통에 관심이 있는 분이면 좋구요!
트랜스젠더 인권과 관련해 관심이 있는 분을 환영합니다.:)
언제까지 신청할까요?
지금 당장부터 1월 8일까지 jogakbo1315@naver.com으로 첨부된 신청서를 작성해보내주세요
발표는?
1월 9일에 개별통보 합니다.
문의 사항은?
jogakbo1315@naver.com으로 해주세요~
그럼 우리 꼭 만나요!

2013년 퀴어운동 정리..

2013년을 떠올리면 중요한 몇 가지 이슈가 떠오르네요.
봄 즈음 ftm/트랜스남성이 외부성기재구성 수술 없이 성별정정이 허가된 이슈가 컸죠. 이 판결은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았고 한 번 더(혹은 그 이상?) 나왔다고 기억합니다. 2013년의 트랜스젠더 이슈 중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가 아닐까 합니다.
하지만 저는 이 판결보다 혹은 이 판결만큼 ‘트랜스젠더 삶의 조각보 만들기’ 사업(www.transgender.or.kr)을 중요하게 평가하고 싶습니다. 트랜스젠더인권활동단체 지렁이가 해소한 이후 트랜스젠더 이슈에 집중하는 단체가 없었습니다. 트랜스젠더 이슈에 집중해야 할 사건은 여럿 있었고요. 그래서 각 사건에 대응하기 힘들 때가 많았습니다. 물론 온라인 카페 같은 곳에선 다양한 형태의 인권모임이 있지만 오프라인 기반으론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그 와중에 KSCRC가 기획하여, 트랜스젠더 인권 단체를 만들기 위한 초석으로 등장한 조각보는 정말 중요한 성과입니다. 남은 2년도 멋지게 진행해서 트랜스젠더 단체가 발족하면 좋겠습니다.
퀴어 이슈 전반으로 고민을 확장하면, 바이모임의 조직을 들겠습니다. 예전부터 바이/양성애 이슈로 다양한 논쟁과 논란이 있었음에도 2013년에야 본격 바이 모임이 조직되었습니다. 중요한 일일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기대가 상당해요. 2014년도 흥미로운 활동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마포레인보우주민연대의 활동도 놀라웠어요. 마포구청과의 현수막 사건과 이후의 진행 상황은 정말 멋져요!
안타까운 일도 있는데 퀴어문화축제와 서울LGBT영화제 사이의 일입니다. 안타깝다기보단 화가 나는 일이라고 해야 할까요? 개인의 권력욕(으로 표현하기엔 충분하지 않습니다)이 운동에 어떤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 확인한 순간이죠. 이미 한 번 말했지만 전 퀴어문화축제와 함께 하는 서울LGBT필름페스티벌엔 참가해도 서울LGBT영화제엔 참가하지 않으려 합니다.
아, 그리고 2013년에 트랜스/젠더/퀴어연구소를 만들었네요.. 아하하. 조만간 또 다른 소식을 전해드리겠습니다. 후후.
2014년엔 또 어떤 일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까요?
+
행여나 해서 첨언하면, 순전히 제가 떠올리는 2013년입니다. 다른 사람은 전혀 다르게 기억할 거예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