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 혹은 트랜스젠더(이 두 용어는 상당히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인 루인은, 글을 쓸 때마다 이 두 용어 중 적어도 하나 정도는 거의 항상 사용하기 마련이다. 한국 사회에서 트랜스 혹은 트랜스젠더는 하리수를 매개하여 상상하기 마련이라, 그렇게 어려운 의미로 여기진 않은 듯 하다. 하리수의 등장은 트랜스젠더라는 용어를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익숙하게 했고, 자신을 어떻게 불러야 할지 몰랐던 트랜스 혹은 트랜스젠더들에게 자신을 부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중요하지만, “트랜스젠더는 곧 하리수”라는 한계를 만들기도 했다. 모든 트랜스 혹은 트랜스젠더가 호르몬투여나 수술을 하는 건 아니지만 수술 혹은 최소한 호르몬투여는 해야 “진짜 트랜스젠더”가 될 수 있다는 식의 기준을 만든 것이다. 물론 하리수가 이것을 의도한 건 아니며, 하리수와 트랜스젠더를 소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이다.
루인은 글을 쓸 때마다 젠더, 성별이분법, 성별, 섹슈얼리티와 같은 용어들을 남발하는 경향이 있는데, 트랜스젠더라는 용어는 익숙해도 젠더와 같은 용어들은 그렇게 익숙한 용어들이 아니다. 이는 수학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들이 위상수학을 모를 가능성만큼이나 당연하다(수학 전공자도 잘 모르는데;;;). 젠더와 같은 말들은 여성학, 페미니즘 혹은 젠더스터디를 배우지 않는다면 평생 모른 체 살아갈 수 있는 용어들이고, 사실 이런 말을 모른다고 해서 삶을 설명하지 못하는 것도 아니다.
글을 쓸 때마다 젠더 혹은 성별과 같은 용어들을 사용하지 않고도 그것을 충분히 설명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을 품는다. (루인은 “남녀”나 “여남”과 같은 용어들은 별로 안 좋아하고, 종종 부적절할 수 있는 용어/언어로 여긴다.) 그리고 이런 용어들을 사용하지 않고도 설명하는 글이나 작가야 말로 정말 똑똑하다고 느낀다. 지적 컴플렉스가 심한 루인은 글이나 말을 통해 루인의 무식이 드러나면 어쩌나 하는 불안에 떠는 편인데, 그래서 소위 “어려운 용어”라고 불리는 단어들을 사용하길 꺼린다. 그런 용어들을 사용하는 건 자신의 똑똑함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무식을 드러내는 것임을 알기 때문이다. 이래저래 안절부절 못하는 셈이다.
바로 이런 이유로 루인의 글과 말은 언제나 소통 불능의 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루인은 루인이 아는 건 상대방도 당연히 알 거라고 믿고 루인이 사용하는 맥락 정도는 상대방이 당연히 짐작할 거라고 여긴다. 루인이 가장 무식하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당연히 이건 말도 안 되는 가정이다. 말도 안 되는 가정임을 알면서도 항상 이렇게 가정하고 얘기를 한다.
몇 달 이상, 정기적으로 루인을 만나며 루인의 언어 습관에 익숙한 사람들은, 루인이 어떤 낯선 자리에서 인터뷰나 그 무엇을 하러 갈 때면, 농담처럼 “어렵게 말하지 말라”는 요지의 말을 한다. 그러면 루인은 슬쩍 부아가 치미는데, 이는 “왜 상대방을 무시하나”라는 몸앓이 때문이다. 루인이 어렵게 말하지도 않거니와 상대방은 당연히 루인이 아는 정도의 앎은 있을 거라고 믿기 때문이다. 물론 이런 믿음은 만나는 자리에 도착하고 얘기를 시작하는 순간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음을 깨닫는다.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루인은 두 가지 갈등을 하는데, 루인은 말과 글을 어렵게 하지 않는다고 주장해야 할 뿐만 아니라 어렵다고 얘기하는 언어나 문장을 구사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을 동시에 드러내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런 갈등은 지식을 통해 권력을 획득하려는 목적으로 말을 배배꼬아서 사용하는 것과 익숙하지 않던 언어와 상상력으로 얘기를 하기에 발생하는 것은 다르다는 식으로 풀어갈 수도 있다. 하지만 이것과는 미묘하게 다른 지금의 고민은 지금까지의 인식과는 달라서 “어렵다”고 여길 법한 내용을 어떻게 “쉽게” 소통할 것인가, 이다.
언제 즈음, ‘쉽게’ 말하고 글을 쓸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