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정말 비가 많이 온다. 밖에 나가기가 두려울 정도.
옥탑방, 玄牝은 이렇게 비가 내릴 때마다 물이 샌다. ㅡ_ㅡ;; 화장실 천장에선 물이 똑똑 떨어지고 싱크대가 있는 쪽에도 천장에서 물이 똑똑 떨어진다. 비가 많이 내린 날이면 바닥이 흥건할 정도다. 방은 물이 새지 않아 다행이다. 책이 젖으면 정말 속상할 테니까. 하지만 방바닥이 습해 조금 불안하다. 바닥에 쌓은 책들 중 가장 아래에 있는 책들이 상할까 걱정이다.
나름 재밌다면 재밌고 신기하다면 신기하게도 이런 곳에서 얼추 5년을 살았다. 슬슬 이사를 준비해야 할 때다. 이번에도 학교 근처로 이사할지 아예 다른 동네로 옮길지 고민하고 있다. 문제는 이삿짐을 싸는 일. 이삿짐 싸는 데 적어도 일주일에서 한 달은 걸릴 텐데 박스는 어디서 구하며 짐을 싼 박스는 어디에 쌓아두지? ㅡ_ㅡ;; 참 대책 없이 살았다. ;;
02
며칠 전부터 이 얘길 쓸까 말까 고민했는데, 그냥 쓰기로 한다.
리퍼러로그를 확인하며 이곳 [Run To 루인]에 들어온 검색어를 확인하다가 깜짝 놀랐다. 검색어는 "숨책 직원" … 헉;;;;;;;;;;;;;

링크를 따라 가면 결과물이 총 8개인데 그 중 4개가 이곳이다. … 혹시 제가 뭐 잘못한 게 있나요? -0- 흐흐. (저 검색어로 검색한 분이 날 찾았는지 다른 사람을 찾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이 리퍼러로그를 확인하고 글을 쓸까 말까를 망설인 이유는, 이 검색어로 검색한 분이 다시 이곳에 올 가능성 때문이다. 다시 이곳을 찾을 때 이 글을 본다면 좀 그렇지 않을까 싶어서 망설였다. 하지만 짧게 언급하기로 한 이유는 검색어 자체가 무척 재밌기 때문이다.
"숨책 직원"이란 검색어를 확인하는 순간, 내가 사는 세상은 검색창과 검색어로 이어진 세계란 걸 새삼 깨달았다. 컴퓨터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순간부터 검색과 링크로 이어지는 세상. 무언가를 찾기 위해선 일단 검색부터 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인터넷이 되지 않아 검색을 할 수 없으면 안절부절 못 하고 답답함을 느끼고. 이런 생활이 몸에 배다 보니,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에도 내 몸은 인터넷을 떠돌고 있다는 느낌이 들 때가 많다. 검색기능이 없는 인터넷은 어떤 모습일지 상상이 잘 안 되고.
언젠간 모든 것이 검색창으로 통하고 그 결과가 개인의 앎을 좌우하는 시대가 오겠지? 뭐, 지금도 어느 정도 그렇긴 하지만. 그래서일까? 몇몇 인터넷 업체가 검색기술에 그토록 공을 들이는 이유가.
03
02의 이야기와 비슷하다면 비슷하고 다르다면 다른 얘긴.
구글에서 내년에 OS를 출시한다는 소식을 듣고, 기어이 하는구나 싶었다. 자신의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모든 걸 웹으로 해결하는 OS라는 건 꽤나 매력적이다. 아직도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곳이 많고, 접속해도 연결이 불안한 곳이 많지만, 인터넷에 접속만 할 수 있다면 무척 편할 거 같다. 이메일을 확인하듯 문서를 비롯한 각종 작업을 확인할 수 있을 테니까. 부산에 갈 때 굳이 후치(노트북)를 챙기지 않아도 될 거 같고. 물론 부산집엔 컴퓨터 자체가 없어 후치를 챙겨야 하지만.;;;
무엇보다 컴퓨터 사양이 높을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확실히 매력적이다. 이런 프로그램이 나올 때마다 나스타샤(데스크탑)의 생명을 연장하는 기분이고. 흐흐. 그래서 기다리는 OS가 있는데, Cloud 1.0이다. 이 역시 모든 걸 웹으로 해결하는 OS란다. 나스타샤와 놀 때 사용하는 기능은 이메일 확인, 웹서핑 정도란 점에서 잘 맞을 거 같다. 아울러 윈도처럼 고사양의 컴퓨터에서 작동하는 OS가 나오는 와중에도 이렇게 저사양의 컴퓨터에서도 작동하는 OS가 나와 다행이다.
정말 비가 많이 온다. 밖에 나가기가 두려울 정도.
옥탑방, 玄牝은 이렇게 비가 내릴 때마다 물이 샌다. ㅡ_ㅡ;; 화장실 천장에선 물이 똑똑 떨어지고 싱크대가 있는 쪽에도 천장에서 물이 똑똑 떨어진다. 비가 많이 내린 날이면 바닥이 흥건할 정도다. 방은 물이 새지 않아 다행이다. 책이 젖으면 정말 속상할 테니까. 하지만 방바닥이 습해 조금 불안하다. 바닥에 쌓은 책들 중 가장 아래에 있는 책들이 상할까 걱정이다.
나름 재밌다면 재밌고 신기하다면 신기하게도 이런 곳에서 얼추 5년을 살았다. 슬슬 이사를 준비해야 할 때다. 이번에도 학교 근처로 이사할지 아예 다른 동네로 옮길지 고민하고 있다. 문제는 이삿짐을 싸는 일. 이삿짐 싸는 데 적어도 일주일에서 한 달은 걸릴 텐데 박스는 어디서 구하며 짐을 싼 박스는 어디에 쌓아두지? ㅡ_ㅡ;; 참 대책 없이 살았다. ;;
02
며칠 전부터 이 얘길 쓸까 말까 고민했는데, 그냥 쓰기로 한다.
리퍼러로그를 확인하며 이곳 [Run To 루인]에 들어온 검색어를 확인하다가 깜짝 놀랐다. 검색어는 "숨책 직원" … 헉;;;;;;;;;;;;;

링크를 따라 가면 결과물이 총 8개인데 그 중 4개가 이곳이다. … 혹시 제가 뭐 잘못한 게 있나요? -0- 흐흐. (저 검색어로 검색한 분이 날 찾았는지 다른 사람을 찾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이 리퍼러로그를 확인하고 글을 쓸까 말까를 망설인 이유는, 이 검색어로 검색한 분이 다시 이곳에 올 가능성 때문이다. 다시 이곳을 찾을 때 이 글을 본다면 좀 그렇지 않을까 싶어서 망설였다. 하지만 짧게 언급하기로 한 이유는 검색어 자체가 무척 재밌기 때문이다.
"숨책 직원"이란 검색어를 확인하는 순간, 내가 사는 세상은 검색창과 검색어로 이어진 세계란 걸 새삼 깨달았다. 컴퓨터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순간부터 검색과 링크로 이어지는 세상. 무언가를 찾기 위해선 일단 검색부터 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인터넷이 되지 않아 검색을 할 수 없으면 안절부절 못 하고 답답함을 느끼고. 이런 생활이 몸에 배다 보니,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에도 내 몸은 인터넷을 떠돌고 있다는 느낌이 들 때가 많다. 검색기능이 없는 인터넷은 어떤 모습일지 상상이 잘 안 되고.
언젠간 모든 것이 검색창으로 통하고 그 결과가 개인의 앎을 좌우하는 시대가 오겠지? 뭐, 지금도 어느 정도 그렇긴 하지만. 그래서일까? 몇몇 인터넷 업체가 검색기술에 그토록 공을 들이는 이유가.
03
02의 이야기와 비슷하다면 비슷하고 다르다면 다른 얘긴.
구글에서 내년에 OS를 출시한다는 소식을 듣고, 기어이 하는구나 싶었다. 자신의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모든 걸 웹으로 해결하는 OS라는 건 꽤나 매력적이다. 아직도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곳이 많고, 접속해도 연결이 불안한 곳이 많지만, 인터넷에 접속만 할 수 있다면 무척 편할 거 같다. 이메일을 확인하듯 문서를 비롯한 각종 작업을 확인할 수 있을 테니까. 부산에 갈 때 굳이 후치(노트북)를 챙기지 않아도 될 거 같고. 물론 부산집엔 컴퓨터 자체가 없어 후치를 챙겨야 하지만.;;;
무엇보다 컴퓨터 사양이 높을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확실히 매력적이다. 이런 프로그램이 나올 때마다 나스타샤(데스크탑)의 생명을 연장하는 기분이고. 흐흐. 그래서 기다리는 OS가 있는데, Cloud 1.0이다. 이 역시 모든 걸 웹으로 해결하는 OS란다. 나스타샤와 놀 때 사용하는 기능은 이메일 확인, 웹서핑 정도란 점에서 잘 맞을 거 같다. 아울러 윈도처럼 고사양의 컴퓨터에서 작동하는 OS가 나오는 와중에도 이렇게 저사양의 컴퓨터에서도 작동하는 OS가 나와 다행이다.
Trackback URL : http://runtoruin.com/trackback/1521
참, 책 옮기는데 손잡이가 있는 점도 편리하더군요. 보통 박스나 끝으로 묶으면 들때 힘들거나 손가락이 아프잖아요. ^^
이불싸거나 옷싸는 큰 비닐은 저도 몇 개 있어요. 다른 분들에게도 빌릴 수 있을 거에요. ^^
아니 이렇게 좋은 아이디어가 있다니 너무너무 고마워요!!
정말 비닐로 책 포장을 할 수 있단 상상을 못 했거든요. 항상 박스를 구해야 한다는 스트레스와, 박스에 혹시나 물이 들어갈까봐 조바심이었고요. 근데 비닐로 싼다면 훨씬 편하겠어요. 묶으면 한 번에 들기에도 편하고 옮기기도 편하고요. 으하하. 너무 고마워요!!
근데... 환불은 너무 좋은데 과연 제가 할 수 있을까가 고민이에요... 흑흑.
무사히 지내는 거죠? ㅎㅎ
참, 저는요 절대로 포장이사 강추에요!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와서 포장해서 옮겨주고 풀러주는데, 정말 반해버렸어요. 물론 정리는 다시 해야하지만.
저도 포장이사를 고민했지만 책과 CD 때문에 무척 망설이고 있어요. 아무래도 책을 너무 싫어할 테니까요. 그때까지 책을 어느 정도 처분해서 삼천 권 정도 남았다 치고, 포장이사 측에 "책 삼천 권" "뚜- 뚜-" "여.. 여보세요? 여보세요?"가 되지 않을까 싶어요.. 흐흐... ㅜ_ㅜ
암튼 고마워요! :)
전 검색어에 '광흥창에 위치한 도서관'이 있더라구요. 내가 그런 걸 썼는지 기억도 안 나는데-ㅅ-;;
웹브라우저 기반으로 모든 프로그램이 돌아간다면, 제 데이터는 제가 끌어다 쓸 수 있는 거지, 제가 지니고 다니는게 아니게 되잖아요-
물론 그래서 단말의 성능이 낮은 장점도 있지만요.
근데 몇 년 전, 2년 정도 모은 자료들을 USB에 보관하다가 한 번에 날린 경험에 어느 쪽도 믿을 수 없는 상황이랄까요? 오프라인 저장장치와 온라인 저장장치를 모두 사용하고 있긴 한데, 역시 아날로그가 최고란 고민도 해요. 흐흐. ;;;
아 그리고 며칠 전 Dropbox란 서비스를 실험삼아 사용했는데 한계가 많더라고요. ubuntu one을 분양받았지만 우분투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 Dropbox도 실험삼아 사용한 거랄까요? 흐흐. 저 역시 아직은 웹하드나 웹을 중심으로한 컴퓨팅이 불안해서 그냥 보조장치 정도로만 사용하고 있어요. 흐흐.
인형이나 신발이나 자그마한 것 들은 은근 슬쩍 집어가더라구요.
동생 생일선물이었던 인형을 이삿짐센터 아저씨가 자기 딸 주고싶다고 달라고 요구하길래 안된다고 했더니, 아무말 안하고 집어가 버렸더군요. 엄마가 아끼던 구두 한켤레도 사라지고.
그 이후로는 사람을 잘 못 믿는 경향이 있죠 ㅎㅎ
아끼는 물건들인데 슬쩍하다니.. 정말 기분도 나쁘고 속상하고...
사실 저도 그런 걱정을 안 하는 건 아니에요. 물론 가져갈 물건이 없다는 점에서 걱정하는 거 자체가 좀 웃기지만요.. 흐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