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강후기-_-;

지난 특강 후기. -_-;;

특강이 있는 수업 수강생들은, 특강을 듣고, 또 다른 문화제 행사에 참가한 후 뒷풀이를 했다고 한다. 그 자리에서 특강을 들은 사람들이, 수업 선생님에게 질문을 하길, “강사로 온 분, 트랜스젠더예요? 아니에요?”

트랜스젠더의 몸은 트랜스젠더로 드러나는 순간 운동의 장이 된다는 말처럼, 트랜스젠더 운동에서 가장 효과적이면서도 역설적인 방법은, 커밍아웃이다. 특히 나의 경우가 더욱 그러하다. 몇 가지 이유에서 인데, 트랜스젠더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한정되어 있고, 자신의 주변엔 없을 거란 가정이 너무 강해서 ‘나'(루인)처럼 생긴 사람은 트랜스젠더가 아닐 거라고 간주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특히나 mtf/트랜스여성의 경우, 하리수를 매개로한 전형적인 이미지가 너무 강해서 트랜스젠더 혹은 트랜스여성은 무조건 “여성스럽게 생긴 사람”이라고 가정한다. 그렇기에 나, 내 몸의 드러냄, 내가 트랜스젠더라고 말하는 건 그 자체로, 하나의 운동이다. 물론 이건 나만의 경우가 아니라 모든 트랜스젠더들에게, 본인들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해당하는 일이고. 그리하여 몸 자체를 다시 고민하게 하는 계기를 만들 수 있다.

특강 시간에 웃을 일이 있었는데, 손으로 입을 가리고 웃었나보다. 다른 어떤 내용보다도 이 사건이 몇몇 사람들에게 인상적이었던 듯. 이 일화를 가지고 몇몇 사람들이 선생님에게, 강사(이자 같은 학교에 다니는 사람-_-;;)가 트랜스젠더이다, 아니다, 트랜스젠더이면 mtf다, ftm이다, 란 고민을 나눴다고 한다. 수업시간엔 “차마 못 물었다”고 “물어보면 상처가 될 것 같았다”면서. (왜, 차마 못 물어볼, 물으면 상처가 될 내용이라고 믿은 걸까?)

시간 운영의 미숙으로, 시간이 좀 부족해서 사람들이 충분히 인식할 만큼은 아니어도 알아들을 만한 사람들은 알아들을 수 있게 커밍아웃을 했다. 하지만 그 말은 전달이 안 되었고, 행위만 남았다. 그리고 그 행위는 “여성스러우니 mtf다”와 “ftm인데 아직 여성스러운 행동의 습관이 남아 있는 것이다”란 헷갈림을 유발했다고 한다. 재밌는 일이다. (한 시간 진행하는 특강에선, 이 정도의 헷갈림을 유발하는 것만으로도 어느 정도 효과는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긴 하다.) 손으로 입을 가리고 웃는 행위와 트랜스젠더 활동가란 것이 겹치면서 이런 헷갈림을 유발한다는 것. 물론 선생님은 그 자리에서 직접 답해주지 않았다며 어떻게 할까를 물으셨다. 난 당연히 mtf/트랜스젠더라고 말해도 상관없다고 했다. 다른 학교였으면 선생님도 그냥 말했을 테지만, 내가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곳이라 일단 내게 먼저 물은 것.

학교 내에서 특강을 하며 내가 트랜스란 걸 말하는 데 고민이 없었다면 거짓말이다. 그럼에도 말해야겠다고 한 건, 좀 답답해서였다. 학과 사무실엔(여러 번 말했듯)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Transsexual이 적힌 포스터가 있는데, 최근엔 이 포스터를 보고 지나가는 사람들이 “있을 수도 있지.”라고 했다. 난 이 말이 고민이었는데, “재수 없다.”라거나 “혐오스럽다.”란 말보다, “있을 수 있지.”란 말이 더 문제라고 느꼈다. ‘쿨’한 척하지만, 그래서 혐오하지는 않고 상대를 부인하지는 않는 것 같지만, 사실 이 말은 존재를 부인하는 말과 같다. 있을 수 있다는 건, 세상에 존재는 하지만 내 주위에는 없다는 말, 나와 같이 수업을 듣는 사람 중에는 없다는 말, 내가 다니는 학교라는 공간에는 없다는 의미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있을 수 있지.”란 말은 에둘러서 존재를 부인하는 격이다. 이런 일상적인 반응이 싫어서, 강의를 듣는 사람들에게 나를 인지시키고 싶은 욕심이 있었다. 트랜스젠더들, 트랜스젠더 이슈와 관련한 저변이 너무 없는 상황이기에 가능한 욕심이기도 하고.

하지만, 이런 욕심은 언제나 단지 나 한 명에게만 모든 의문과 질문이 집중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많다. 강의를 할 때, 때로 트랜스젠더란 용어를 꺼내지 않고 말하고 싶은 욕심이 있는데, 트랜스젠더란 말을 꺼내는 순간 모든 건 트랜스젠더란 용어에 수렴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직장에서 누군가가 페미니스트로 “찍히면”, 그 사람의 모든 말이 페미니즘으로 수렴되듯. 아울러 내가 트랜스젠더라고 말하면, 나를 매개로 주변 사람들을 인식하고 고민하는 방식을 바꾸기보다 ‘나’ 한 사람이 트랜스젠더이냐, 아니냐의 여부에만 집중한다. 아무리 자기 자신과 주변 사람들을 인식하는 방법이 바뀌어야 한다고 말해도, 결국 강사가 트랜스젠더이냐 아니냐가 중요한 셈이다. 존재 드러내기의 장점이자 단점이겠지.

이건 무수한 비난을 각오한 욕심인데, 미국의 어느 유명한 감독이 자신을 트랜스젠더라고 말했으면 좋겠다. 그렇다고 해서 뭐가 달라지겠느냐만.

15 thoughts on “특강후기-_-;

  1. 핑백: Run To 루인
  2. 유명감독 누구요? ^^ 저한테도 참 복잡한 마음이 있어요. 그렇게 쉽게 구획짓는 게 싫고, ‘레즈비언’이라는 단어도 맘에 별로 안들고, 내 삶의 다른 부분들이 그 단어 하나에 다 묻히는 거 같아서 가끔 스스로를 ‘모호하게’ 만드는 게 낫다고 생각하기도 하지만, 또 어떤 때는 (주로 다른 유명인을 향해서는) 저 사람이 자기가 레즈비언이라고 공적인 자리에서 말해줬음 좋겠다, 그런 마음이 들 때가 있어요. 하긴, 근데 생각해 보니 ‘내가 레즈비언이다’라는 직접적 표현보다는 자기 여자친구/파트너 이름을 얘기하면서 사랑을 표현하거나 책을 헌정하거나 뭐 이렇게 은근하고 자연스럽게 아웃하는 사람을 볼 때 참 고맙고 좋고요. 저는 신시아 인로를 보면서 (희끗희끗한 머리의 60대중반쯤 되어보이시는 국제정치학자) 저 분이 레즈비언이라서 참 고맙다, 그런 생각을 한 적이 있어요. 그리고 제 모교의 한 중견교수님 커플도 꼭 퇴임하시기 전에 아웃 좀 해주시면 레즈비언 복지에 참 도움되겠다, 이런 소망도 가지고 있고요. ^^

    1. 헤헤. 정말 그래요. 은근하고 자연스럽게 커밍아웃하는 사람들이 참 좋아요.
      인로는 몇 해 전, 한국에서 했던 세계여성학대회에서 얼핏 봤는데, 아, 그 포스가 무척 인상적이었어요. 흐흐.

      그 감독은 소문이 무성했던(무성한?), 워쇼스키요. 그냥 추측과 억측만 가능할 뿐이지만요.. ;;;

  3. 흠. 전에 어느 모임에서 뵈었던 분을 요새 학교에서 자주 보고 있어요. 그런데 그 분에 대한 설명은 들은 적이 없어서 ‘그냥 남성’일까, ‘FTM’일까 하고 생각하고 있죠. (MTF일 수도 있고.) 흐흐.
    어쨌든 특강 부럽네요. 우리 학교는 전혀 생각할 수도 없는 일이랄까?

    1. 사람을 특정 성별로 확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상상하며 관계를 맺을 수 있다는 게 좋은 거 같아요. 헤헤.
      특강은 불러만 주시면 어디라도… -_-;; 흐

  4. 어떤 사람을 생각할 때 꼭 여성 혹은 남성 둘 중 하나로 지정하고 나서야 그 사람의 정체성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다는 게 재밌기도 하고 웃기기도 하고, 그래요. 블로그를 한지 얼마 안 됐을 때 이웃 중의 한 분을 여럿이서 남자라고 잘못 생각하고 있었던 해프닝이라면 해프닝이 문득 떠올랐어요..ㅋㅋㅋ

    1. 크크크. 왕자님 말하는 거죠? 푸흐흐흐흐흐
      그때 정말 재밌었어요. 흐흐.
      사람과 관계 맺을 때, 고민할 사항이 얼마나 많은데, 성별을 우선한다는 건 참 웃기고도 정말 곤혹스러워요.

    2. 태어나서 자라면서까지 남녀를 구분짓고 규정하는 교육을 받아서 그런 거 같아요.
      살면서 다양성을 받아들이려고 하지만, 근저에 깔린 의식은 잘 안바뀌는 거 같네요.

    3. 오랜 시간 몸에 익은 습관을 바꾸는 건 정말 쉽지 않아요. 그래서 강의 같은 거 나갈 때면, 그냥 관련해서 고민을 할 계기를 주는 것만으로 성공했다고 평가해요. 시간을 두고 변하는 거니까요. 헤헤

  5. 저는 한국의 모 연예인을 보며 저 정도 위치라면 좀 더 과격한 발언과 행동을 해줬으면 하고 기대한 적이 있는데 안 하더라구요; (딴 소리)

    1. 정말 그럴 때가 많아요. 저 정도 위치면 좀 확실하게 의사 표현을 해줘도 좋을 텐데, 안 해서 아쉬울 때가 많아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