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큘라』 : 드라큘라가 영국에서 하는 말

01
이처럼 흥미로운 텍스트는 참 오랜 만이다. 『드라큘라』 얘기다. 만약 내가 이 책으로 수업을 할 수 있다면, 한 달 동안 이 책을 분석하면서 다양한 이야기를 할 거 같다. 젠더 역할, 섹슈얼리티, 식민주의, 기독교와 근대 과학, 사실과 허구의 관계, 일기와 ‘경험’ 등등. 물론 나는 이런 주제들로 수업을 진행할 능력이 안 된다. 『드라큘라』라는 책이 가진 풍부한 내용이 이런 다양한 주제로 얘기할 거리를 제공한다는 의미일 뿐.

02
한동안 나는 ‘이 책이 기독교 선교문학인가?’ 했다. 이국의 관습을 (부정적인 의미의)미신으로 치부하고, 기독교로 타파하는 이 책의 내용은 유럽의 제국주의가 기독교를 앞세웠다는 사실을 환기한다.

이 책을 읽는 초기엔 잠시 헷갈렸다. 『드라큘라』가 나온 19세기 후반이면, 세상을 판단하고 해석하는 기준이 신에게서 인간 이성으로 이동했던 시기다. 19세기 초에 나온 『프랑켄슈타인』은 신이 아니라 인간이 새로운 생명을 창조하고자 하는, 인간으로서 신이 되거나 신과 동격이고자 하는 욕망을 드러낸다. 근대는 비합리적인 종교와 합리적인 과학이란 이분법의 세계이기도 했다. 그러니 스스로를 합리적인 이성으로 자부하는 『드라큘라』의 등장인물들이 기독교의 전통에 따라 드라큘라를 퇴치하는 행동에 잠시 당황했다.

난 망각하고 있었다. 서구가 비서구 지역을 침략하고 식민지로 만들 때, 비서구 지역에 가장 먼저 들어가고 식민지 지배를 정당하게 만드는데 가장 큰 역할을 했던 것이 기독교 선교였다는 것을. 기독교 혹은 서구의 어떤 종교와 서구의 과학은 대립관계가 아니다. 적어도 비서구 지역에서 기독교는 서구의 과학과 ‘진보,’ ‘문명’을 상징한다. 『드라큘라』는 기독교와 과학이, 이국의 문화를 폄하할 때 얼마나 잘 영합하는지를 분명하게 보여주는 텍스트다.

03.
난 드라큘라가 성적 욕망을 상징한다고 느꼈다. 흡혈 욕망은 또한 성적 욕망이다. 이 소설에서 이 둘은 거의 동의어다. 근데 이런 논의는 이미 너무도 많이 진행되고 있다더라. 책 말미에 옮긴이의 설명이 있는데, 읽지는 않았지만 몇 장에 걸쳐 설명하고 있는 걸 보면서 흡혈 욕망과 성적 욕망의 관계를 얘기할 의욕을 잃어버렸다. 흐흐.

04-1
『프랑켄슈타인』을 읽었을 때, 내가 가장 좋아한 부분은, 샤무니 언덕에서 괴물/창조물이 그를 창조한 프랑켄슈타인에게 자신의 얘기를 하는 부분이다. 괴물/창조물이 프랑켄슈타인을 다시 만나기까지 겪었던 얘기를 하는 부분, “주변을 둘러봐도 나와 같은 존재는 보지도 듣지도 못했소. 그렇다면 나는, 보기만 해도 모든 인간이 달아나고 외면하는 이 세상의 오점, 괴물이란 말인가”와 같은 말을 하는 부분이다. 물론 이 모든 말은 프랑켄슈타인의 기록을 통해 전해진다는 점에서 괴물의 말은 또한 프랑켄슈타인의 해석이다. 그럼에도 괴물의 말은 텍스트의 한 가운데 위치하고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면 『드라큘라』에서 드라큘라의 말은 극히 적다. 초반에 조금 나올 뿐이다. 『프랑켄슈타인』처럼 다른 화자들의 해석을 거친다는 점은 말할 것도 없고. 『드라큘라』를 계속해서 읽어나가며 뭔지 모를 갑갑함을 느꼈던 것도 이 때문임을 뒤늦게 깨달았다. 나는 드라큘라의 말을 듣고 싶었지만, 『드라큘라』에서 드라큘라의 말은 없다.

04-2
어느 강의에서 들은 내용. 미국에서 인종차별은 노골적으로 이루어지기 보다는 은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고 했다. 백인이 아닌 것으로 여겨지는 사람이 강당에서 발표를 하면, 아무리 영어를 잘해도, 미국에서 태어나 자란 사람의 영어라 해도, 백인 청중들은 못 알아듣겠다는 식으로 반응한다고.

조금은 다른 방식으로 나는 이와 유사한 경험을 했다. 서울에 온 초기에 난 부산사투리를 쓰지 않기 위해 노력해야 했다. 적어도 미디어가 전시하는 비서울지역 사투리는 낯섦, 이질감, 코미디/웃음거리, ‘촌스러움’을 상징했다. 실제 서울사투리가 아닌 억양은 언제나 낯설고 이질적인 분위기를 만들었다. 종종 ‘못 알아듣겠다.’는 반응도 들은 적 있다. (나의 발음이 부정확하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긴 하다. 흐흐.)

이런 나의 경험을 일반적인 것으로 설명할 순 없다. 다만 ‘다른 억양,’ ‘다른 언어'(일례로, 부추와 전구지처럼)는 그러한 억양과 언어를 사용하는 이를 이방인으로 만드는 경향은 있다. 그래서일까? 드라큘라가 여러 화자 중 한 명인 조너선 하커와 얘기를 나누는 자리에서, 영국식 영어를 완벽하게 구사하고 싶다고, 영국 사람들과 얘기를 나누는 과정에서 “어, 외국인이잖아!”란 반응을 듣고 싶지 않다고 말하는 부분이 너무 와 닿았다. 이 부분은 내가 이 책에서 처음으로 밑줄을 그은 부분이기도 하다.

드라큘라의 목소리를 전해주는 부분은 이 책에서 크게 두 곳 정도다. 첫 번째는 드라큘라가 고향에 있을 때다. 조너선 하커는 드라큘라의 고향에서 드라큘라와 만나는데, 이 공간에서 드라큘라는 자신의 얘기를 참 많이 한다. 이렇게 많은 얘기를 하는 드라큘라가 영국으로 간 순간부터는, 더 정확하게는 작품의 배경이 영국으로 바뀐 순간부터는 한 마디도 하지 않는다. 영국에서 드라큘라는 실체가 없다. 그저 부연 안개처럼 어렴풋이 존재할 뿐이다. 그의 존재와 모든 행동은 묘사될 뿐이다. 그는 자신의 고민을, 자신의 행동을 직접 말할 수 있는 기회를 갖지 못 한다.

그의 말은 책 후반부에 다시 한 번 등장한다. 하지만 그의 말은 그의 입을 통해서 등장하지 않는다. 미나 하커의 입을 매개한다. 그것도 드라큘라가 미나 하커의 피를 빤 이후, 드라큘라가 미나 하커를 자신의 동반자이자 조력자로 정한 이후부터다. 미나 하커가 드라큘라와 유사한 종족으로 변한 이후부터, 미나 하커는 드라큘라의 말을 전할 수 있다. 미나 하커는 드라큘라와 유사 종족이면서 영국인이기도 하단 점에서, 결국 드라큘라는 이국의 땅에서 결코 자신의 언어를 직접 발화할 수 없다.

나는 이런 모습들을 읽으며 드라큘라를 이주민, 이방인의 모습으로 이해했다. 아무리 능숙하게 그 나라의 언어를 구사해도 결국 외국인이라 어색하거나 대단할 뿐이란 반응을 접할 수밖에 없는 존재. 그래서인지도 모른다. 드라큘라가 자신의 고향에서 영국으로, 영국에서 고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움을 받는 존재들은 각 지역에서 가장 비천한 존재들이다. 지역 사회에서 가장 반감을 많이 사는 존재들, 혹은 하층 일용직 노동자들만이 드라큘라를 돕거나 그에게 고용된다. 드라큘라를 추적하는 이들이 의사나 변호사, 귀족과 같은 상류층임은 말할 것도 없고.

어쩌면 이런 상황, 이방인은 이국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없는 상황이 드라큘라가 영국에서 하는 말인지도 모르고.

05
『프랑켄슈타인』(1818/1831)-『드라큘라』(1897)-『투명인간』(1897)의 연결고리를 찾는 작업도 재밌을 듯. 흐흐.

7 thoughts on “『드라큘라』 : 드라큘라가 영국에서 하는 말

    1. 언제 시간 나면 한 번 읽어보셔요. 정말 재밌게 해석할 수 있는 부분들이 많아요. 흐흐.

    1. 와, 소식 고마워요. 근데 이런 후속작들은 기대하지 않는 게 좋은 거 같아요. 아마 내년 즈음에야 번역되어서 나오겠죠? 흐흐.

  1. 오..
    뜸금없지만, -_-;
    우석훈 씨의 생태요괴전에 나오는 요괴들이 떠올라요..
    프랑켄슈타인, 드라큘라…
    좀비도 있었는데..
    좀비는 활자화된 소설이 있을려나..–;

    1. 좀비도 찾으면 나오지 않을까요? 흐흐.
      예전에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인가 하는 영화에 등장하는 좀비는 흑인을 비롯한 비백인들을 상징해서, 이 영화가 인종차별을 얘기하고 있다는 글을 읽은 적이 있어요. 참… 그러고보면 드라큘라도 어떤 의미에선 좀비… -_-;;; 흐흐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