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쓰고 나서 깨달았는데, 이 글은 블로깅을 해야 한다는 강박이 만든 산물이니 두서가 없어도 그러려니 하셨으면 합니다. -_-;;;
어젠 얼결에 논문 한 편을 단숨에 읽어버렸다. ‘얼결’인 건, 원래는 이틀에 걸쳐 나눠 읽을 계획이었는데 읽다보니 탄력이 붙어 몇 시간 만에 다 읽었기 때문이다. ‘단숨’에 읽을 수 있었던 건 읽기 수월한 문장이었기 때문이다. 분량도 짧고 내용은 무척 흥미로운데 읽기 어려운 글이 있기 마련인데, 어제 읽은 글은 수월했다. 저자는 카트리나 로엔(Katrina Roen)이고 제목은 “‘But We Have to Do Something’: Surgical ‘Correction’ of Atypical Genitalia.”
이 글이 실린 잡지의 특집은 작년 말 내게 어떤 좌절을 안겨준 내용이기도 하다. 젠더의 의료적 구성, 의료기술과 체화와 관련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데 그 내용이 내 논문의 내용과 상당히 겹쳤기 때문이다. 내 논문의 본문을 다 쓰고 나서야 이 특집을 알게 되었고, 심지어 작년 초에 발간한 내용이란 점에서 ‘논문을 접어야 하나’ 나름 진지하게 고민하기도 했다.
(작년에도 썼지만, 논문 쓰는 과정에서 한숨 돌리고, 최근 경향 확인을 위한 키워드 검색 겸 좋아하는 저자의 스토킹을 위한 검색 과정에서 찾은 거였다. 좀 더 일찍 찾았다면 어땠을까 싶지만, 이미 늦은 걸.)
아무려나, 이 특집은 논문이 끝나면 읽기로 했기에 요즘 읽고 있는데 로엔의 글도 그 중 한 편이다. 내용은 “‘하지만 우린 뭔가를 해야 한다’: 비전형적인 성기에 대한 외과수술 ‘교정'”이란 제목을 통해 얼추 추측할 수 있다. 외과의학에선 간성(intersex people)으로 태어난 이들의 외부성기 형태를 ‘여성’ 혹은 ‘남성’의 외부성기 형태에 적합하도록 모형을 바꾸는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개인은 규범적인 존재로서 ‘여성’ 아니면 ‘남성’으로만 살 수 있고, 둘 중 하나의 젠더로만 인지되기에 다른 어떤 젠더로 사는 건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의료기술은 이런 인식을 토대로 비규범적인 성기형태를 ‘교정’하여 규범적인 존재로 개인을 (재)생산한다.
문제는 외부성기형태재구성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간성들에게 ‘좋은가’, 수술 이후 합병증은 없는가,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건, 간성 본인은 이 수술을 원하는가란 질문을 탐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간성 수술(외부성기형태재구성수술)은 아이가 아주 어릴 때, 대체로 출생 후 18개월(혹은 2년) 이내에 이루어지기 마련이라 간성의 의견은 전적으로 부정된다. 수술은 부모의 동의를 얻어 이루어지지만, 수술을 하지 않으면 아이가 일찍 죽을 것이다, 동성애자가 될 것이다, 간성으로 살면 불행할 것이다와 같은 식으로 말하며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편이라 한다(Peter Hegarty in conversation with Cheryl Chase. “Intersex Activism, Feminism and Psychology: Opening a Dialogue on Theory, Research and Clinic Practice.” Feminism & Psychology 10.1 (2000)).
수술의 경과가 좋은가란 문제에서도 정확하게 조사된 바 없다. 어릴 때 수술을 경험한 간성활동가들은 수술이 간성들에게 더 커다란 불행과 고통을 초래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의료담론은 이들의 주장을 신경 쓰지 않을 뿐더러 더 많은 간성들이 부정적인 효과를 증언하지 않으니 수술은 긍정적이라고 가정한다. 현대 사회에서 간성이 부정적이거나 무언가 문제가 있는 존재로 인지되기에 자신이 간성이란 사실을 밝히지 않는 맥락을 무시한 가정이다. 침묵은 곧 긍정이라고 이해한 셈이다.
수술이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일단 수술을 하는데, 그럼 도대체 왜? 로엔의 논문 제목이기도 한데, 수술을 하는 건 어쨌든 무언가를 하는 것으로서 간성을 돕는 실천이며, 수술을 하지 않는 건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정말로 수술을 해야 하는 것인지, 수술의 결과가 좋은 것인지, 간성 자신이 수술을 원하는지에 상관없이 무언가(외과수술을 통한 외부성기형태재구성수술)를 하는 것이 의사로서 ‘윤리’이자 ‘의무’인 셈이다. 그렇기에 수술 후에 간성들이 경험하는 후유증, 합병증 등은 공적으로 은폐되기 마련이다. 태어난 직후에 이루어진 수술로 의사로서의 의무는 다 한 셈이다.
로엔의 글은 이와 관련해서 좀 더 파고들진 않는다. 그의 글이 기존의 문헌 재검토를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로엔의 글이 지닌 특징이기도 하다. 로엔을 비판하기엔 난 더 심하니 이런 지적은 무안하지만, 로엔의 글은 종종 무언가를 말할 즈음 끝나거나 너무 익숙한 얘기를 하는 경향이 있다. (나부터 절대적으로 반성해야 한다!)
나의 관심은 ‘하지만 우리는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의사로서의 윤리 혹은 의무감이었다. 현재 의료 체계에서 간성은 문제가 있는 존재로 다루어지고 있기에, 태어난 아이가 간성이라면 ‘치료’를 해야 한다고 의사는 느낄 것이다. ‘치료’가 정말 옳다고 믿기에 시행하는 의사도 있을 테고. 어떤 실천이 상대에게 좋은 건지, 아닌 건지를 떠나 일단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의무감, 사명감이 빚어낸 비극일 수도 있다. 어쨌거나 내겐 옳은 것이기에 실행했는데 그것이 상대방에겐 치명적인 것일 때 발생하는 비극. 그래서 고민 없는 신념과 무지는 무서운 것이다.
(푸른기와집에 있는 누군가를 통해서도 쉽게 알 수 있잖은가. -_-;)
요즘 배려라는 것, 선물이란 것과 관련해서 이런 저런 고민을 하다 보니, 이 논문의 제목이 유난히 더 끌렸는지 모른다. 가끔씩 배려란 상대방의 전반적인 상황을 고민하는 것이라기 보단, 내가 상대방에게 관심 있는 부분만 고민하며 때때로 정말로 고민해야 할 부분은 간과하는 것이라고 중얼거리기도 하고. 배려라는 것만큼 어려운 것도 없는 것 같아. 그래서일까, “우리는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인용구절을 읽으며 ‘이 무식한!’이라고 중얼거렸기보단, 안쓰러운 느낌이 먼저 들었다. 아무 것도 하지 않거나(이것 자체도 어떤 실천이긴 하지만) 시기를 놓치면 큰일이 생길 거란 불안이 있을 테다. 기존의 관행은 이런 불안을 더 부추길 테니 외과수술이 어떤 효과를 낳을 것인가를 고민은 뒷전일 수도 있겠다 싶다.
그렇다고 외부성기형태재구성수술에 동의하는 건 결코 아니다. 간성 이슈가 트랜스젠더 이슈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이 지점이다. 개인의 젠더를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의사들이 결정하는 의료체계, 모든 개인을 ‘여성’ 아니면 ‘남성’으로 환원하는 실천들, ‘여성’ 아니면 ‘남성’에 적합한 신체 형태(피부 표면)가 있다는 논의들은 트랜스/젠더 이슈에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니까. 그래서 간성 관련 글을 읽다보면 덩달아 나도 화가 나고, 때때로 분기탱천한다. 물론 나의 논리를 위해 간성을 동원하고 있는 건 아닐까 싶어 조심스러울 때도 많고.
나도 어제 블로깅 압박 때문에 책 포스팅을 했는데ㅋㅋ
의료담론은 진짜 있는 자들의 것이라는 생각을 종종 하죠. 예전에 여성의료에 대한 책을 읽었을 때도 어이가 없었어요. 여성에게 필요한 부분은 연구 자체가 안 되니.
모든 개인을 여성이나 남성으로 환원하는 것이 너무 싫고 그 경계를 흔들거나 지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면서도, 블로깅을 할 때 나도 모르게 저 블로거 남자일까, 여자일까를 집요하게 파악하고 있는 나를 발견하고 놀람-ㅅ-;;;;(아마도 남자를 꺼리기 때문에;;;)
블로그의 글을 통해 드러나는 성별은 참 재밌는 영역 같아요. 문장에도 젠더가 드러난다는 의미랄까요.. 그래서 예기치 못 한 결과가 나오는 것 같고, 때때로 좀 더 편해지는 거 같고요.. 흐
젠더에 생물학적으로 결정되는 어떤 본질이 있다고 생각을 넘어설 수 없는 사람들이 너무 많은 것 같아요. 안 그래도 어젯밤에 트렌스젠더 아이들에 대한 얘기가 나오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듣고 있었는데, 그 부모가 그러더라고요. 남자의 몸으로 태어났지만 스스로를 여자라고 생각하는 아이 얘기였는데, 주변에서 여자처럼 옷을 입도록 내버려두니까 아이가 그러는 것 아니냐고. 생물학적으로는 남자아이니까 뭔가 남성적인 본질이 어디 숨어있긴 할 텐데 그저 유별나게 구느라고 자신이 여자라고 주장한다는 식으로. 듣고 있는 제가 다 답답하고 화나더라고요;;
앗, 어떤 라디오프로그램이에요?.. 라고 물으려고 보니, 미국이란 사실을 깜빡했어요. 흐흐흐. ;;;
환경이건 양육이건 어떻게든 인과관계를 만들어 내려는 노력들은, 안 쓰러움과 분노를 동시에 유발하는 거 같아요.
http://thisamericanlife.org/Radio_Episode.aspx?sched=1283 요 날 방송 두번째 에피소드였어요 ^^;;
와! 고마워요. 다운로드 받았어요. 흐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