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고백>을 봤습니다. 다 본 후 이런 저런 고민을 하다, 문득 미야베 미유키의 소설 <모방범>과 닮았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소설 구조, 범죄 형식, 범인의 스타일 등 <모방범> 영향을 많이 받았단 느낌입니다. 둘 중 어느 작품이 더 좋으냐라는 단순한 질문을 하신다면, 비등합니다. 하나는 소설이고, 하나는 영화니 비교가 안 되고요. 하지만 캐릭터 설정에선 <모방범>이 더 좋아요. 캐릭터 설정에서 미미 여사는 등장인물의 다양한 면을 설명합니다. 등장인물이 생동감 있죠. 영화 <고백>의 등장인물에겐 반전이 중심입니다. 그것도 인물의 반전이 아니라 사건의 반전이요. 인물의 성격은 다소 단조로워요. 그래서 미미 여사의 등장인물은 등장인물이 소설을 끌어가는 느낌이라면, <고백>의 등장인물은 장기판의 말과 같은 느낌입니다.뭐, 그래도 <고백>이란 영화 자체의 매력이 상당합니다. 제가 좋아하는 어떤 코드가 여럿 있고요.
<모방범>과 <고백>을 읽으며 가해자의 성격이 흥미로웠습니다. 더 정확하게는 두 소설에서 나타나는 일본 남성의 남성성과 어머니란 존재를 고민했습니다. <모방범>의 두 가해자 중 한 명은 자신의 어머니를 혐오합니다. 자신의 어머니가 자신이 아니라 죽은 누나만을 찾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 혐오는 어머니에게 인정 받고 싶은 욕망의 변주입니다. 뻔한 이야기죠. 또 다른 가해자 역시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는 사람들에게 인정 받기 위해 자신의 어머니를 죽이고, 또 여러 여성을 죽입니다. <고백>의 가해자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가해자는 자신을 떠난 어머니에게 주목 받고 싶어서, 인정 받고 싶어서 안달입니다. 살아 있는 동물을 죽이고선 이를 전시하는 식이죠. 혹은 이런 저런 발명품을 만들기도 합니다. 그러며 어머니-여성에게 인정 받고 싶어합니다. 자신이 천재라고 믿는 가해자가 하나 같이 자신의 어머니-여성에게 인정 받기 위해 애걸복걸하는 모습이죠. 여성혐오와 여성에게 인정 받고 싶고 칭찬 받고 싶어하는 욕망은 결국 같은 얼굴입니다. 이 얼굴은 참으로 찌질하고요. 이것이 어쩌면 지금 일본에서 나타나고 있는 남성성의 한 양상인 걸까 하는 고민을 잠시 했습니다.
물론 이런 찌질함은 일본만의 특징은 아니겠지요. 한국에선 더 익숙한 모습입니다. 이를테면 병역의무에 목숨거는 모습이죠. 군대 경험을 자랑스럽게 혹은 성역으로 얘기하는 모습을 접할 때마다, ‘얼마나 내세울 것이 없으면…’이란 느낌이 너무 강하게 들어요. 다른 말로, 한국 사회에서 남성 간의 계급 차이를 무마하는데 군대는 참으로 강력한 도구입니다. 계급으로 자신의 남성성을 증명할 수 없을 때, 선택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하고 적법한 방법은 군대 뿐이란 거겠죠. (+변방의 독립 블로그는 이런 글을 써도 아무 문제 없습니다. 케케. -_-;; )
각설하고, 소설 <모방범>과 영화 <고백>은 여러 모로 흥미로워요. 물론 <모방범>을 두 번 읽을 일은 없을 겁니다. 1,600쪽에 달하는 책을 다시 읽을 엄두가 안 난달까요. 크크. ;;; 하지만 한 번은 읽어도 좋아요. 정말 재밌거든요.
<고백>은 영화가 더 낫다고 들었어요. 책은 정말로 인물이 평면적이거든요. 전 미미 여사의 소설을 훨씬 더 좋아해요.
리뷰를 찾으니, 영화가 더 잘 만들었다고 하더라고요. 하지만 미미 여사의 힘이란!
참, 모방범 안 읽었으면 빌려드릴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