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연휴로 본가에 가면 읽을 거리를 몇 개 챙겨간다. 물론 거의 못 읽는데, 명절 준비로 분주해서 읽을 시간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번엔 욕심 내지 않고 조금만 챙겼다. 그 중 두 가지만 읽어도 좋겠다고 싶었는데… 그 두 가지를 다 읽었다. 시간이 남아 낮잠도 푹 잤다. 어쩐 일인지 이번 연휴엔 시간이 좀 남았다. 이유는 대략 짐작할 수 있지만 다음 명절도 지내봐야 확실할 듯하다. 감정은 복잡하지만 아무려나 다행이다.
02
자아와 관련해서 내가 지나치게 어렵게 혹은 정신분석학적 강박으로 고민하고 있는 걸까 싶다(정신분석학을 공부한 적은 없다). KSCRC 겨울 아카데미 강좌로 스트레스가 상당하고 강의 준비는 조금도 안 된 상황이라, 체계적으로 잠수 탈 계획을 세웠다. 그날 급한 일이 생긴다거나, 다른 행성의 존재가 나타나 나를 데려간다거나, 갑자기 공간 이동을 하면서 고양이 왕국의 집사로 취직한다거나(하앍하앍), 마야력 계산 오류로 이제야 지구가 멸망한다거나, 전 우주에 42라고 외치는 소리가 들리면서 모두가 더 이상 강의 같은 건 들을 필요가 없어진다거나.. 뭐, 이렇게 체계적이고 충분히 납득할 수 있으며 매우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가능성을 염두에 두면서 잠수를 타야지 했다. 후후. 그런데 이런 저런 책을 읽다가, 내가 ‘자아’를 너무 어렵게 혹은 지나치게 낯선 개념으로 접근했구나 싶었다. 이제 이런 부담은 좀 줄었는데, 여전히 뭘 강의해야 할지는 모르겠다. 크크. ㅠㅠㅠ
03
mtf 트랜스젠더/트랜스여성/성전환여성을 인터뷰한 사회복지학 논문(http://goo.gl/l7bDl 백형의, 배은경, 안은미, 권지성 “성전환여성(MTF)의 생애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을 읽었는데.. 내용은 둘째 치고 참고문헌에서 당황했다. 왜 이렇게 엉성하게 문헌조사를 한 것이냐! 물론 트랜스젠더 이슈가 전공이라고 소심하고 수줍게 쫑알거리는 내가 검색할 수 있는 참고문헌과 트랜스젠더 이슈에 낯설 수도 있는 사람이 검색하고 선별할 수 있는 참고문헌에 차이가 있다고 해도, 이건 좀 너무한다 싶다. 논문 검색 사이트에서 ‘트랜스젠더’와 ‘성전환’만 입력해도 나올 논문이 대거 누락되었다. 아울러 기존 연구 문헌 검토에서 인용하거나 논해야 할 법한 문헌이 빠져 있거나 제 위치를 점하지 않고 있다. 이를 테면 한채윤이 용어를 정리한 부분은 각주로 처리되고 본문에선 다뤄지지 않는다. 나영정의 논문은 다루지만 김준우의 논문은 누락되었다. <젠더의 채널을 돌려라>나 <3xFTM> 역시 빠져 있다. 이 두 권만 읽었어도 용어 정리를 전혀 다르게 할 수 있었을 텐데. 아니면 운조의 글만 읽었어도 달랐을 텐데 누락되었다. 나는 이것을 누락되었다고 판단하는데 읽었지만 인용하기 애매해서 언급을 안 했다고 해석하기엔 논문의 논지와 관점이.. 흠… 끄응…;;; 2012년에 나온 논문인데 ‘기본적’으로 언급해야 할 논문이 너무 많이 누락되었다(여기서 ‘기본’은 본 논문에서 언급한 논문과 동일 선상에서 같이 언급해야 하는 논문을 뜻한다). 오히려 아주 오래 전에 나온 의학 논문이 중요한 수준에서 다뤄지고 있다. 외국 논문도 1982년에 나온 논문을 적극 인용하고 있는데 이건 좀 심하다 싶다. 정말 황당한 건 참고문헌 작성에 있다.
성전환자 인권실태조사 기획단. 2006. “성전환자 인권실태 조사.” 국가인권보호위원회.
국가인권보호위원회는 어디냐? 이런 단체가 존재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이런 단체와 함께 작업한 적 없거든!! 이 기록물을 어디서 봤기에 이런 식으로 작성한 걸까?
이론적 분석 없이 인터뷰 내용을 정리하고 재배치한 수준이라 논문이라고 부를 수 있을지 고민이지만(학제마다 논문 형식이 다르단 점에서 이런 판단은 조심스럽다) 이와는 별도로 문제가 많은 논문이다. 그럼에도 불만을 쉽게 표현하기도 어려운데 사회복지학 학제에서 트랜스젠더와 관련한 최초의 논문(이라고 연구자는 주장한다, 근데 틀린 말도 아니란 게 함정 ㅠㅠ)이란 점 때문이다. 어쨌거나 이런 시도 자체가 중요하단 점에서, 그 내용도 만족스러우면 좋겠지만 사회복지학에서 트랜스젠더 이슈를 고민하려는 시도가 있다는 점 자체도 의미가 있기 때문에 내용이 별로라고 마냥 무시할 수가 없다.
언제나 이런 점이 어렵다. 논문의 수준으로 판단하지 못 하고 사회적 맥락에서 논문을 평가해야 하는 상황에 속이 상한다. 그리고 이런 이유로 어려운 상황이 싫고 좀 화난다.
정신분석학 좋아요
상담 받고 있는데 하시는 분이 취리히에서 정신분석학 공부하셨던 분…
제가 받는 상담은 아직 정신분석은 아니지만요.
아직 공부 안 했다 , 라고 하셨다고 해도 .. 루인님은 뭔가 공부를 꼼꼼하게 하시는 거 같아서 그래도 훑은 게 얼마나 될까 ㅇㅁㅇ … 한 궁금증이.
논문을 ‘읽은’ 사람의 평가도 평가지만, 쓴 자신들은 도대체 왜 그런 글을 썼을까요.
돈이 급했나? 성과를 빨리 내야 했나? 도대체 왜 관련인도 안 찾아보고 검색어도 제대로 안 쳐 보고 교육이라는 거 받을 만큼 받은 사람들이 그럴까요. 그 심정을 이해하기가 어려운…
전 정말 공부를 안 해요.. 그래서 얼마나 훑는지 드릴 말이 없어요.. ;ㅅ;
논문 기획을 보면 그렇게 급한 것 같지도 않은 듯한데, 정말 왜 이렇게 서둘렀나 싶기도 해요. 그냥 좀 더 차분하고 천천히 했으면 더 좋았을 법한데 싶고요. 그런데 또 달리 고민하면 이런 방식이 사회복지학 분야의 한계일까 싶기도 해요. 학제마다 연구를 하고 논문을 쓰는 방식이 정말 다른데, 사회복지학에서 나온 다른 논문을 읽으며 분야의 한계가 아닐까란 고민을 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