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글
ㄱ 모두에게 완자가. 82화 “트렌스젠더에 대하여”에 대하여 https://www.runtoruin.com/2138
ㄴ ‘모두에게 완자가’에 대해 어제 쓴 글에 덧붙여서[약간 추가] https://www.runtoruin.com/2139
ㄷ 이것저것 잡담: 읽은 거, SNS, 구글플러스, 모두에게 완자가(모완), 무한도전-노홍철 https://www.runtoruin.com/2140
모두에게 완자가(모완)을 논하는 글을 썼을 때, ‘이 삐리리한 삐리리한 삐리리야’라고 쓸 수도 있었습니다. 어떤 분은 모완을 읽으며 너무 싫어서 다시는 읽지 않겠다고 다짐하셨을 수도 있고 어떤 분은 욕을 하며 비판하셨을 수도 있습니다. 사람마다 텍스트를 해석하는 방법은 다르며 각자의 맥락에 따라 이를 표현하는 방법도 다양하니까요. 트랜스젠더 이슈를 다룬 82화와 83화에 문제가 있은 표현이 상당하단 점에서 저 역시 “야이 삐리리야”라는 식으로 글을 쓸 수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전 그럴 수 없었습니다. 제 판단에 저는 그럴 위치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적어도 저는 그럴 수 없습니다. 제가 완자 작가보다 낫다고 얘기할 부분이 없거든요.
자신이 모르는 이슈, 열심히 고민하지 않은 이슈에 있어선 ‘누구나’ 미디어에서 재현하는 수준으로 얘기한다고 정희진 선생님께서 지적한 적 있습니다. 저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저는 모든 이슈에 아무런 문제 없이 얘기하지 않습니다. 그럴리가요. 어떤 이슈에서 저는, 저도 깨닫지 못하는 상태로 논쟁적이고 혐오발화일 수도 있는 말을 했을 겁니다. 제가 주로 염두에 두는 맥락에선 그럭저럭 나쁘지 않은 얘기를 한다고 해도 제가 염두에 두지 않은 맥락에선 문제가 될 발언이 상당합니다. 장애이슈에 있어선 어떤 ‘사건’를 일으키기도 했습니다. 지금 떠올려도 이불 속에서 하이킥을 하지 않을 수 없는 그런 일입니다. 제가 주로 글을 쓰고 제 전공이라고 얘기하는 트랜스젠더 이슈라고 예외일까요? 오히려 트랜스젠더 이슈에서 훨씬 더 논쟁적인 얘길 더 많이 했을 수도 있습니다. 트랜스젠더 이슈에서 제가 할 수 있는 얘기는 고작해야 제가 경험한 방식의 일부만 떠들 수 있을 뿐인 걸요. 저는 다른 트랜스젠더의 경험을 대표하지 않으며 다른 트랜스젠더의 경험을 대리하지 않습니다. 그저 제 경험과 역사만 말할 수 있을 뿐입니다. 저의 논의가 다른 트랜스젠더에겐 문제가 많고 혐오로 독해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모완에 관한 논평을 쓸 때, 그 잣대를 저에게도 들이댈 수 있는가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나는 얼마나 잘 할 수 있나? 자신없어요. 모완보다 더 잘 할 수 있다고도 자신할 수 없습니다. ‘너는 얼마나 잘 하나 보자’는 식으로, 타인을 비평하는 것 자체를 부정하는 게 아닙니다. 어떻게 비평할 것인가를 얘기하고 싶습니다. 트랜스젠더가 이 세상의 최대 약자, 최대 피해자라서 모든 언설을 판단하는 기준도 아닌데, 트랜스젠더 역시 다양한 권력을 지니고 있으며 혐오발화를 하는데 감히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겠어요. 더구나 각자의 맥락에서 얘기하자는 건, ‘나는 이게 싫어’라는 식으로 그냥 툭 내뱉자는 게 아니니까요. 나의 감정을 정치적으로 맥락화하자는 거죠. 밑도 끝도 없이 ‘그건 혐오야’, ‘그 말이 난 불편해’라고 말하는 건, 적어도 비평적 글쓰기엔 … [그냥 생략할 게요.]
물론 사람마다 다 다른 윤리가 있기에 제 글쓰기 윤리가 다른 사람에게도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진 않습니다. 그저 저는 이런 고민으로 글을 쓰려고 노력한다는 거죠. 제 기준에 제가 잘 부합하는 것도 아니고요.
어쩌면 제가 모완을 1화부터 계속 읽었기에 이렇게 판단한 것인지도 모릅니다. 만약 82화만 읽었다면 또 한 편의 트랜스혐오 텍스트가 나왔다며 “이 삐리리한”이라고 비판했을지도 모릅니다. 다행이라면 1화부터 읽었고 모완이란 작품의 흐름을 대충은 짐작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바로 이런 점에서 완자 작가는 자신의 무지를 통해 무지를 이야기하고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누군가 어떤 낯선 이슈를 얘기할 때면 다양한 전략을 취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테면 학부 <성과 사회>란 수업 조별 발표 자리에서, “저희 조는 트랜스젠더라는 (신기한)존재를 만났는데..” 운운할 수도 있죠. 혹은 “너네들 트랜스젠더 잘 모르지? 내가 어제 트랜스포머 아니 트랜스젠더를 만났는데 내가 가르쳐 줄게”라는 식으로 말할 수도 있습니다. 발언의 수위는 달라도 많은 경우 타인을 얘기할 때 이런 형식입니다. 말투만 조금 순화되었냐 아니냐의 차이지 내용에선 아무런 차이가 없는 그런 타자화 혹은 우아하지도 않은 혐오일 때가 많죠.
모완은 어떤가요? 조금만 세심하게 읽으면 완자 작가는 윤리적으로 그리기 위해 상당한 고민을 한 걸 짐직할 수 있습니다. 글에 나타난 문제적 표현을 잠시 덮어둘 수 있다면, 트랜스젠더 이슈에 접근하는 태도, 트랜스젠더 이슈를 얘기하려는 태도가 그러합니다. 자신이 안다고 말하지 않고 자신이 얼마나 모르는지 자신에게 어떤 무지가 있는지를 정확하게 드러내고 있습니다. 저는 이것이 작가의 바이 범주가 만든 성찰이지 않을까라고 추측합니다.
완자 작가는 야부와 7년 정도 파트너 관계를 맺어왔습니다. 이 시간이라면 자신을 그냥 레즈비언이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그 편이 설명하기 더 편할테고 사람들이 더 쉽게 받아들이니까요. 완자 작가가 자신을 바이라고 밝혔음에도 모완이 동성애 웹툰으로 이해되는 걸 보면 쉽게 짐작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제가 아는 어떤 분은 개별 관계에선 자신을 바이라고 얘기하면서 공적 자리에선 레즈비언이라고 밝히기도 했고요. 이것이 현재 바이 범주가 갖는 위치를 상징하지 않나 싶기도 합니다. 제가 특강에서 얘기할 때, 동성애나 트랜스젠더는 그래도 참조할 대상이 있어서인지 고개라도 주억거리지만, 바이나 무성애 이슈에선 다들 어떻게 인식해야 할지 갈피를 못 잡는 분위기기도 하고요. 그렇기에 완자 작가는 자신을 바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까지 작품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 그럴 작가가 아니죠. 완자 작가는 자신이 바이란 점을 분명하게 밝혔고 바이 범주를 설명하기 위해 적잖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제 기억이 정확하다면 어느 화에서 바이에 관한 오해를 설명한 적도 있는 듯하고요(다시 정주행을 하지 않고 쓰는 글의 문제;;). 자신을 바이로 설명하면서 완자 작가는 자신의 범주 및 삶과 관련해서 주변 사람들에게 설득하고 설명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냈겠죠. 바이가 아닌 거의 모든 사람, 동성애자건 이성애자건 상관 없이 끊임없이 자신의 범주를 설명해야 했을 겁니다. 그리고 그 경험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감수성과 성찰이 있을 테고요. 그렇기에 타인의 삶에 대해 감히 함부로 말할 수 없고 함부로 아는 척 얘기 할 수 없다는 걸 정말 잘 아는 듯하단 인상입니다. 이제 완자 작가가 트랜스젠더와 관련해서 얘기를 할 때 할 수 있는 방법은 하나 뿐입니다. 웹에서 자료 좀 검색해서 떠드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직접 만나서 듣고 그 얘기를 전하는 것, 그렇게 들은 얘기로 아는 척하기보다는 자신의 무지를 먼저 밝히며 무지를 통해 무지를 얘기하는 것이죠.
물론 저는 어떤 글을 비판할 땐 “야이 삐리리야”를 글쓰기 언어로 바꿔서 쓸 때도 있습니다. 이경이나 김정란의 글을 비판할 때 그렇습니다. 비트랜스젠더는 무조건 옹호하고 트랜스젠더는 비난부터하는 글에 저는 지금까지 적은 글쓰기 기준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완자는 제가 판단하기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런 글에 “야이 삐리리야”라는 식의 비판을 할 순 없습니다. 솔직하게 말해, 제가 모르는 이슈와 관련해서 글을 쓸 때 완자 작가 수준으로 자신의 무지를 드러내며 글을 쓸 용기가 있느냐면 아니요, 제겐 그런 용기가 없습니다. 저는 완자 작가보다 잘 쓸 자신이 없습니다. 완자 작가보다 잘 할 수 있는 사람만 비판하라(“너희 중에 죄 없는 자만 돌을 던져라”?)가 아닙니다. 그냥 저는 이런 판단을 했다는 것 뿐입니다.
그랬기에 트위터에 제 글이 유통되었다는 얘기를 듣고, 만약 둘 다 유통된다면, “모두에게 완자가. 82화 “트렌스젠더에 대하여”에 대하여”보다는 “‘모두에게 완자가’에 대해 어제 쓴 글에 덧붙여서[약간 추가]”가 더 많이 유통되길 바랐습니다. 지금이라면, 앞의 두 글보다 지금 이 글이 더 많이 유통되길 바라고요. 하지만 글의 소비와 유통은 제가 판단하고 바랄 수 있는 게 아니죠. 제가 원한다고 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지도 않고요. 이를테면 지금까지 출판한 글 중에서 ‘다른 어떤 글보다 지금 이 글을 사람들이 더 많이 읽으면 좋겠어’라는 글이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사람들이 읽어주는 글은 다른 글입니다. 제가 기대하는 글보다는 다른 글을 더 좋아해주시더라고요. 그러니 그 글 말고 이 글을 읽어주세요, 이 글을 유통해주세요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그건 제가 결정할 사항이 아니라 읽은 분이 판단할 사항이니까요. 제가 고민하는 부분과 사람들이 공감하는 부분은 다르단 뜻이겠지요. 그러니 지금까지 쓴 글은 당연하게도 저 한 사람의 사소한 주절거림에 불과합니다. 🙂
+
이 글은 알바하러 오고가는 지하철에서 넥서스7(7인치 태블릿)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생산성 최고인 넥서스7 만세!
솔직히 일반 시스젠더 헤테로로맨틱 헤테로섹슈얼 모노가미스트 … 이하 넌퀴어 그룹에서는 차라리 호모*와 FtM MtF 가 판* 이나 바이* 나 에이* 보다 이해하기 쉽다고 말씀을 하시지만 … 저로써는 판* 이나 에이* 가 제일 이해하기 쉬워서 , 그게 참 많은 어려움을 낳는 것 같아요. 특히 젠더스터디즈 공부할때 잘 이해한다 싶다가도 ‘음? 그게 왜 안되는데? / 왜 되는데?’ 라는 어쩌면 혐오발화일지도 모를 말을 하게 된다고 할까요; (모든 라벨을 object 하는 사람이지만, 굳이 편의를 위해서 어떤 단어들로 라벨을 끌어온다면 저는 aromantic asexual, relationship anarchist, monogamist, agender FtM, 이지만 demipanromantic demipansexual일 가능성도 충분히 고민해보고 있는 사람이랄까요 . 와하하하하하 ;;;; orz 기네요)
그렇기 때문에 (라고 변명하고 싶은데 가능한 인과관계인진 모르겠네요) 저는 모완에 대해서 지금까지 거의 아무런 거리낌 없이 봤엇어요. 트랜스젠더 화 전까진….
그래서 좀 … 미안한 감도 있다고 할까요. 그 전 까지 화들도 동성애 커뮤니티나 다른 퀴어 커뮤니티에서 비판을 많이 들었다고 들었는데 딱히 제 눈에는 보이지 않았던 터라, 역시 내 문제 남 문제 다르게 느끼는 구나 싶어서, 역시 이기적이구나 나는, 싶어서 .. 퀴어로써 뭔가 guilty했었죠.
피곤하군요. 배울 건 많고 알아가면 알아갈수록 내가 얼마나 부족한지 더 느껴져서 뭔가 말하는 게 두려워지고 … 피곤하니깐 퀴어인가 … (음?)
댓글이 참 좋은 건, 제가 놓쳤거나 써야지 하고 누락한 부분을 배울 수 있다는 점이에요. 그래서 제 블로그에 댓글을 달아주는 분께 늘 고마워하고 있고, 비공개 님의 댓글 역시 마찬가지고요.
말씀하신 부분, 내겐 쉬운데 다른 사람에겐 낯설다는 지점은 저 역시 가장 어려워하는 점이랄까요.. 제가 가장 이해가 안 가는 범주는 규범적 이성애-비트랜스젠더랄까요.. 저로선 가장 이해가 안 가는데 아무도 설명을 안 해줘서 좀 갑갑할 때도 있고요.. 흐흐.
버틀러가 어느 인터뷰에서, “나는 완벽하게 퀴어다, 그래서 피곤하다”라고 한 적 있어요. 퀴어 범주에선, 퀴어 일반으로 확정할 수 있는 어떤 해석이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퀴어의 어떤 구성원에겐 매우 중요한 이슈인데 다른 구성원에겐 그것이 혐오나 배제의 정치일 수도 있기 때문에 정말 복잡하게 고민하지 않으면 안 되니까요. 그러니 피곤하단 건 좋은 일이지요. 🙂
…그런데 전 제가 무슨 댓글을 썼는지 잊어버렸고 비밀번호를 안 걸어놔서 다시 보지도 못하네요 ;ㅁ; 이 댓글을 내가 썼다는 건 기억하지만 … 여하튼 답변항상 감사하고 재밌게 ? 보고 있습니다.
억…;;;;;;;;;;;;;;;;; 어떻게 그런 일이…;;;
답변이 필요하시면 긁어서 보내드릴테니 언제든 말씀하셔요. 🙂
완자작가가 바이에 대한 오해를 설명한 건 38회에요(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471283&no=39&weekday=sun). 제목이 ‘양성애자에 대한 오해’라서 그냥 바로 찾을 수 있었어요. 글은 잘 읽었어요!
덧)결론은 넥7 광고군요?!
덧2)이 블로그는 비밀코멘트가 유행인거 같아서 따라했는데, 생각해보니 어차피 알아볼 사람도 없으니 그냥 공개할래요.
오홋. 직접 설명한 화도 있었네요! 링크 고마워요. 🙂
의도하지 않은(과연?) 넥칠 광고였습니다.. 근데 조만간 또 광고할지도 몰라요.. 흐흐흐.
읽으면서 굉장히 많은 생각이 들었는데 막상 표현하려니 어렵네요..(;;)
어쨌든 트윗으로 링크했어요 ‘ㅂ’;;;
트위터로 퍼가는 걸 조금은 망설이게 되기도 하는데,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읽었으면 하는 글은 퍼가게 되기도 하네요; 또 저번 글 두 개를 이미 퍼갔으니 이번 글도 같이 읽히면 좋겠고요.
+) 윗 분이 링크하신 38화가 루인 님이 말씀하신 에피소드와 같은 것인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재미있네요. 38화가 공개되었을 때 안 좋은 쪽으로 꽤 화재가 되었던 기억이; 저도 조금 서운함에 화를 냈었던 것 같고. 지금은 멋대로 기대해 놓고 작가에게 화내는 게 이상할 뿐더러 이 사람의 설명이 오해된 부분이 꽤 있었다는 생각이 들어서 좀 미안한 마음이지만요..;;;
++) 루인 님의 생산성 만세!
고민이 정리되거나 어떤 형식으로건 표현이 되면 알려주세요. 듣고 싶어요. 🙂
링크해주셨다니 고맙습니다..만… 저로선 제 글이 링크되었을 때 링크하신 분께 피해를 끼치진 않을까 늘 걱정이랄까요. 제 블로그 글이야 공개글이라 어디로든 유포되어도 별 상관없지만 링크를 건 분에게 민폐가 아니기만 바라고요.. ^^;;
전 조금 다른 에피소드를 떠올린 것 같은데, 그게 정확하게 어떤 에피인지는 정주행을 해야만 찾을 수 있을 것 같아요. ㅠㅠㅠ
그러고 보면 비공개 님이 모완과 관련해서 직접 글을 쓰신다면 어떤 내용일지 궁금해요. 블로그에서 제가 못 찾은 것일 수도 있고 다 못 읽었기에 이렇게 얘기하는 것이겠지만요..;;
생산성은… ㅠㅠㅠ 양보다 질이라는데 제 생산성의 질은.. 크흑.. ㅠㅠㅠ
(참고로 3월 한 달 블로깅을 안 하고 논문을 썼다면 두 편은 썼겠다고 구시렁거렸다지요.. 아하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