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
일정 조절을 한다는 얘길 적었죠. 네, 일정을 조절했습니다. 다행스럽게도 그 과정이 원활했고요. 그래서 잠도 자면 안 되는 일정에서 잠은 잘 수 있는 일정으로 바뀌었습니다. 후후. 뭐, 따지고 보면 그렇게까지 빠듯한 일정은 아닐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게으른 관계로 일정 조절이 필요했어요.
암튼 이렇게 일정을 조절했더니 가끔은 누군가와 히히덕 거리며 놀 수 있는 심리적 여유도 생겼네요. 실제 놀 수 있는지, 실제 놀지는 모르겠습니다. 중요한 건 심리적 여유가 생겼다는 거죠. 심리적 여유가 생겨야만 일을 제대로 할 수 있거든요. 심리적 여유가 없다면 잘 할 수 있는 일도 망치기 마련이거든요. 이게 중요합니다. 그래서 일정 조절이 필요했습니다.
일정을 조절했다고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더 아쉬워요. 그래서 더 열심히 해야죠.
ㄴ.
시간이 지났지만 그래도 여전히 진행 중인 이야기기도 하고, 제 블로그에 기록을 남기고 싶어서 씁니다.
제가 좋아하는 트랜스젠더 이론가/작가 중 한 명인 케이트 본슈타인Kate Bornstein이 많이 아프단 얘길 들었습니다. 아픈 것도 걱정인데, 과거에 한 번 수술을 받았는데 또 다른 수술을 받아야 하는 상황에서 다른 병도 있어 수술도 쉽지 않고 비용도 만만찮다는 얘기였습니다. 이에 본슈타인의 동료들이 자발적으로 기금 마련 페이지를 개설했지요. 목표 금액에 도달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상당히 모았다는 얘기도 들었습니다. 이 이야기를 뒤늦게 전해들은 본슈타인은 화를 냈다지요…
제가 미국에 살았거나 제게 해외결제카드가 있다면 저 역시 모금에 동참했을 겁니다. ‘나 같은 사람도 트랜스젠더라고 부를 수 있을까’를 고민하던 시기에 본슈타인의 글을 읽으며 힘을 얻었거든요. 그러고 보면 1990년대 초반 트랜스젠더 이론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mtf 트랜스젠더는 어쩜 그렇게 다들 비이성애자인지. 본슈타인, 스트라이커, 스톤, 윌킨스와 같은 이들의 글을 읽으며 상상력을 발휘하고 또 저 자신을 설명하는데 많은 언어를 배웠습니다. 그러니 본슈타인은 제게 상당히 의미 있는 존재입니다.
기금 마련에 동참은 못 했지만 부디 수술이 잘 되어 완쾌하길 바랍니다.
ㄴ-1
언젠가 본슈타인의 자서전을 공동으로 번역하고 싶습니다. 그 번역에 어떤 식으로건 기여를 하며 한국어로 출판하고 싶어요.
ㄷ.
요 며칠 전까지 구글뉴스의 트랜스젠더 이슈 중 가장 핫한 뉴스는 미국 어느 여대가 mtf 트랜스여성의 입학을 거부한 일이었습니다. 확실히 언론이 물기 좋아할 요소가 가득합니다. 트랜스젠더 이슈에 평소 관심 없는 언론이라도, 여성혐오나 페미니즘을 싫어한다면 트랜스젠더 인권 운운하며 달려들기 딱 좋은 이슈죠. 그래서 한 편만 대충 살피고 말았는데요..
기사 중 하나: http://goo.gl/lwpCD
지렁이 활동할 때도 그랬고 박사과정 진학을 고민할 때도 그랬고 이화여자대학교에 입학 원서를 제출하자는 얘기가 있었습니다. 여기엔 두 가지 시나리오가 있죠. 하나는 아직 호적 상 성별변경을 하지 않은 ftm 트랜스남성이 입학한 다음 재학 중 ‘남성’으로 공부상 기록을 바꿨을 때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살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제가 입학을 시도하는 것이었죠. 이대에 재학중인 사람을 포함한 몇 명은 제게 이대에 지원하라고 권하기도 했습니다. 일인시위를 해야 한다면 함께 하겠다는 말과 함께. 그럼에도 지원하지 않았던 건 언론을 타야 하는 피곤함 때문이 아니었습니다. 언론을 타면서 원가족에게 커밍아웃을 해야 하는 이슈가 겹쳐져서도 아니었고요. 제가 제기한 이슈를 빌미로 이대(혹은 ‘꼴페미’로 불리는 망상 속의 집단)를 혐오하는 무리가 우르르 달려들 게 뻔했기 때문이었습니다. 평소 트랜스젠더 이슈에 관심도 없으면서 저를 거부했다는 이유로, 이대는 트랜스젠더를 차별한다느니 하는 댓글이 달릴 것이 뻔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트랜스혐오와 여성혐오를 동시에 표출하면서도 자신은 옳은 것처럼 행동할 것이고… 어떤 정치적 행동엔 이런 식의 원치 않는 반응이 생길 것을 감안하면서도 시도해야겠지만, 이 일엔 그렇게 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원치 않는 반응에도 내가 제기하는 이슈가 충분히 알려지면 그나마 다행인데 그럴 가능성도 별로 없는 것 같았기 때문이죠.
그렇다고 해서 트랜스여성의 입학을 허가하지 않은 대학의 태도가 납득이 가는 건 아닙니다. 납득이 갈 리가 있나요.
ㄹ.
트랜스젠더를 대상으로 이성애-비트랜스젠더에 대해 강의해주실 분 찾습니다. 이성애-비트랜스젠더라고 가정한 집단을 대상으로 제가 트랜스젠더 이슈를 강의한 적은 있습니다. 트랜스젠더와 관련해서 알려달라고 부르는 곳은 가끔 있더라고요. 근데 그 반대의 경우는 없더라고요. 트랜스젠더를 설명하듯 그렇게 이성애-비트랜스젠더를 설명할 강사가 계실까요? 정말 궁금해서 그럽니다. 이성애-비트랜스젠더와 관련한 강의를 듣고 싶습니다. 단, 소위 자기 자신을 이성애-비트랜스젠더 범주로 설명하시는 분이어야 합니다(혹은 이런 분을 더 우대합니다).
ㅡ_ㅡ;;;
ㅁ.
‘비트랜스-페미니스트와 비트랜스-퀴어는 그럼에도 트랜스젠더의 최대 동맹이다’라는 식으로 논의를 정리하고 싶지는 않다. 이렇게 말한다고 해서, 이렇게 정리한다고 해서 트랜스젠더 이슈는 페미니즘 이슈가 아닌 것처럼 얘기하는 이들이 트랜스젠더 이슈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언설에 움직일 사람은 이미 움직인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떤 방향이 가능할까?
+
음악이 없다면 이 세상을 어떻게 건널 수 있을까…
우리들(!)의 앤티(Auntie_케이트가 스스로를 이렇게 칭하더라고요) 케이트 본스틴!
저는 이 분 자서전 뿐만 아니라 <마이 젠더 워크북> (최근 개정판으로) 도 번역/출판하고 싶어요.
젠더 워크북 같은 경우는 저자와 직접 상의도 하고 출판사와도 같이 궁리를 해서
한국 현실에 맞게 재구성한 내용을 부록으로 싣거나 해도 좋겠다고 생각해 왔고요.
케이트도 아프고 레슬리 파인버그도 아프고.. 오래 머물러 주면 좋겠는데 말이죠.
그나저나 우리 공동번역할 책 목록 정해서 하나하나 시도해 나가 볼까요?
그 목록은 늘어만 가겠지만 그것도 기분 좋은 압박이 되지 않을까 해요.
아.. 앤티, 앤티.. 좋아요. 근데 파인버그도 아프네요.. ㅠㅠ 다들 오래오래 함께 하면 좋겠는데요..
“마이 젠더 워크북” 번역도 재밌겠어요. 말씀하신 것처럼 이 책은 번역과 함께 한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기획도 함께 하면 좋겠고요!
근데 제가 중요한 사실을 하나 빼먹었네요… 다름이 아니라.. 공동번역일 때 보통은 분량을 나누지만 저는 번역실력이 정말 최악이라, 공동번역자가 1차 번역을 하면 그것을 토대로 대조 및 2차 번역을 담당한달까요… 아하하.. ㅠㅠㅠ 이건 겸손이 아니라 저의 1차 번역본을 직접 읽은 분들이 증언할 수 있는 부분이에요.. ㅠㅠㅠㅠㅠㅠㅠㅠ
암튼 번역하고 싶은 책은 많기에 목록을 만드는 작업도 재밌을 듯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