옳고 그름의 문제, 우월과 열등의 문제가 아니라 그냥 내가 이해하지 못하는 그런 태도가 있다. 예를 들어 어제 밤에 읽은, 제대로 비평글을 쓰고 싶도록 한 어느 논문(그 논문은 문화연구자 양성의 현주소를 논하고 있다)에서 문화연구가 사회과학을 포함한 분과학문에 인문학적으로 개입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며 인문학과 출신은 연구대상이 인문학이 아니라 사회과학에 가까워서, 그리고 글쓰기 형식이 달라서 문화연구를 하기 어렵다고 했다. 사회과학이나 자연과학 출신은 인문학적 감수성과 성찰 능력을 갖추기 어렵다고 했다. 그리하여 문화연구 논문을 작성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고 했다.
나는 (여러 가지로 문제가 많은)이 말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었다. 학부에서 수학을 전공했고, 그 이후 여성학을 공부했고 석사논문은 영문학전공인 선생님에게서 썼고, 지금은 문화연구를 공부하고 있다. 어찌보면 분과학문의 양극을 전공하고 있지만 나는 이들 학문 사이에서 부대끼거나 뭔가 달라도 너무 달라서 어렵다고 느낀 적이 없다. 내겐 이들 모두가 그냥 내가 좋아하는 공부지 뭔가 낯설고 괴로운 무언가는 아니었다. 그래서 나는 어디 전공자는 다른 어느 전공을 익히기 어려워한다는 말을 이해하지 못 한다. (나는 그 문단에 커다란 물음표를 그려뒀다.) 그냥 이것저것 닥치는대로 공부했고 읽었던 나로선 서로 낯설어하는 태도 자체가 낯설다.
다른 말로 나는 아직도 사회과학적 연구가 정확하게 어떤 것인지 잘 모른다. 동시에 사회과학적 연구라는 것과 인문학적 연구라는 것의 차이가 무엇인지도 잘 모른다. 어떤 사람에게 나의 이런 몸은 치명적 한계일 수 있다. 학문을 제대로 모른다는 뜻이니까. 하지만 나는 여전히 글을 쓸 때 왜 형식, 아니 관습부터 규정해두고 시작해야 하는지 이해하기 힘들다. 그냥 일단 원하는 형식으로 쓰는 것이 좋지 않나? 공부가 짧은 나로선 이해하기 힘든 지점이다.
잠들기 직전의 상태인데 블로깅하려고 뭔가를 끄적이고 있다.
어쨌거나 글을 쓰기 시작하는 게 중요하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