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이 기다렸고 아쉬움이 남는다.
작년 여름 처음으로 여이연 강좌를 들으러 갔을 때, 몇 개의 강좌를 선택하며, 가장 듣고 싶었던 강좌는 “페미니즘이론 2: 젠더gender“였다. 페미니즘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루인의 경험을 언어로 모색하며 당시 한창 관련 논의를 찾고 있던 와중에 이 강좌를 찾았으니 너무도 기뻤다. 하지만 사람 수가 적어 폐강했었다. 그렇게 아쉬움을 남기며 다른 방향을 모색했다. 하지만 이런 아쉬움은 차라리 잘 된 것일까.
그해 여름이 끝나고 가을, 혼자서 트랜스/젠더 관련 논문을 찾아 읽기 시작했다. 그것이 시작이었다. 이미 지난 시간이었고 겪지 않은 일이기에 뭐라고 하기 힘들지만, 어쩌면 그때 혼자서 시작한 것이 잘 된 일인지도 모른다. 물론 그때 강좌를 들었다면 더 좋았을지도 모를 일이다. 하지만 그때 강좌를 듣지 않았고 그래서 언어가 더욱 절실했기에 좀 더 일찍 시작할 수 있었다는 점을 부인할 순 없다.
그렇게 1년이 지났고 두 개의 젠더 강좌를 들었다. 지난 6월 말에 있은, “성별 문제, 그 이후”와 이번에 들은 “성은 젠더, 이름은 트랜스”. 이번 강좌를 들으며 어쩌면 작년이 아니라 이번에 들은 것이 더 좋았음을 느꼈는데 그건 1년 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고민을 진행하고 있다는 점, 이미 두 편의 논문을 쓴 상태란 점, 그리고 마냥 새로운 이야기만 들은 건 아니란 점이다. (그리고 그 논문들을 두 분 모두에게 드렸고 코멘트를 받았거나 받을 예정이란 점은 정말 중요한 일!)
강좌를 듣는다는 건 아예 처음 듣는 걸 배우는 즐거움도 있지만 고민하고 있는 주제를 들으며 더욱더 자극 받는 즐거움도 있다. 어떤 의미에서 미미하나마 조금이라도 공부를 하고 있는 걸 배울 때 그 즐거움은 배가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번 두 개의 강좌가 그랬다. 특히 어제로 끝난 트랜스/젠더 강좌는 아쉬움으로 가득했는데 강좌 내용이 아쉬운 것이 아니라 다른 강좌들이 5일인데 반해 이 강좌는 3일이란 점 때문이다. 3일이란 아쉬움. 더 많이 듣고 싶고 하루라도 더 듣고 싶은 아쉬움이 남았다.
강좌를 들으며 도움이 되었다면 아직 잘 모르는 부분에 자극을 받았다는 점이랄 수 있겠다. 강좌를 들었다고 ‘알 수 있는’ 건 아니라고 느낀다. 알 수 있다고 하기 보다는 더 배우고 싶고 알고 싶은 자극을 받는 것이라고 느낀다. 지금까지 산만하게 알던 내용들을 정리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파편처럼 흩어져 있는 앎들 사이에 좀더 수월하게 건널 수 있는 돌을 놓는 것이랄까. 물론 지금까지 모른다고 느꼈던 지점들을 배울 수도 있지만 루인의 경우엔 대체로 이런 편이다. 아예 새로운 걸 배운다고 하기 보다는 흩어진 상태로 몸에 있는 흔적들을 모아서 엮어가는 자극을 받는 것. 이번 강좌는 그런 자극 이상을 받았다. 그것이 무엇이냐면 사실, 말하기 어렵다. 이렇게 빨리 말할 수 있는 지점들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저 오랜 시간 몸에 남아 자극으로 변한다는 점, 그것만은 확신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