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의 미로-오필리아와 세 개의 열쇠, 2006.11.30. 목, 20:05, 아트레온 8관 11층 E-10
요즘 무슨 영화가 하나, 하고 극장을 검색했다가, [판의 미로]가 한다는 걸 보고 망설임 없이, 오늘 당장 봐야겠다고 작정했다. 예전에 씨네21에서 이 영화와 관련한 간단한 글을 읽고 개봉하길 바랐던 흔적이 몸에 있기 때문이다.
이 영화의 광고는 “판타지”이다. 그리고 영화가 끝나자 뒷자리의 누군가가 말했다. “광고에 속았다!” 맞다. 하지만 그 누군가의 말에 동의할 수 없는데, 판타지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판타지 영화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기 때문이다.
종종 “현실”과 “환상”을 구분하는 말들을 빈번하게 듣지만 무엇이 “현실”이고 무엇이 “환상”인지를 밝히지는 않는 것 같다. 꼭 빗자루를 타고 하늘을 날아다니고 해야만 “환상”일까. 루인은 “현실”과 “환상”을 구분할 수 없다고 해석하는 편인데, 우리가 경험하는 모든 것은 우리의 해석에 따른 현실, 즉 환상이다. “현실”이 있다면 왜 같은 공간에서 같은 회의를 했음에도 그 회의에 참여한 사람들 모두가 다른 식으로 그 내용과 분위기를 기억하고, 예전에 쓴 일기를 읽을 때면 지금 기억하고 있는 내용과 달라 당황할 일이 왜 있겠는가.
[스포일러 시작!]
이 영화의 환상은 바로 이 지점에서 발생한다. 요정과 궁전, 동화가 나오지만 동시에 이 영화에는 전쟁, 죽음, 고문 그리고 정치적 분쟁이 동시에 나온다. 이렇게 나열하면 하나의 영화에 이런 요소들이 같이 있다는 것에 뜨악할 수도 있겠지만, 뜨악할 정도로 잘 어울린다. 미로를 지키고 있는 판이 나오는 장면과 폭력적인 대령의 행동에 따른 공포가 맞물리고, 사람이 되고 싶은 허브의 뿌리가 불에 타 죽는 장면과 엄마의 죽음이 맞물린다. 오필리아가 세 가지 임무를 수행하러 가는 길과 군대가 반정부군을 소탕하려는 장면 역시 교차한다.
이 영화의 백미는 마지막 장면인데, 희극과 비극이 주인공에게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이다. 마지막 장면에서 주인공은 죽음을 맞이하는데, 그 죽음이 사실은 공주가 되는 순간이기도 하다. 죽어가면서 주인공인 오필리아는 드디어 공주가 되고 죽었다고 믿은 엄마가 왕비로 앉아 있는 모습을 보게 된다. 이 순간 무엇을 희극이라고 무엇을 비극이라고 말할지 모호한데, 그것은 오필리아를 좋아한 사람들에게만 그런 것이 아니라 오필리아 자신에게도 그렇다. 오필리아의 죽음은 오필리아에게 비극일까, 희극일까. 영화는 바로 이런 식의 이분법으로는 구분할 수도 설명할 수도 없음을 얘기하는데, “희극이야 비극이야”라는 식으로 끊임없이 물어보는 방식으로는 그 어떤 설명도, 소통도 한계에 부딪히기 때문이다.
[스포일러 끝!]
올 해, 꽤나 몸에 드는 영화가 많았고, 그래서 몸에 드는 영화가 또 나오겠느냐고 중얼거렸는데, 취소다. 한 번 더 볼 거다. 정말 괜찮다.
+ㅅ+ 저도 봐야겠어요
구미가 당겨요
루인은 상당히 재밌게 봤어요^^
그나저나 언제 돌아오세요? 요즘 tistory 분양하던데… 흑흑. 얼른 돌아오세요~~~ ^-^
네 그걸 노리고 있어요 ㅎㅎㅎ
우훗, 기다리고 있을게요^^
아기를 위한 책을 봤는데요. 책 제목이 ‘동물 친구들’, ‘바닷속 친구들’ 뭐 이래요. 웃기더라구요. 왠 친구?? ㅡ_ㅡ; 다 먹을거면서.. 친구도 먹는게 친구인가? ㅋㅋ 게중엔 비건이 될 아이들도 있겠지만.. ㅋㅋ 생각해보면 판타지에선 모두가 친구가 될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로운 듯 해요. 적이 되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친구가 되는.. 애니와 판타지의 공통점이 아닐까 싶어요.ㅋㅋ
그래서 판타지인가 하는 몸앓이가 불현 듯 들었어요. 모두가 친구가 되는 건 판타지고 동화에서나 가능한 이야기라는 의미인가, 하는;;;;;;;;;;; 흐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