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가 이사를 한다고 했다. 이삿짐 나르는 일을 도와주러 갔다가 시간이 붕 떴다. 시간 계산에 착오가 있었고, 그리하여 한 시간 반 정도의 시간이 남았다. 다시 사무실로 돌아갈까 했지만, 왔다 갔다 하는 시간이 더 많이 들겠다 싶어, 근처의 지하철역으로 갔다. 지하철역에 가면, 책상과 의자가 있으니까.
루인은 블로그에 쓰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면지에 볼펜으로 글을 쓴다. 이런 얘길 사람들에게 하면 요즘 들어 이런 경우는 드물다며, 모니터 화면을 보지 않으면 글을 쓸 수 없다는 얘기도 자주 듣는다. 지하철역에 가서 책을 읽을까 하다가 어제의 내일인 오늘이 마감인 글을 쓰기로 했다. 이면지는 언제나 몇 장정도 가지고 다니는 편이기에 종이는 넉넉했다. 다만 걱정은 요청한 원고 분량이 원고지 5~6장인데, 펜으로 쓰다보면 그 분량을 가늠할 수 없다는 것. 아무려나 일단 대충 하고 싶은 얘기를 썼다. 그러곤 한 번 수정하고 나서 글자수를 세기 시작했다. -_-;;; 크크크. 대충 이 정도 분량이면 5~6장이겠다 싶은 분량으로 해서 수정과 편집을 거친 후, (분량이 적었기에 반복해서 쓴다고 해서 힘들진 않았다) 일단 초안은 완성. 나중에 사무실에 돌아와 워드작업을 하니, 후후후, 딱 요청 분량. 내용은 만족스럽지 않은데 분량을 맞췄다는 사실에 혼자 좋아했다. ;;;
이제 곧 있을 인권영화제에서 해설책자를 내면서 인권해설이란 글이 들어가는 듯한데, 그곳에 실릴 목적으로 글을 청탁 받았다. 그곳에서 요청한 주제는 “인권해설은 성전화자에 대한 사회적 차별을 알기 쉽게 써주시면 됩니다.“였다. 하지만 쓴 글은 전혀 다른 방향으로 잡았다. 왜냐면, “우리는 어떤 차별을 받고 있다”는 식의 글을 별로 안 좋아 하기도 하거니와 이와 관련한 내용은 기사검색만 해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좀 다른 접근을 할 필요가 있겠다 싶었다. 적어도 영화제의 성격을 감안한다면 더욱더.
[#M_ 읽기.. | 접기.. |
이 글에서는 트랜스젠더들이 얼마나/어떻게 고통 받고 있는지를 쓰지 않는다. “나”를 주장하기 위해 “나”의 고통을 전시하고 “나”의 고통을 증명해야 하는 건 아니며, “내”가 이 만큼 고통 받고 이렇게 힘들게 살아가고 있음을 증명하지 않는다고 해서 “나”를 주장할 수 없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 인권운동이 우리는 이 만큼 고통 받고 있으니 이를 해결하라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란 범주를 어떻게 만들고, 인권의 의미를 누가 어떤 식으로 해석하는가란 질문과 같이, 해석들이 경합하는 장을 만드는 작업이라면, “나”의 고통을 말하기에 앞서 고통의 전시를 통해서만 나를 주장할 수 있는 맥락들을 얘기할 필요가 있다.
그렇기에 질문은 “트랜스젠더가 되는 이유는 무엇이냐”와 같은 형식이 아니라 사회적, 법적, 문화적 제도가 사람들을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가, 어떻게 사람들을 “남성” 아니면 “여성”으로 기획하는가로 바뀔 필요가 있다. 동시에 트랜스젠더와 어떻게 소통할지 모르겠다와 같은 말은, 상대방이 트랜스젠더라는 걸 알았다는 것이 자신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 오는지와 동시에 고민할 때에야 비로소 의미 있는 언설이다.
_M#]
기본 아이디어는 “Transgender? Transgender!“에 썼던 내용들을 토대로 했다. 팜플렛에 들어갈 내용으로 썼는데 팜플렛이 나왔는지 모르겠고 -_-;;; 아이디어는 비슷하다고 해도 그런 아이디어를 구성하는 문장 방식은 변했다는 느낌이 있다. 이 느낌을 믿어야지.
고통을 증명해 보여야만 나를 주장할 수 있는 것이 아니어야 한다는 점에 공감해요. *_*
그 런데 전에 한겨레 글 보고도 생각했던 건데, 루인님은 그럼 남자와 여자의 구분이 몇몇 육체적인 특징에 근거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자신을 정체화하는 대로 구분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건가요? 그리고 제가 잘못 파악한 것일지도 모르지만, 어떤 대목에서는 남녀라는 구분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생각하시는 것처럼 들리기도 하는데.. 그렇다면 루인님께서 스스로를 “여성”으로 *굳이* 정체화하시는 이유는 무엇인지.. 그게 궁금해요.
헤헤. 🙂
루인의 경우엔 “이런 방식은 잘못 되었으니 저런 식으로 해야 한다”고 말하기보다는 왜 그리고 어떻게 그런 방식으로 얘기하는가를 질문하는 편이에요. 몸의 하고 많은 부분 중 어떤 특정부분을 들어 “남성” 아니면 “여성”으로 구분하곤 하는데, 왜 그리고 어떻게 해서 이런 식의 구분을 하는지, 그리고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고민하려고 하고요.
그, 그, 그… 그리고 루인은 “굳이 여성으로 정체화”한 적이 없는 것 같은데요 ㅠ_ㅠ 흑흑.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mtf라고 말하기는 해도 “여성”이라고 말하진 않는 편이에요. 🙂 아, 그러니까, mtf를 곧 “여성”으로 해석할 것인지, 아니면 “mtf”로 해석할 것인지의 문제가 있는데요, 어떤 트랜스젠더는 자신은 mtf이긴 하지만 “여성”이라고 말하는가 하면, 다른 트랜스젠더는 자신은 (“여성”이 ‘아니라’) mtf라고 얘기해요. 루인의 경우엔, mtf나 ftm 보다는 트랜스라고 더 자주 얘기하는 편이고요. 흐흐.
아… 그렇군요 *_*
그러니까 루인님은 굳이 이성애적 범주인 ‘여성’에 속하길 원치 않으시고, 또 ‘mtf’라는 좁은 범주에 편입되기보다는 ‘트랜스’라는 보다 넓은 범주에서 다양성을 확보하고자 하시는 거군요. (그래서 용어도 ‘트랜스젠더’보다 애매한 ‘트랜스’라는 용어를 사용하시는 것인가요? 말하자면 ‘젠더’라는 개념 자체를 거부하시는 것?)
정말 ‘분류’한다는 것이 어떨 땐 폭력이라고 느껴지기도 해요. 트랜스젠더라고 해서 다 같은 ‘트랜스젠더’라는 한 범주에 몰아 넣거나 혹은 ftm, mtf라는 범주에 몰아 넣고, “트랜스젠더는 이렇다”, 혹은 “mtf는 이렇다”, “ftm은 이렇다” 하는 획일화된 생각을 갖는 것.. 그 집단이 소수일 경우에는 더욱 그런 전형성을 부여받게(때로는 그런 전형성을 띄라고 강요받게) 되는 것 같고.. 그런 점에서 루인님 같은 분의 목소리가 중요한 것 같고요. 어쩌면 저 원고를 청탁한 쪽에서도 루인님 원고를 받고 당황할런지 모르겠어요 “엥 우리가 원한 트랜스젠더 이야기는 이게 아닌데;;” 하면서. ㅋㅋㅋ (더군다나 *알기 쉽게* 써달라고 했다니.. ㅋㅋㅋㅋ)
‘젠더’의 개념 자체를 무시한다기보다는, 젠더를 오지직 둘로만 해석하는 것에 문제제기 하고 싶어해요. 반드시 둘로만 말할 필요가 없는데, 마치 둘 뿐인 것처럼 얘기하는 맥락은 무엇일까, 질문하려고 노력하고 있고요. 그래서 흔히 “여성”이라고 말하면 너무도 많은 상상력이 가능한데도 “이성애 여성”이란 식으로 가정하고 얘기하는 것에 질문을 하고 싶어 하고요. 흐흐
그나저나 벨로님의 글을 읽고 있으면 도무지 책을 안 읽는 분이란 이미지가 안 떠올라요. 너무 많이 읽어서 읽을 책이 없는 건가 싶기도 하고요. 🙂
그러면서 요즘 깨달은 게, 벨로님이 정말로 책을 별로 읽는다면, “책을 많이 읽어야 글을 잘 쓰고, 고민의 깊이가 깊어진다”란 말이 잘못이구나, 라는 거예요. 이런 식의 말 역시 뿌리 깊은 편견이구나, 하는 걸 깨닫고 있고, 이런 말 자체가 하나의 편견이란 사실을 지금껏 모르고 살았다는 걸 반성하고 있어요. 고마워요! 🙂
참, 더불어, 왜 글을 잘 쓰는 사람은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이란 식으로 판단할까도 다시 한 번 고민해봐야 겠어요. 🙂
그러네요. 무시한다기 보다는 새롭게 해석한다.. 그런 식으로 기존의 개념에 대해서 끊임없이 질문하고 문제제기를 하시는 거군요. *_* 그러다 보면 언젠가 바뀌게 되겠죠. 지금도 바뀌고 있을 거고.
사실 사람들이 젠더 개념이 무너지는 것에 대해 굉장히 두려움을 갖고 있는 게 우습다고 생각해요. 그런 개념 자체에 집착하지 않으면 두려워할 것도 없는데.
그나저나 칭찬을 너무 많이 해주셔서 몸둘 바를.. ( ..);; 저는 루인님 글 보면서 많이 배우고 있는 걸요. 🙂
제가 이 문제에 대해서 조금 생각이 깊어 보이는 건, 저도 ‘분류’, ‘계층화’ 문제로 석사 논문을 썼었거든요. 그건 젠더가 아니라 인종 문제였지만. 기본적인 구도는 비슷한 것 같아요. 인종의 이분법적인 분류, 그것에 따른 계층화.. 그런 문제.
하지만 모르는 분야는 너무 무식해서; 책을 좀 읽어야겠단 생각은 늘 해요;;
어떤 논문인지 읽고 싶어요!!!
그리고 책을 읽어야 겠다는 생각이 드신다면 이 기회에 [젠더의 채널을 돌려라]를 예약 하심이… -_-;;
(루인이 어떤 의미에서 온라인 홍보 담당인데, 그래서인지 벨로님 댓글의 마지막 문장만 들어 온다는 ;;;; 쿨럭.)
아, 참, 그리고 이 댓글만이 아니라 벨로님 글이 주는 느낌이 그래요. 🙂
루인님 글 참 좋네요. 버틀러가 언두잉 젠더에서 (바디즈 댓 매터에서도 은근히) 얘기하는 부분과 연결되는 측면이 많은 거 같아요. 동성애자도 인간이다, 트랜스도 인간이다, 라고 주장하는 게 아니라, 동성애자와 트랜스가 어떻게 인간 밖의 존재로 배제되어 왔는지, 그래서 ‘인간됨’ 자체를 새로운 정의와 구성으로 열어놓고 생각할 수 있는 공간을 열어간다는 점에서요. 참, 이 덧글을 비공개를 쓰는 이유는, 제 출판된 논문 보여드리려고요. 실명이 있어서 일부러 숨겨서 남겨요. 작년에 나온 아티클이고, 제 전문연구분야는 이주라서 섹슈얼리티와 직접적 연결이 있는 글은 아니지만, 제 안에서는 트랜스/동성애자의 자기 내러티브 구성과 패싱의 압력 등에서 겹치는 점이 많이 있어요. 학교 도서관 사이트에서 찾으시면 되겠지만, 액세스가 안되시면 저한테 덧글 남겨 주시면 메일 드릴게요. Hae Yeon Choo. 2006. “Gendered Modernity and Ethnicized Citizenship: North Korean Settlers in Contemporary South Korea.” Gender and Society 20 (5): 576-604
고마워요! 버틀러의 언두잉 젠더를 얼른 읽고 싶은데, 다른 책을 읽고 있는 중이기도 하고, 혼자서 나름대로 버틀러 읽기의 순서를 정한 상태라 나중에야 읽을 수 있을 것 같아요. 하지만 너무너무 기대하고 있어요.
그리고 논문 알려주셔서 정말 고마워요! 학기 중에 당장 읽을 수 있다는 기약은 못해도 (영어 읽는 속도가 워낙 느리다보니 수업 교제 따라가기도 벅찬 편이에요ㅠ_ㅠ), 얼른 읽고 싶어 안달이에요. 헤헤. 🙂
엥 글이 안 올라갔나봐요 ㅜㅜ
성전환이란게 어쩌면 sex change의 번역이구 ~수술이란 것두 sex change operation이나 sex transformation operation의 번역어일 것 같아요.
요즘은 의미적으로 더 맞은 srs에 대한 번역어를 쓸려는 사람들도 있는 것 같은데 그렇다면 transgender/sexual도 성전환자 보다 더 적합한 단어가 있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어요.
글이 안 올라 왔다는 말이, 루인의 글 말씀하시는 건가요? 본문에 “읽기..”를 나와요. 접기기능을 사용했거든요. 🙂
번역의 문제는 항상 어려운 것 같아요. 뉘앙스가 미묘하게 다 다른데, 이런 뉘앙스를 살릴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를 고민하면… 으으. 머리에 쥐가 나요ㅠ_ㅠ 흐흐
제가 답글을 달고 안보여서 다시 달았어요.
아핫, 그런 거였네요. 🙂
복잡하네효….ㅠㅠ…역시…이래저래….사람의 심리만큼 단순하게 하더라도 절대 단순친않은것이 인간이 원래 가지고 있는 특성인가봅니다……ㅠㅠ….. 쫌 뜬금없는 댓글이긴하나..제가..트랜스젠더란 쪽에 무지한지라….아직 대체로 현실은 그쪽에 관해서 관용이 쫌 부족함이 있느거 같아서…저또한 그러해서 그 쪽에 관해선 아직 맘넉놓고 수용할 수 있느부분이 아닌거같아 꽤 어려운 문제라여겨져서..차마..섣불리..생각할 수 있는 문제가아닌거같아 어렵네혀….ㅠ…
어떤 사람이 쉽겠어요. 헤. 그냥 차근차근 얘기를 나면서 알아가는 방법 밖에 없는 거 같아요. 헤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