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300: 과대망상의 향연

[300] 2007.04.06. 14:50, 아트레온 6관9층 H-5

이 영화를 읽겠다고 결정한 건, 이 영화를 둘러싼 상당한 논쟁이 있다는 걸 알아서였다. 그래서 이 영화를 읽으러 가기 전에 몸의 준비를 단단히 하고 갔다. 그 어떤 폭력적인 상황이 나와도 놀라지 않겠다는 다짐.

그나마 이런 사전 준비가 있어서 다행이었다. 얘기를 하려고 하면 너무 많고 무시하려면 아예 무시할 수도 있는데, 간단하게 메모만 남기면(서울여성영화제 기간이라 감상문을 쓸 시간도 없다는 ;;;)

1. 이 영화, 기본적으로 지루하다. 이제 끝나가려나 하고 핸드폰시계를 봤는데(영화관에서 이런 적 처음이다!) 러닝타임이 두 시간인데 한 시간이 지난 상태. 으악!

2. 지금 이 시대에도 이런 영화를 만들 수 있다는 것에 놀랬다. 이런 놀람이 바로 이 영화의 논쟁점이기도 할텐데, 소위 정치적인 올라름 운운하며 비판하는 각종 혐오가 이 영화엔 가득하다.

3. 거의 모든 전쟁영화는 “게이”영화인데, 이 영화도 예외는 아니다. 심지어 두 쌍의 커플도 나온다. 소위 “게이코드”라고 불리는 말도 안 되는 어떤 코드도 동원한다면, 크세르크세스와 300명의 스파르타 군인들 모두, 딱 게이다, 싶었다.(이런 식의 판단은 지금 루인도 쓰고 있지만 사실, 재수없다.) 이 영화의 분열지점이기도 한데, 동성애 혐오를 공공연히 드러내지만 그런 발화를 통해 자신들의 게이 욕망을 유지하고 있다.

4. 영화가 끝날 즈음, 코미디 영화인가, 하고 중얼거렸다. 정도가 지나치면 웃음 밖에 안 나온다. 그런데 단지 이런 의미에서만이 아니라, 과대망상들은 어떻게 할 거야? 이 영화의 코미디의 정점은 [여기서부터 스포일러 있을 수 있음] 스파르타의 왕이 죽은 장면을 비추는 화면. 그 장면을 읽는 순간,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의 자세와 표정이 떠올랐다. 그 순간 이 영화는 장르상 코미디로 변했다. 스파르타의 왕은 단지 스파르타의 왕이 아니라 서구 기독교 정신이라는 것을 대변하고 있다. 서구가 아닌 지역에서 온 모든 것은 야만이고, 이런 야만에서 서구이성을 지켜야 한다는 엄청난 강박들. 아, 이 과대망상 어쩔거야.

5. 만약 이 영화와 관련한 어떤 소식들 없이 이 영화를 읽었다면 이 영화에 대한 느낌은 완전히 달랐을 지도 모른다. “장애가 있는 아이는 죽인다”는 식의 내용이 있다는 정도는 알았기에 망정이지(대충 이런 내용이 있다는 건 알았지만, 영화를 시작하며 곧 바로 나올 줄은 몰라, 타격을 받긴 했다), 아니었다면, 정말이지… 으으.

이런 저런 이면들

[Run To 루인]의 하단에 있는 저작권 표시를 클릭해서 갔다가 문득, 카피레프트야 말로 그 저작물의 권리는 자신에게 있음을 강력하게 주장하는 거 아닌가, 하는 몸앓이를 했다. 이 글은 copyleft입니다, 라고 말하는 건, 말 그대로 이 글의 저작권은 저에게 있지만, 저는 이 글의 저작권을 행사하지 않겠습니다, 그러니 저의 허락 없이도 사용하셔도 괜찮습니다, 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건 아닌지.

들키지 않겠다는 건 결국 들키고 싶다는 욕망의 반증일 수도 있다. 그리하여 알아 달라는 바람인지도 모른다.

어쨌거나 몇 가지 어떤 의심을 하기 시작했다. 물론 이 의심은 아주 긍정적인 의미에서다.

[영화] 이장과 군수

[이장과 군수] 2007.04.05. 16:40, 아트레온 8관 11층 E-12

[국경을 넘어/메이드 인 아메리카]를 읽고 나서, 곧장 이 영화를 예매했어요. 우피스 영화가 복잡해서 몸을 식히려는 의도는 아니고, 처음부터 그럴 예정이었으니까요. 서울여성영화제 기간 동안, [우아한 세계], [300], [뷰티풀 선데이]도 읽을 예정. 어쩌면 불쾌한 기분과 유쾌한 기분을 동시에 느끼는 날들이 될지도 모르겠네요. (아, 유쾌함을 기대하는 [플루토에서 아침을]도 읽어야 하는데… 다행인지 불법은 구했다는 ;;;)

예전에 적었던가요? 루인이 관심을 가지는 몇 안 되는 배우 중 한 명이 차승원이라는 걸? 그 이유도 적었던가요? 별자리가 같아서는 걸? 크크크. 정말이에요. (정확한 이유는 여기에)

아무튼 이런 연유로 이 영화를 읽었지요. 읽고 난 느낌은 이래저래 어정쩡한 느낌이 많이 들더군요. 아무런 기대도 안 했기에 실망할 이유는 없지만, 그래도 스토리가 미적지근한 건 좀…

※굳이 “스포일러 주의!”라고 안 적어도 스포일러가 넘칠 거란 거 아시죠? 🙂

이 영화는 의외로 재밌게 읽을 수도 있겠다는 느낌은 있어요. 왜냐면 이 영화를 읽다보면 부안 핵폐기장을 둘러싼 소식들이 떠오르 거든요. 그런데 처음엔 영화에서의 재현이 별로 유쾌하지가 않았죠. 군수를 긍정적으로, 방폐장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부정적으로 그리는 경향이 때문에요. 하지만 이 불편함은, 그렇다면 군수를 반드시 부정적으로 시위대를 반드시 긍정적으로 그려야 할 이유는 뭐람? 이라는 질문과 함께, 변했죠. 이 영화의 재미는 누구를 긍정적으로, 누구를 부정적으로 그리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시위라는 것이, 소위 말하는 정치적인 투쟁이라는 것이 때론 개인적인 질투와 시기심 때문일 수도 있다는 걸 드러내기 때문이죠. “남성성의 경쟁”이라고 부를 수도 있겠죠.

군수도 이장도 사실상, 자존심 하나로 버티려고 해요. 막무가내로 이기겠다는 욕망을 유지하는 이 영화는, 하지만 그 우정이라는 것을 통해 진부하게 흘러가요. 그리고 우정이라는 이름으로 포장하는 동성욕망을 어김없이 드러내죠. 군수가 방폐장 사업을 주민투표로 부친다고 발표하고 투표 결과가 나온 후, 이장과 연애라도 할 것 같은 남옥(최정원 분)은 더이상 등장하지 않아요. 대신 전 군수와 현 이장 사이의 “애정행각”(ㅋㅋㅋ)이 등장하죠. 그러며 한국 영화에서 흔하게 읽을 수 있는 연애구도를 형성해요. “이성애 연애” 경쟁관계인 척 하지만 알고 보면 “게이”관계인 영화. 그래서 “여성”을 매개하여 “동성애” 관계가 줄 수 있는 “긴장”을 “해소”하는 방식. (이런 연애구도는 [뷰티풀 선데이]의 포스터에서 너무도 분명해요. 포스터에 나타나는 두 사람을 “남성”으로 가정한다면, 솔직히 처음엔 [뷰티풀 선데이]가 게이영화인 줄 알았음. 결국 그렇겠지만.)

영화를 읽고 나면, 그냥, 그래요. 그냥, 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