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글 중 일부는 “여러가지 요인들이 있겠죠. 학벌, 지역, 나이주의, 계급, ‘장애’/비’장애’, 섹슈얼리티, 섹스(요샌 젠더란 말이 불편해서 섹스로 대체할까 생각 중이라고 하네요) 등등.”이다.
그런 몸앓이를 한다. 만약 두 대학이 서울이 아닌 비서울지역에 위치했다면 그리고 서울에 위치한 대학 중에서도 사립의 양대산맥이라고 호명되는 대학이 아니었다면 지금과 같은 문화적인 현상으로 읽히지 못했을 것이다. 특화(specialize/privilege)된 서울이라는 공간과 한국의 학벌주의가 아니라면 “대학가 문화”라던가 “20대의 낭만”이라는 식으로 미화되기 어려울 것이다. “예전엔 고연전/연고전때 술집에 가면 공짜로 술을 마실 수 있었는데 이젠 그런 ‘낭만’이 없다”는 식의 언설들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일까.
1학년 때 동아리 선배들이 가장 많이 한 말 중에 하나는 대학생은 얼마든지 객기를 부려도 된다는 것이었다. 대학생이기에 용서가 된다는 것이다. 이 말 속에 들어있는 특권의식. 그리고 나이주의. 젊다는 것이 어떻게 해도 용서될 수 있다는 인식 속에 들어있는 근대 자본주의에 의해 형성된 생애주기이데올로기와 젊음이라는 특권은 결국 타자화와 착취를 발생시킬 수 밖에 없다.
어느 인터뷰에서 한 ‘장애”여성’의 지적처럼 이 문화는 또한 비’장애’인의 몸을 기준으로 한 ‘놀이’이기도 하다. 집단의식을 고양한다는 그 집단주의/민족주의적인 발상은 사실 특정 소수의 ‘정상성’에 다른 사람들이 맞추길(assimilation) 요구하는 것이다. 그래서 그렇지 않은/못한/않는 이들은 배제될 수 밖에 없고 이단자로 배척될 수 밖에 없다. 사실 성별화된 문화로서의 집단주의는 거의 항상 전시성폭력과 연속상에 놓여 있기에 끔찍한 몸앓이를 떨칠 수가 없다. 지난 2002년 월드컵 때 보여주었듯 그런 집단주의, 집단의식을 강화하는 행동들은 그 자체로 폭력성을 내제하며 실제 행사한다.
이런 집단주의가 한국/서울에서 가능한 이유가 무엇일까 몸앓아 보면 그것이 고려대와 연세대라는 학벌주의/인종주의/’정상성’이데올로기 등이 강력하게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지 ‘아름다운 낭만’같은 건 아니다.
(고연전/연고전 문화 내부에서 발생하는 섹스, 섹슈얼리티와 관련된 문제는 여기선 논외로 하고. 정말 말해보고 싶은 부분이지만.)
한국사회에서 담보하는 가장 특화된 이들, 한국의 ‘정상성’을 획득한 이들만의 권력과시라는 측면을 성찰하지 않는다면 결국 폭력이라고 몸앓는다. 고연전/연고전이 어떤 부분에서 긍정적인 의미를 발생할 수도 있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