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깐은 괜찮아

잠깐 아주 잠깐, 그래서 몇 시간 정도는 이렇게 시간을 풀어 놓고 물 속에서 놀아도 괜찮아. 욕조에의 로망이 있어서, 언젠가는 욕조가 있는 집에서 살겠다는 바람이지만 자취생에 입에 풀칠이나 하면서 살 수 있으면 다행이라는 정도의, 거의 유일한 현실 인식으로 살고 있는 루인에게, 지금 시간은 욕조 가득 물을 받아 놓고 그 곳에 잠기고 싶지만, 그저 인터넷을 부유하고 있어. 이 시간 강박. DVD를 보고 싶었지만, 토요일로 미루기로 해. 인터넷을 떠돌다 벌써 이렇게 시간이 흘렀어. 어느 새, 몸은 책을 읽어야 한다는 강박에 시달리고 있나봐. 20여 일의 시간 동안 읽고 밑줄 긋고 이면지에 정리하고 그렇게 정리한 내용을 편집하고, 전체적인 개요 속에 적절한 인용구나 쓸만한 아이디어들을 배치하고… 글을 요약 정리하는 기계가 되고 있다는 느낌을 잠깐 받았어. 일주일 전, 두 편의 논문 중 한 편의 초고를 완성하고 쉴 사이 없이 곧 바로 다음 논문으로 넘어갔을 때. 기계처럼 습관적으로 밑줄 긋고 요약하는구나. 다행이야. 이제 한 동안 그렇게 무식하고 폭력적인 방식이 아닌 그냥 즐겁게 놀 수 있겠구나, 하는 안도감이 들어.

대충 세어 보니, 두 편의 논문에 얼추 90개의 참고문헌 목록이 올랐어. 겹치는 것이 여럿 있으니 제외해도 대략 70여 편의 논문이나 책. 물론 20여 일의 시간동안 모두 다 정리한 건 아니고 어떤 건 이번을 위해 (다시)읽었고 어떤 건 글을 쓰다 예전에 읽은 책의 어떤 구절이 떠올랐고 인용하거나 그 글을 참고하라는 언급을 남겼고 그래서 참고문헌 목록에 올라간 셈이지. 하지만 징그럽다고 느꼈어. 첫 번째 글엔 참고문헌 목록이 50개. 글은 한글2002로 작업해서 A4지로 18페이지. 두 번째 논문의 참고문헌은 40개. 10페이지. 이 무슨 무식한 짓이람.

지난 토요일 첫 번째 논문을 제출하러 가며, 두 번째로 쓸 논문의 개요를 구상하며, 중얼거렸어, “내가 나이기 위해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 내가 나 아닌 척 하지 않기 위해 글을 쓴다”고.

그때 고민 중에 있었어. 토요일에 제출하는 수업은 커밍아웃했고 오늘 제출한 수업은 그렇지 않고. 물론 선생님은 루인의 관심이 퀴어와 트랜스임을 알고 계시지. 루인의 ‘경험’에서 출발하지 않고선 글을 쓸 수 없으니 갈등이 컸어. 어떻게 할 것인가. 남의 얘기처럼 쓸 것인가, 그냥 글을 통해 커밍아웃할 것인가. 잠정적으로 지도교수였음 하는 상황에서 커밍아웃하지 않고 나중에 석사논문을 쓸 수 있을까? 자신 없었어. 그러다 중얼거렸어. “내가 나 아닌 척 하지 않기 위해 글을 쓴다”고. 그래. 그 말은 지금의 루인이 그렇다는 것이 아니라 그러고 싶다고 그렇게 해야겠다는 다짐으로 중얼거린 말이야. 이런 다짐을, 글을 시작하며 쓰는 인용구에 포함하기도 했어.

완성하고 제출하고 나면 어떤 기분일까, 전혀 상상하지 않았어. 그럴 여유가 아니었거든. 8월 초까진 학기 중인 것만큼이나 바쁠 테니까. 아니 그러길 바라니까. 사실 두려웠어. 4월 말부터 계속 바빴고, 지금도 잊지 못하고 있는 그 느낌, 5분 거리에 있는 우체국에 갈 시간도 아까워 징징거리던 그 시간의 빠듯함. 물론 알아. 여유 있게 하려면 얼마든지 여유 있게 할 수도 있단 걸. 어떤 사람은 루인이 논문 초고를 완성하던 날 논문 구상을 하고 있다고 했으니 루인이 유별난 건지도 모를 일이야. 그래도 좋아. 이건 루인의 방식인 걸. 더구나 루인과 그 사람의 실력은 전혀 다른 걸. 한 편의 논문을 쓰는데 일주일이 걸리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열흘 넘게 걸리는 사람이 있고 2~3일이면 쓰는 사람이 있고. 루인은 열흘이 넘게 걸리는 사람. 아니. 그 이상 걸리는 사람. 초고가 제출마감에서 최소한 3일 전에는 나와야 한다고 믿는 쪽. 그건 루인의 실력을 알기 때문이지. 그렇지 않으면 글이 엉망이 되는 걸. 그래서 더 유난스럽고 더 바쁜 티를 내는 거지. 혼자서 일을 벌이고 혼자만 바쁜 척, 하는 유난스러움. 알아. 루인이지만 루인도 재수 없는 걸. 그리고… 두려웠어. 이런 시간의 흐름이 끊길까봐. 그래서 흐름을 잊을까봐. 그래서 더 바쁜 척 하고 더 바쁘기 위해 일을 만들고 그랬나봐. 방학 기간 동안 읽을 책 목록을 벌써 다 짰고 할 일을 벌써 다 정했고…. 할 수 있다 없다의 문제가 아니라 이 흐름을 놓칠까봐, 그것이 두려웠어. 이 흐름이 좋은지 아닌지는 판단할 상황이 아니야. 즐겁기 때문에 계속 이어가고 싶다고 욕망했어. 욕망하고 있어.

제출하러 갔는데, 선생님께서 허무하지 않느냐고 물으셨어. 허무? 무슨 의민지 몰랐어. 그땐 5번째 수정본을 인쇄해서 곧장 선생님사무실로 간 길이었거든. 잠깐 상담을 하고 여성학과 사무실로 돌아가서 玄牝으로 돌아오려고 준비하는 동안, 뭔가 허전하고 허무한 느낌이 몰려왔어. 아, 이런 느낌이구나. 욕심만큼은 아니지만, 그래서 너무 속상하지만, 그래도 제출하고 나면 기분이 좋을 것 같았는데, 그게 아니었어. 더 잘 쓸 걸 하는 느낌부터 아주 멍청한 글을 썼구나 하는 자학, 뭔지 모를 허탈함. 그런 것들이 밀려왔어. 뭔가 하나를 끝낸 느낌. 하지만 이 느낌을 수습하기 보다는 충분히 느끼기로 했어. 소중한 자양분이 되리라 믿어. 모든 시간은 소중한 자양분이라 믿는 것과 마찬가지야. 그래서 후회하지 않는 삶을 살기로 했지. 후회해서 무엇 하느냐고. 그땐 그 선택이 최선이었는걸.

21일 만에 나스타샤와 접속하며 오랜 만이구나 했지만 한 시간이 지났을까, 불안이 밀려왔어. 이렇게 오래 나스타샤 혹은 인터넷을 통한 컴퓨터와 놀아도 되는 걸까, 했어. 몸은 이렇게 변한 거야. 결국 즐기고 싶던 DVD는 토요일로 미루기로 해. 오랫동안, 토요일은 대청소와 한없는 게으름으로 쉬는 날이니까. 그날, 예전에 산 [스윙걸즈]랑 [메종 드 히미코]를 즐기기로 해. 내일은 새로 시작하는 세미나(WIG)를 하는 날이니까, 오늘은 그걸 준비하기로 해.

계보학: 정희진과 벨 훅스bell hooks

수업시간에, 인용과 참고문헌을 쓰는 것은 지식노동자로서 자신의 지식계보학을 쓰는 것과 같다는 얘길 들었다. 일종에, 자신에게 영향을 준 글들과의 관계 지형도를 그리는 행위이며 경우에 그래서 일종의 족보를 만드는 행위다.

학부 시절부터 수업논문을 제출할 때면 참고문헌이 좀 많은 편이었지만(루인은 적다고 느끼지만 다른 사람들은 “많다”고 얘길 해서 “많은 편”이라고 적었다) 그렇다고 그것이 딱히 루인의 족보를 쓰는 일이라곤 느끼지 않았다. 왜냐면 당시엔 인용을 하더라도 그 표기를 지금처럼 엄격하게 하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일테면, 애초 루인의 아이디어와 저자의 아이디어가 비슷하면 그냥 인용표시를 하지 않았다. 이 지점에서 느끼는 것 중 하나는 대학원이라는 학제에 편입한다는 건, 자신의 고민과 성찰을 위해 다른 누군가의 이름을 빌리는 연습을 하는 건 아닐까 하는 의심이다. 다른 때 같으면 각주나 인용표기가 없을 법 한 부분을 꼼꼼하게 인용처리 하고 있는 루인을 느끼며, 그런 느낌이 들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 다시 읽을 기회가 있을 때면, 이건 그 사람의 고민에서 도움을 받았으니 인용표기를 정확히 했어야 했는데, 하는 부끄러움이 들면서 이번엔 루인과 닮았지만 발전하는데 도움을 준 글이 있다면 무조건 인용표기를 했다.

이와 동시에 루인의 인식은 누구에게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받았는가를, 인용표기 및 참고문헌을 쓰며 깨달았다.

그러니까, 정희진 선생님이 루인의 역할 모델인 건, 우연이 아니다. 루인이 수업조교를 하고 있는 선생님은 루인에게, 여성학방법론이나 여성학인식론 과목이 루인이 다니는 학교에 없음을 걱정해주셨다. 여성학이나 페미니즘의 출발점은 세상을 어떤 위치에서 어떤 식으로 경험/해석할 것인가 하는 문제인데, 그것은 다른 학과와의 연계를 통한 수업에선 배우기 힘든 지점들이기 때문이다. (반드시 학제에 있어야지만, 혹은 여성학을 배워야만 알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때론 학제에 있기 때문에 더 모를 수도 있다. 실제 이런 경우가 많다. 루인이라고 예외는 아니다.) 그러며 깨달은 사실. 루인은 정희진 선생님과 벨 훅스bell hooks를 읽으며 배웠구나.

벨 훅스 읽기는 단순히 영어와 놀기 이상이었음을 갈수록 깨닫고 있다. 그것은 어떻게 질문을 재구성할 것인가를 배운 시간이었고 지금의 루인이 서 있는 위치가 유동적임을 그래서 언제든 변할 수 있는 위치임을 깨닫는 시간이었다. 그리고 이는 정희진 선생님 글을 열렬히 챙겨 읽고 강좌를 쫓아다니며 변태하는 과정을 통해 배운 것은, 자신의 위치에서 어떻게 다시 읽을 것인가 였다. 트랜스란 위치가 “피해자” 혹은 “변방인”의 위치라기보다는 지금의 세상을 재구성하고 ‘다른’ 식으로 말할 수 있는 위치임을, 엄청난 상상력과 용기를 주는 위치임을 깨달을 수 있었던 건, 정희진 선생님이 아니었으면 불가능했다. 벨 훅스 읽기를 통해 루인의 중요한 축을 이룰 수 있었던 것도 정희진 선생님이 없었다면 힘들었으리라.

그래서 참고문헌을 쓸 때면, 망설인다. 글 내용에선 인용이 없었다고 해도 참고문헌, 즉 루인의 토대를 이루는 참고문헌엔 정희진 선생님 글이 빠질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한 두 개 넣으면 되지 않느냐고? 아니다. 지금까지 읽은 모든 글을 다 넣어야 가장 정확한 기록이 되는데, 단언하건데, 신문에 쓴 칼럼까지 한다면, 정희진 선생님 글로만 두 세장은 가뿐히 채울 수 있으리라. 그러니 이 번에도 글 속에서 인용한 책과 논문 합해서 세 개만 넣었다.

그러고 보면, 관계망을 그리고 족보를 그리는 것을 파벌을 만들고 계파를 만드는 것으로 착각했나 보다. 그것인 파벌이나 계파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역사를 구성하는 행위의 하나임을, 이제야 깨닫고 있다. 책 서문에 나오는 감사의 말을, 지금까지도 관례적인 형식-한국에서 쉽게 접하는 인맥중심주의의 결과로 몸앓았는데,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것을 때론 그 내용이 정말이란 것을 깨닫는 과정 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