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어문화축제 무지개 2006: 더글라스 샌더스 교수 초청 강연회

더글라스 샌더스 교수 초청 강연회
LGBT인권: UN과 아시아국가 법정에서의 투쟁 (LGBT Rights: Fights at the UN and in Asian courts)

일 시 : 2006년 6월 2일(금요일) PM 7:00
장 소 : 서울iSHAP센타
주 최 : 퀴어문화축제 기획단
주 관 :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후 원 : 아름다운 재단 공익변호사모임 <공감>

더글라스 교수는 일본(Occur 건), 한국(Exzone 건), 홍콩, 그리고 피지, 필리핀, 인도 등의 국가에서 있었던 법적 투쟁들을 소개하고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다. 가령, 홍콩의 경우, 중국반환을 앞두고 개정한 법령에서 동성애 허용 연령을 21세로 제정한 것과 관련해 William Roy Leung이 소송을 제기해 승리를 얻어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승소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남성, 여성의 성적 지향은 대부분 청소년기 이전에 결정된다는 연구결과와 Willaim Leung 자신이 청소년기 이전에 이미 동성애적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 증언이었다.
피지의 경우, 동성애가 자연의 법칙을 거스르고 음란하며, 나아가 사회의 주요한 위치에 있는 보수층들의 윤리와 충돌하기 때문에 동성애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동성애를 합법화하는 조항을 피지 법령에 추가시키는 것에 대한 논란이 있었지만, 법정에서는 모든 사람들에게 자유를 보장하는 헌법조항과 UN의 인권 협약에 따라 동성애를 인정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이들 판례들이 보여주는 것은 CHR(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나 UNHRC(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mmittee)와 같은 국제 단체들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한 동성애인권에 관한 기준들이 아시아 각국의 법정에서도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이다.
만약 국내적인 반대에 부딪치더라도, 국제법이라는 강력한 근거를 들어 동성애 합법화를 요구하면, 정부에서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을 분석해 인권운동의 또 다른 전략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가는 길 약도

홈페이지는 여기로

퀴어문화축제 무지개2006의 행사에요. 루인은 내일 여기로 갈 예정이에요. 흐흐흐.

여이연 제 17회 콜로키움: 성노동자 권리와 폐지주의

[17회 콜로키움] 성노동자 권리와 폐지주의- 네덜란드와 스웨덴 사례를 중심으로

일시: 2006년 6월 2일 금요일 오후 6시 연구소
발제: 김혜진

발제를 해주실 분은 네덜란드 성노동자 운동 활동가로 발표를 영어로 하게 됩니다.
물론 친절한 통역이 있구요.
통역은 박이은실 님이 해주십니다.

성산업내에서도 엄청난 다양성이 존재한다. 성노동자들의 경험은 매우 긍정적인 데서부터 매우 부정적인 데에까지 다양하며, 이 중 대부분은 양 극단에 있기보다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서로 다른 유형의 성노동에 따라 노동조건도 다르며, 성노동을 하는 지역들도 매우 다양하고, 또한 이러한 조건 하에서의 경험들도 개별 성노동자들의 개인적 맥락에 좌우되기 마련이다. 그런데도 성노동과 (인신)매매(trafficking)을 다루는 담론들은 다양성을 거의 이야기 하지 않는다. 이를 폐지주의와 함께 네덜란드와 스웨덴의 사례를 중심으로 성노동의 논의를 살펴보려 한다.

최초 게시물은 여기로

관심있는 분은 참고 하세요. 루인은, 아마 다른 곳에.. 흐흐.

지도교수 정하기

루인의 전공을 아는 사람은 누구나 인정하지만 루인의 논문을 지도할 교수를 찾는 일은 너무도 어려운 일이다. (여기서의 전공은 학과인 여성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논문의 주제나 주로 공부하는 영역이란 의미로.) 그래서 대학원에 입학할 때부터 지도교수를 누구로 할 것인가는 큰 문제의 하나였다. 물론 논문은 교수가 쓰는 것이 아니고 자기 논문 주제에 대해 가장 잘 아는 사람은 쓰는 사람이지만 그렇다고 지도교수를 무시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루인의 고민은 지도를 잘 해 줄 사람을 찾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소통할 수 있는 사람을 찾느냐의 문제였다. 여성학과 내에서도 트랜스나 이반queer에 혐오/공포를 가진 사람이 많고 혐오/공포는 ‘없다’고 해도 공부를 한 사람이 극히 드물기 때문에 루인에게 지도교수는 도움을 줄 읽을거리를 짜주거나 방향을 정해주는 사람이 아니라(설마 이런 경우야 없겠지만) 루인의 논의 방향과 소통할 수 있는 사람 그래서 꼼꼼하게 점검하며 논리적인 문제나 여러 얘기를 나눌 수 있고 그런 과정에서 ‘지도 받을 수 있는’ 역할이었다. 이렇게 적으면 지도교수의 역할을 상당히 폄하하는 것 같이 들릴 수 있겠지만 정반대다. 루인도 정확한 방향을 잡을 수 없는 상황이고 때로 관두고 싶을 정도의 막막함에 부딪힐 지도 모르는 상황이기에 지도교수는 가장 무서운 거울이다.

그래서 입학하기 전에, 입학을 하고서도 내심 예정하고 있던 선생님은 세 분 정도에 머물렀다. 뭐, 현재의 운영위원 선생님들 중 대학원에 입학하기 전부터 알고 있던 선생님이 네 분이고 그 중 한 분은 “여성학과 운영위원인 것이 의심스러워”라고 말하는 분이니 세 분으로 좁히는 것 외에 별다른 방법이 없었다. 그리고 다시 줄이자면, 루인의 논문 방향을 사회학으로 분류한다면 한 분 뿐이었다. 운영위원 선생님들의 전공이 상당수 인문학이고 사회학과 소속인 분은 한 분 뿐이었다. 하지만 도대체 인문학과 사회학의 차이가 무언지 구분을 못하는 루인으로선 이런 구분은 별 의미가 없었다. 학술적인 글쓰기와 대중적인 글쓰기가 어떻게 구분이 가능한지 모르겠고 수학과의 상상력과 인문학의 상상력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지 모르는 루인으로선(그런데 도대체 어디까지가 인문학이고 어디까지가 사회학이고 어디까지가 자연과학이야?) 선생님의 소속 학과가 문제가 아니라 그 분들의 개별 전공과 수업을 통한 느낌으로 결정할 문제였다. 그렇게 ㄱ, ㅈ, ㅊ의 세 분이 후보 목록에 있었다.

뭐, 이런 식으로 말하면 학생이 원하면 교수가 무조건 응해야 하는 것처럼 여겨질 수 있겠지만, 반드시 응해야 하는 건 아니다하더라도 현재 루인의 학과는 특성상 학생이 교수를 선택할 수 있는 상황이다. 교수 대 학생의 비율이 3 대 1이니 그럴 수밖에.

이런 고민 속에서 한 학기가 끝나가는 상황이다. 아니 정확하게는 세 달이 지났지만 넉 달도 안 되는 한 학기 일정 상 6월 달은 이미 끝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전혀 의외의 변수가 발생했다. 사실, 학교에 몸담고 있지 않은 사람을 지도교수로 선정할 수 있다면, 다른 가능성은 있는 편이다. 타 대학에 전공이 일치하진 않는다 해도 어느 정도 근접한 선생님이 있고 기계적인 교수 평가제도가 싫어서 교수 자리를 버리고 떠난 선생님이 한 분 있다. 후자의 경우, 루인이 하고 싶은 방향과 상당히 밀접하기에 논문지도교수로 제격이었다. 어쨌든 이런 상황에서 말 그대로 의외의 방향이 생겼다.

이 의외의 변수는 수업을 들으면서이다. 현재 듣고 있는 ㅅ선생님은, 사실 그전까진 잘 몰랐다. 페미니즘 관련 책을 쓰신 적이 있고 예전에 친구가 한 번 정도 수업을 들으면 책이든 논문이든 글을 꼼꼼하게 읽으시기 때문에 도움이 될 거라고 추천한 정도, 이상의 정보가 없었다. 이런 이유 중 하나는 기본적으로 그동안 루인이 주로 읽거나 찾은 글의 주제와 선생님이 주로 쓴 글의 방향이 달랐기 때문이었다. 물론 겹치는 지점이 있긴 했지만 그 지점은 루인이 나중에 하겠다고 미뤄뒀기 때문에 지금까지 만날 일이 없었다.

수업을 들으면서 ㅅ선생님에게 논문지도를 받으면 좋겠다고 느낀 건, 여러 가지가 있다. 수업 시간에 퀴어 관련 얘기가 나올 때마다 다른 학생들의 혐오증을 달래면서도 다르게 사유할 수 있는 방법을 얘기하신다는 점, 글을 꼼꼼하게 읽으며 어떻게 상상할 것인가를 얘기한다는 점, 학생들의 말에 귀 기울이며 함께 해석한다는 점 등등. 이 모든 부분이 선생님과 하고 싶은 요인으로 작동하지만 첫 번째가 사실 가장 크다. ㅅ선생님을 알기 전, ㅈ선생님을 내정하고 있을 당시, 그럼에도 망설인 건, 트랜스나 이반 관련 감수성이 너무 없었기 때문에(혐오/공포 발언을 하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고민을 하는 것도 아니었다) 많이 망설였다. 그랬기에 ㅅ선생님은 더 이상 망설일 상황이 아니었다.

그래서 5월이 들어서부터일까, 어떻게 하면 지도교수를 정할 수 있는지 주변에 묻기 시작했다. 주변이라고 해봐야, 같이 수업을 듣는 박사과정에게 였다. 마침 그 분도 ㅅ선생님께 논문지도를 받고 있었기 때문. 루인과 같은 과엔 아직 논문을 쓴 사람이 없기에 물어볼 상황이 아니었다. 내심 정하고도 계속해서 망설였다. 어떻게 할까.

사실, 고민의 가장 큰 부분은 거절하시면 어떻게 하나였다. 흑흑. 소심함이 발동하는 이 찰라. 딱히 다른 선생님도 없는 상황이기도 하지만 거절이 두려워 뭔가를 못하는 지점이 많은 루인으로선 가장 큰 고민은 이 지점이었다. 어떻게 말을 꺼내야 하는지, 어떤 식으로 하면 되는지도 걱정이지만, 사실 거절이 두려워 시작을 못한 셈이다. 그래서 책을 좋아하는 지도 모른다. 책이랑 노는 일은 거절당할 일은 없잖아. 비록 지금의 루인이 읽기에 버거운 텍스트가 있을지언정 거절을 하진 않지만, 사람은 그렇지 않으니까. 그래서 많이 망설이고 있다가, 월요일에 있었던 발제가 끝나면 찾아뵙고 부탁해야지, 했다. 그런 상황이었다.

그런데, 어제인 화요일, 다음 학기 대학원 강의 개설 문제로 선생님들과 학생들이 같이 모인 자리가 생겼다. 그날, 다음 학기부터 개인연구를 하겠다고 그 전부터 선생님들께 말한 상황이었기에, 월요일 저녁부터 학업계획서를 간단하게 준비하고 있었다. 학업계획서를 어디까지 써야할지 모르는 상황이었기에 대략적인 주제와 다음 학기에 읽고 싶은 논문이나 책 제목까지 순서대로 목록을 짰다. 그 전에 알고 지내는 한 (강사로 있는) 선생님께 물어보니, 희망목록을 짜도 괜찮다는 얘길 들었기에 몇 주간의 사전 준비를 통해 그렇게 했다. 그렇게 어제가 되었다.

수업을 통해 어느 정도 익숙함에도 불구하고 말을 꺼내기까지 많이 망설였다. 이런 자리에서 부탁해도 되는지 하는 불안에서 거절하거나 하면 어떡하나 하는 불안까지. 아무 것도 모르고 누구에게도 물을 수 없는 상황이기에 더욱더 그랬다. 그렇게 한 시간 정도의 시간이 지났고 마침내 얘기를 꺼낼 수 있는 절묘한 상황이 생기자, 선생님께 간단하게 쓴 학업계획서를 보여 드렸다. 선생님은 놀라셨지만 싫어하는 표정은 아니라고 느꼈다. 그리곤 수락해 주셨다. 아… 기뻤고 그래서 “고맙습니다”란 얘길 했는지도 기억이 안 난다. 그 만큼 좋았다. 곧 선생님은 말씀 하셨다. 지도교수는 단지 논리만을 봐주는 것이지 논문에 대해 가장 잘 아는 사람은 논문을 쓰는 자신이라고. 선생님도 학위논문을 쓸 때, 지도교수에게 그런 얘길 들었다며 그런 얘길 해 주셨다. 그러고 나선, 강의 개설에 개인연구 과목 개설에 신경을 더 써주셨고 그렇게 진행되었다.

이제 어떻게 해야 하나, 고민이다. 대학원 학제를 전혀 모르니 어떻게 해야 할까. 지난 주 있었던 여성학과 행사를 준비하며, 한 선생님과 얘기를 나누던 중, 루인의 성격으로 봤을 때 선생님과 친밀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거나 잘 보여서 성공하긴 힘들 테니 성적이라도 잘 받아야지 않겠느냐고 깔깔 웃으며 얘기를 나눴던 적이 있다. 사실 그대로다. 하지만, 수락 받았다고 마냥 있을 수만은 없는 일 아닌가, 하는 걱정. 다음 학기 시작할 때까진 그냥 조용히 있으면 되는지 방학 일정이나 뭐 다른 얘기를 위해 한 번은 찾아뵈어야 하는지, 등등. 아, 우선은 루인이 희망하는 논문과 책이 괜찮다면, 제본해서 드려야 하나? 으아아~ 모르겠다. 당장은 기말 논문만 신경 써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