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함과 만나는 취약함

둘도 많다는 말을 떠올렸다. 한편으론 맞는 얘기다. 오늘이 그랬다. 두 명이었지만 그래서 더 좋은 세미나가 되었다. 하지만 몸이 좋지는 않다.

참 이상한 징크스이다. 지금까지 총 8번의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는 중이다(이때의 한 번은 일주일의 한 번이 아니라 새로운 주제로 세미나를 하는 것을 한 번으로 한 것, 그러니 한 권의 책을 다섯 번에 걸쳐 한다면 세미나를 한 번 한 것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 중 발제를 8번을 했는데 8번 세미나 전체를 다 한 것은 아니고 한 번은 하지 않았고 다른 세미나 때 발제를 두 번 했었다. 그리고 거의 항상 가장 신경 써서 준비한 발제일 때 마다 참가자가 유난히 적거나 발제가 취소되곤 했다. 다양한 영상까지 준비했던 발제가 사실 상 취소되었을 땐 타격이 커서 그 다음 세미나 땐 발제를 하지 않았다. 하고 싶지 않았으니까.

어째서 가장 욕심을 내서 준비한 발제일 때, 이렇게 되는 걸까. 많은 사람의 얘기를 듣고 싶은 바람은 루인에겐 과도한 욕망인걸까. 이런 불필요한 자학성 발언을 하면서 스스로를 위로한다. 이런 몸이다, 지금의 루인은.

사실 누구의 잘못도 없다. 그저 혼자서 만신창이가 되어 너덜해진 상태라고 느끼고 있다. 그래서 괜히 함께 세미나를 한 사람에게 불똥이 튀었다. 죄송해요. 그리고 고마워요. 하지만 정말 다시는 발제를 하고 싶지 않은 몸이었다.

끝나고 여이연에서 하는 주디스 버틀러 강좌를 들으러 갔다. 지난 세 강좌가 너무도 만족스러웠기에 신나는 시간을 기대했다. 오늘의 주제는 [불확실한 삶: 폭력과 애도의 정치학]. 강좌를 들으며 루인의 너덜해진 상태가 묘하게 치유되는 느낌을 받았다. 어차피 취약한 인생이다. 태어났다는 것이 이미 고통으로 들어간 것이고 소멸을 향하니 취약한 삶이다. 사람은 혼자 사는 것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살아가고 그렇게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상처받기 마련이다. 이 취약함이 살아가는 힘이다. 취약하니 좌절하자는 것이 아니라 취약함을 응시하며 그것을 고민하자는 것이다. 아니다, 이런 내용은 아니지만 지금은 이런 식으로 읽고 있다.

그냥 계속 발제를 할까 어쩔까. 안다. 다시는 발제를 하고 싶지 않은 것은 이랑으로 지속하기 위한 최선의 행동이라는 걸. 발제를 할 때마다 사람이 없을 거라는 불안에서 벗어나는 방법 중에는 불안이 생길 가능성 자체를 만들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불안 속에서 때로 불안이 현실이 되어 너덜해진 몸을 느끼는 것이 취약함을 직면하고 변태하는 힘이 되지는 않을까, 하는 위험한 기대.

정말 불안한 것은, 이러다 어떤 모임을 떠나 두 번 다시는 아는 척도 안 하고 지내는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그랬다. 시간 약속에 강박적으로 바뀐 것도 그 모임을 경험한 이후다. 힘들다는 얘기를 하기 싫었고 주변 사람들 중 몇 명은 그런 루인을 불안해하며 걱정했지만 맡은 일이 끝났을 때, 그곳과의 끈을 끊었다. 하지만 짧고 굵게 보다는 가늘고 길게 하는 것이 좋다. 한때 잠깐 활동하고 떠나는 것보다는 지속적으로 오랫동안 생존하며 활동하는 것이 좋다. 그렇게 떠나고 나면 루인의 삶에서 부정하기에 복원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도 안다.

떠나고 싶지 않기에 발제를 하지 않으려는 것이다. 하지만 이건 생존하려는 행동이기 보다는 회피하려는 것은 아닐까. 불안과 취약함을 직면할 용기가 없어서 도망치고 싶은 건 아닐까.

이런 취약함으로 취약함을 직면하려고 한다.
이런 불안함으로 불안과 만나려고 한다.

발제에 앞서 +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인지도 모르는데, 무슨 글을 쓰고 있을 때면 이곳에 쓰는 글의 내용이 조금은 달라진다는 느낌을 받는다. 요즘이 그렇다. 오늘 오후에 있을 발제를 앞두고 발제문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토요일부터 초고를 준비해서 화요일부터 쓰고 있다.

재미있는 징크스 중 하나는 루인이 발제하는 날이면 이상하게도 사람들이 유난히 적게 참가한다는 것. 아님 사람이 거의 없다시피 하여 세미나가 취소되기도 한다. 상처받았다는 얘기다. 소심한 루인. 그래서 지난주엔 아예, 발제문이 부실할 예정이니 안 와도 될 것 같아요, 라고 농담처럼 말했다. 그럼에도 불안하다. 사람이 적으면 아무리 괜찮다고 말해도 속상하기 때문이다.

루인은 글쓰는 습관 때문이기도 하지만, 한 편의 글을 완성하는데 긴 시간이 걸리는 편이다. 학부시절 소논문이라도 낼라치면 길면 한 달에서 적어도 보름은 준비해야만 쓸 수 있었다. 물론 최소한의 초고는 제출마감에서 늦어도 사나흘 전에는 나와야 하고. 끊임없이 수정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항상 불만족 상태로 제출했다. 발제문이라고 다르지 않다. 다른 사람들은 어떤 식으로 준비하는지 모르겠지만, 루인이 발제자가 되면 세미나가 끝난 시점에서부터 다음 세미나가 시작하는 일주일을 고스란히 발제문에 투자하는 편이다. 그렇다고 좋은 발제문이 나오는 것은 아니지만. 잘 알지도 못하면서 어디서 주워들은 것은 있어서 욕심이 많기 때문이다. 요즘은 그나마 영악해져서 주말부터 시작하는 편이긴 하지만(세미나 하는 날이 목요일이기에 가능하다) 그래도 일주일 내내 신경 쓰인다. 그래서 때론, 전날 밤새서 발제문을 썼다는 얘길 들으면 너무도 부러워한다. 루인으로선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길 바라지 않기도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참석한다고 반드시 좋은 세미나가 되는 건 아니지만, 루인이 좋은 사회자/세미나 진행자는 아니지만 많은 사람들이 와서 많은 얘기를 해줬으면 하는 것이 진짜 바람이다. 내용을 자세히 읽고 빨간 줄 긋고, 많은 얘기를 해주는 사람이 루인이 가장 좋아하는 사람이다.

약간의 불안과 긴장으로 남은 시간을 기다린다.

[#M_ +.. | -.. | 발제문은 주말 즈음 이랑에 올릴 예정이네요._M#]

[#M_ ++.. | -.. | 양말 샀다. 우히히. 어제 돌아오는 길에 또 팔고 있었다. 신나게 골랐다. 이히히.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