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통

무수한 혼란과 현재에 대한 불확신. 뭐, 이런 상태에 머물러 있다. 일테면 대학원에 가야하는지 아직도 갈등하고 있고 자신의 능력에 대해 항상 회의하고.

그러면서 하루하루를 견디고 있다.

이런 날들이 성장통이라고 믿기로 했다. 이 통증을 견디고 활용해서 더 성장하느냐 이 통증에 눌려 주저앉느냐. 근대적 인간의 전형인 루인이니 이렇게 ‘단순’하게 몸앓기로 했다.

조심스러움/죄송스러움

수업 시간에 발표를 했다. 안 할 수도 있었는데 그냥 하겠다고 했다. 안 하면 아쉬울 것만 같음. 해도 안 해도 후회라면 하고 후회하겠다는 몸앓이가 들어 하기로 했다.

물론 혼자 한 것이 아니라 모두가 돌아가면서 한 것이기에 특별할 것도 없는데 왜 이런 말을 하는 것일까.

목이 아프다. 목이 쉬었고. 긴장해서이다. 긴장하면 목이 쉬고 위가 아프다. 수업 시간에 그랬다. 시작 때부터 목이 쉬고 위가 꼬이듯 아파왔다. 자꾸 물을 마셔도 갈증. 정말 오랜만의 긴장. 언제였더라. 작년 한 수업 때도 이랬다. 너무 긴장해서 결국 목이 쉬고 배가, 위가 꼬이듯 아팠다. 지금은 그 정도가 더 심해 목이 따끔하다.

어째서인지 선생님께 발표문을 드렸음에도 못 받았다고 했다. 발표 못 했다고 직접 말씀 드렸고 그래서 발표를 하게 되었다. 말하기까지 많은 갈등이 있었다. 하지만 그저 무슨 코멘트라도 듣고 싶었다.

코멘트를 듣고 싶음. 사실 이건 상당한 갈망에 속한다. 글을 쓰고 나면 누군가가 글 전체적인 흐름과 세부적인 사항에 대해 비판을 해주길 바라는 편이다. 하지만 사실 지금껏 만족스러운 상황이 아니었다. (최근 이랑매체 발간 후 고마운 평을 들었다.) 그랬기에 루인의 글에 대한 선생님의 평을 듣고 싶었다. 하지만 선생님은 너무 조심스러웠다.

꼭 그런 것은 아니지만 선생님은 조금 더듬거리는 것처럼 보였다. (처음 본 모습이다.) 왜 ‘사람들’은 자신 보다 정치적으로 소수에 속하는 사람과 있을 때 혹은 자신이 정치적 가해자의 위치에 있을 수 있음을 알 때, 지나치게 조심스러워할까. (뭐, 루인이라고 예외는 아니다.) 이런 지나친 조심스러움도 “지나친 미안함”처럼 일종의 phobia다. 그래서 당황했다. 루인의 모습과 선생님의 모습이 오버랩 되고 포비아가 느껴져서. 우울한 일이다.

루인의 글 속에 루인이 미처 알아차리지 못했을 많은 문제가 있을 것이고/있고 루인이 가지는 세계관에 어떤 문제점이 있을 것이고/있고 무식의 산물도 있을 것이다/있다. 그렇기에 그런 지점들에 대해 코멘트를 듣거나 논쟁이 있길 바랐다. 일전에 있었던 폭력 피해 경험을 제기 했을 때, 루인이 바랐던 건, 사과만이 아니라 루인이 제기했던 문제에 대한 대화/토론이었다. (“지나친 미안함”참조) 그랬기에 선생님의 반응은 아쉬웠다.

목이 아프다. 이번 계획서에 따른 최종 논문을 쓸지 안 쓸지는 모르겠다. 쓰고 싶지만 인터뷰에 자신이 없다. 아직은 단계가 아니라는 판단과 함께.

아무튼 발표 혹은 수업 이후 몸이 완전히 이상해졌다. 붕 뜬 상태. 그래서는 아니겠지만 그래서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소통에 실패했다는 느낌이 몸을 타고 돈다. 죄송한 마음, 미안한 마음이 가득하다. 루인의 잘못이니까. 정말 하고 싶은 말은 이 마지막 말이다.

뒤늦은 숙제하기

사실은 내일까지 해야 할 수업 과제를 하지 않을 계획이었다. 나스타샤를 마주보고 앉아 3시간여 웹 서핑으로 시간을 때우며 외면하고 회피하며 적당히 청강생이란 핑계를 댈 예정이었다.

그런데 같이 수업을 듣는 이랑 친구에게서 전화가 왔고 그래서 한글2002 창을 열었다. 흠…

그렇게 한 시간이 좀더 지난 듯 하다. 아마 과제를 완성하고 제출할 것 같다. 비록 기말 레폿은 쓰지 못하겠지만(쓰지 않을 예정이기도 하지만 아직은 쓸 여건이 아니다) 내일(방금 오늘로 바뀌었다) 제출/발표할 내용이 루인이 공부할 하나의 큰 틀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비록 기말까진 완성할 수 없겠지만 초기 단계에서 정리할 수 있는 좋은 계기는 되는 것이다.

졸린다. 그러니 이제 곧 자야지. 냐하하.

다 못한 부분은 내일 조교실가서 마무리하고. 히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