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포스 PC세이버

란 걸 며칠 전부터 사용하고 있다. 전화가 와선 한 달간 무료라고 설치하겠냐고 해서 일단은 그런다고 했지만 그다지 내키진 않았다. 이런 프로그램을 빙자하여 개인정보를 빼간다거나 할 수도 있으니까. 그래서 확인을 하니 여러가지 기능이 있는 것이었다. 바이러스차단, 방화벽, 파일암복호화, 스팸차단 등등. (스팸메일이 없기 때문에 스팸차단 기능은 그다지 필요한 기능이 아니다.) 한 번 설치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에 매력을 느꼈다기 보다는 방화벽 기능에 매력을 느껴 설치를 했다.

그런데 설치 후 나타난 현상은
[#M_ 이렇다. | 닫기.. |

개인 사이트에서 MP3를 다운받자 갑자기 침입이 증가했다. 왜일까?
_M#] 즉, 종종 뭔가가 침입을 하고 있음과 차단했음을 알리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전에도 항상 누군가가 나스타샤를 침입했다는 의미일까. 흠…

아니면, 고객들이 이 제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끔 하려는 하나포스의 음모? 그러니까 적절한 시간에 뭔가가 침입한 것 처럼 나타나도록 하는…-_-;;

암튼 뭔가 찝찝하다.

부침개 혹은 야채전

몇 해 전, 첫 번째 玄牝에 살던 초기엔 부침개나 야채전 등등 각종 음식을 잘도 해먹고 살았다. 물론 당시 우울증으로 인해 모든게 중단되고 말았지만, 암튼 상을 푸짐하게 차려서 해먹던 시절이 있었다. 믿거나말거나-_-;;;

갑자기 아무것도 못하고 방치하게 되는 그런 시절을 겪은 이후, 뭔가 일을 벌리는 것을 꺼려하게 되었다. 곰팡이가 눈에 보이는 데도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방치하는 자신과 울고 있는 모습을 봐야 한다는 것은, 그다지 좋은 기억이 아니다. 그래서 어느 정도 우울증이 진정된 다음에도 음식을 해먹을 때, 항상 아주아주 간단한 차림을 선호하게 되었다. 시간이 절약 된다는 것도 한 요인이긴 하다. 책이나 음악이랑 놀 수만 있을 정도의 영양분만 보충하면 된다는 자세로 살다보니 음식을 만드는데 많은 시간을 들이길 꺼리는 편이다.

그런 루인이 몇 주 전부터 가끔 부침개 혹은 야채전을 해먹고 있다. 토요일 오전에 작정을 하고 시간을 들여 음식을 한꺼번에 만드는 것이긴 하지만 암튼 반찬으론 나쁘지 않다. (그때그때 부쳐먹지 않는 것은 매번 후라이팬을 씻어야 하는 것이 귀찮아서;;;) 문제는 이 부침개 혹은 야채전이란 반찬이 무겁다는 것이다. 이 음식을 먹고 있으면 몸-胃-이 부담스러워 한다. 시간이 많이 들어도 한 번 해두면 간편한 음식임엔 분명하지만 먹을 때 마다 몸이 무거워 한다면 루인 몸엔 그다지 맞지 않는다고 봐야겠지.

며칠 전에 친구에게서 헬렌 니어링의 [소박한 밥상]을 선물 받았다. (몇 해전 처음 이 책을 접한 것도 친구가 빌려준 것이니 결국 처음 본 그 책이 루인에게 온 것이기도 하다.) 11년 가까이 채식을 해온 루인이기에 [소박한 밥상]과 같은 책은 참 좋고도 소중한 책이다. 언제든 곁에 두고 볼 수 있고 두고두고 볼 수 있으니, 친구에게도 소중할 이 책을 선물로 준 것에 너무 고마워 하고 있다.

이 책의 빵과 관련된 부분을 읽으며 부침가루란 반죽이 루인에겐 맞지 않는 음식은 아닌가 하는 몸앓이를 한다. 재료로 들어가는 채소들을 죽이는 조리법은 아닌가 하는 몸앓이와 함께. 니어링은 모든 채소엔 충분한 수분이 들어 있다고 한다. 그렇기에 따로 물을 더 마실 필요가 없다고 했던가. 야채전을 먹으며 음식의 무거움 뿐 아니라 자주 물이 필요하다고 몸이 반응한다면 그건 조리법에 어떤 문제가 있다는 의미일 지도 모른다. (니어링의 말이 반드시 맞다고 할 수는 없지만 몸의 부담스러워 하는 반응을 보면 적어도 루인에겐 맞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혹은 그런 요리가 루인에겐 맞지 않거나.

그래서 새로운 조리법을 궁리 중이다. 그 결과가 어떻게 될 지는 알 수 없지만, 암튼 뭔가가 나올 것 같기도 하다. (사실, 이미 계획은 세워졌는데 그 아직 실험도 안 했고 결과도 모르니 과정 중에 있을 따름이다.) 과연 어떻게 될런지는…흠…과연…;;

bell hooks란 이름

bell hooks란 필명 혹은 가명은 그의 모계 증조할머니의 이름이라고 한다. 태어났을 때의 이름은 Gloria Watkins.

(이 이름을 선택한 여러가지 이유는 [Talking Back]의 “23. to gloria, who is she: on using a pseudonym”을 참조하세요. bell hooks란 이름으로 인한 여러 에피소드도 같이 실려 있는데 일테면 (글로리아로 알고 있는) 누군가와 페미니즘에 대해 토론하다가 상대방이 벨 훅스에게 한 말, “벨 훅스를 읽어 보세요.”)

이 이름을 선택한 이유 중 하나는 그것이 19세기 흑인여성운동가들의 이름 처럼 보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일테면 Anna Cooper, Mary Church Terrell처럼. (페미니즘 사상사를 배우다 보면 백인여권론자인 Mary Wollstonecraft, Elizabeth Cady Stanton 등은 배우지만 앞서 언급한 흑인여성운동가는 거의 안 배운다. 덧붙이면 [Ms.]란 잡지는 대부분 알지만 [Essence]를 아는 사람은 드문 것 같다. 이 역시 인종주의racism와 제국주의의 결과겠지만… 루인이라고 예외는 아니다.) 19세기 흑인여성운동가들은 용감했고 목소리를 가졌으며 자신의 경험을 말 할수 있었다. 그렇기에 목소리를 억압할 것을 강요 받던 시절, 벨 훅스란 이름은 발화하려는 몸언어를 듣고, 드러낼 수 있게 하는 용기를 주었다고 한다.

재미있는 건, 벨 훅스의 첫 번째 책의 제목 [Ain’t I A Woman: Black Women And Feminism] 중 “Ain’t I A Woman”은 유명한 페미니스트 Sojourner Truth의 말이다. 결국 벨 훅스란 이름과 이 말은 19세기라는 시점과 만나고 있다.

19세기는, 적어도 아프리칸-아메리칸 ‘여성’들에게 있어선 노예해방운동의 시대였으면서 동시에 여권운동에 참여했던 시기다. 벨 훅스의 첫 번째 책, [Ain’t I A Woman]은 페미니즘 내에서 인종 문제가 부상하던 시기에 나왔고 sex-race를 동시에 사유할 것을 단호하게 말하고 있는 책이다.

뭔가 재밌게 만나고 있다는 몸앓이를 지울 수가 없다. 19세기란 코드와 sex-race란 코드가 교직하는 순간.

어쨌거나 낼이면 [Talking Back]도 마무리구나. 그럼 벨 훅스랑은 10월에나 만나는 거야? 우잉~ 아쉬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