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쩐지 기분이 가라 앉아서…

소개글을 읽고 매우 기대한 영화가 별로란 걸 스크린으로 확인하자 기운이 빠졌다. 그리고 나는 멍하니, 터덜터덜 집으로 돌아왔다. 지하철에서 망상했다. 다음주에 모처에서 강의를 하는데 그때 가장 좋은 질문을 하시는 분에게 이제는 구할 수 없는 책, [젠더의 채널을 돌려라]를 선물로 드릴까란 고민을 했다. 정말 제 정신이 아니었다. 심지어 그 책을 받는 사람은 떨뜨럼하겠지.
돌이켜 생각하면 필진 면면이 엄청나지. 나만 빼면. 나는 흑역사를 쌓았지만 다른 글은 대체로 다 괜찮지. 절판이라 아쉬운 책이지만 절판이어서 다행이기도 하지. 후후후. 책은 별로 안 팔렸고 재고는 어떻게 되었는지 알 수 없다. 출판사가 출판사업을 접으면서 절판되었는데 그걸 나중에 알고 재고가 있으면 받고 싶다고 했다. 그 말이 전달은 되었지만 받을 방도가 없겠지. 앞으로도 영영. 어떤 글은 여전히 유의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그 뿐이기도 하고.
아무려나 어째서인지 영화의 여파로 정말 오랜 만에 [젠더의 채널을 돌려라]가 떠올랐다. 아마도 한 가지 확실한 건 여러 권의 자서전이 축적된 뒤에 등장한, 처음으로 트랜스젠더퀴어 논의에 집중한 이론서다(나는 그렇지 않음을 입증하고 싶다). 앞으로 또 언제 그런 책이 다시 나올 수 있을까? [남성성과 젠더]나 [성의 정치 성의 권리]처럼 퀴어 페미니즘을 논하는 책은 나왔지만 트랜스젠더퀴어 이슈에 집중하는 단행본(번역본이 아니라 한국이란 맥락에서 생산한 논의)은 언제 다시 나올 수 있을까. 뭔가 기획 중이란 이야기는 언젠가 들었는데 어떻게 진행되고 있지? 트랜스젠더퀴어 맥락에서 논의를 재구성하는 책이 많이 나오면 좋겠다. 누군가가 많이 많이 써주면 좋겠다. 쪼렙인 나 따위 말고 훌륭하고 뛰어난 누군가가! 나는 언제까지나 지금처럼 살아야지. 글 쓰고 글을 읽고 아카이브 작업을 하고.
아주 못 만든 건 아니지만 기대를 부정적 의미로 배반한 영화의 여파가 크구나. 무려 [젠더의 채널을 돌려라]를 떠올리다니.
심지어 이 글은 그냥 나오는대로 쓰고 있다. 맙소사. 하지만 공개하겠지. 😛
+
영화 제목을 쓰지 않는 이유는, 제가 오늘 악몽을 꾸다 깨어나선 잠을 계속 설쳤고 비염이 제대로 터져선 컨디션이 많이 안 좋은 상태에서 봤기 때문입니다. 다른 상태였다면 평가가 달랐을 수도 있지요.

혐오와 남성성 논의를 연결할 때

어제 시우 님 강의, ‘퀴어 페미니즘, 혐오를 말하다’를 들었다. 기본적으로 무척 좋았다. 강의 스킬이 무척 좋아 배울 부분이 많았을 뿐만 아니라 내용을 잘 조직하였다. 예전에 다른 곳에서도 여유 있게 발표하는 모습을 보며 감탄했는데 이번에도 역시!
강의를 들으며 혐오가 연대를 조직한다는 말을 통해, 혐오가 공동체를 구성하고 공동체의 성원권을 확인하는 작업임을 배웠다. 과거 글을 쓰며 분명하게 설명할 수 없었는데 시우 님 강의를 들으니 이 점을 분명하게 알 수 있었다. 나로선 이것이 가장 큰 성과.
혐오와 관련한 강의를 하며 남성성의 구성을 논했는데 이것 역시 좋았다. 혐오 관련 논문을 읽고 있노라면, 잘 쓴 논문과 뭔가 아쉽거나 애매한 논문을 구분하는 핵심 중 하나는 남성성 범주를 어떻게 사유하느냐에 있다. 그리고 잘 쓴 논문의 대다수는 남성성 범주를 중요하게 분석한다. 혐오의 구성, 혐오를 사유함에 있어 남성성 개념은 무척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여성 혐오가 어쨌다구]에서 남성성 범주 구성을 질문하기도 할 뿐만 아니라 이번 강의에서도 이를 계속 탐문하는 작업이 인상적이었다.
그러나 이 지점, 혐오와 남성성을 함께 사유하는 지점은 나에게 또 다른 고민거리기도 하다. 혐오와 관련한 괜찮은 논문은 거의 항상 남성성을 걸고 넘어지고 남성성 범주를 반드시 같이 고민한다. 남성성을 논하지 않으면서 혐오를 논하기가 어려운 것은 어떤 지점에서 사실일 것이다. 하지만 이런 저런 논문을 읽으면서 떠오르는 고민, 어제 강의를 들으면서도 떠올린 고민은 어쩐지 혐오와 남성성의 연결이 만능 해결책처럼 읽힌다는 점이다. 즉 혐오 논의를 풀어가는 과정에서 남성성 논의를 경유하는 방식이 익숙한 해결책 같달까. 물론 나 역시 조만간에 쓸 혐오 관련 글에서 남성성을 문제 삼을 예정이다. 나라고 달리 뾰족한 수가 있는 것은 아니다. 동시에 남성성을 논하지 않고 혐오, 특히 여성혐오와 LGBT/퀴어 혐오를 논하기는 힘든 지점이 있다. 하지만… 그래, ‘하지만…’이란 어려움(아쉬움이 아니라!)이 남는다.
예를 들면, 이것은 의심에 불과하지만 시우 님이 트랜스/젠더/퀴어연구소가 일단 딴죽부터 걸고 보는 사람이 모인 곳이라고 했으니(후후후) 일단 딴죽부터 걸자면 다음과 같다. 혐오와 남성성의 연결이 어쩌면 트랜스젠더퀴어 혐오, 바이섹슈얼/양성애 혐오 등을 삭제하거나 누락하며 혐오 논의 자체를 단순하게 만드는 것은 아닐까란 강한 의심이 들었다. 동성애자 커뮤니티, 특히 여성 전용 커뮤니티에서 발생하는 바이 혐오는 남성성과 무슨 상관인가? 비트랜스 페미니즘이 트랜스젠더나 젠더퀴어 등 트랜스젠더퀴어를 향해 표출하는 혐오는 남성성과 무슨 상관일까? 물론 mtf/트랜스여성을 향한 혐오가 ‘사내 자식이 왜 기집애처럼 굴고 그러느냐’란 의미가 강하다는 점에서 이것은 남성과 남성성 논의에 해당한다. 하지만 젠더퀴어를 향한 혐오는 남성성’들’이라고 해도 여전히 한계가 명백하다. 자칫 젠더퀴어의 다층적 실천 자체를 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른바 성적소수자 혐오에서 남성성 논의는 게이 남성을 향한 혐오나 가해자를 ‘남성’으로 한정할 때 등 몇 가지 상황으로 제한할 때 의미가 있다(다른 말로 이것은 여전히 중요하고 가치 있는 논의다!). 하지만 가해자가 이른바 ‘남성’이 아니라면? 즉 혐오 논의에서 남성성을 논하는 작업은 그것이 의도하건 의도하지 않건, 대체로 의도하지 않을 텐데, 트랜스젠더퀴어 혐오, 바이 혐오 등 더 복잡하고 미묘한 혐오를 누락할 뿐만 아니라 자칫 이원젠더 체제를 재구축할 수 있다. 그러니 혐오 논의를 진행할 때 남성성을 같이 논하는 동시에 다른 어떤 작업이 추가로 진행되어야 하지 않을까란 고민을 했다.
(물론 저는 다음 글에서 쉽게 쉽게 쓸 겁니다! ;ㅅ; )
사실 이건 어제 직접 질문할까 하다가 이런 저런 이유로 질문을 못/안 했다. 다른 사람의 질문이 훨씬 좋았으니까.
(끝나고 따로 잠깐 관련 이야기를 했는데 그건 비공개 대화니… 생략)
아무려나 어제 강의는 오랜 만에 만족스러운 자리였다. 시우 님께서 앞으로 더 멋진 연구를 많이 들려주시기를. 🙂
+
주말에 완전변태에서 진행하는 세미나에 갈까 말까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 크흡 ㅠㅠㅠ

기억력이… 이름과 얼굴을 기억 못 해서 그만…

슬프게도 나는 나를 아는 분을, 그것도 예전에 어떤 형태로건 인사를 나눈 적 있는 상대방을 못 알아 본다면 그건 예의가 아니라고 믿는다. 이것이 슬픈 이유는 내가 사람 얼굴과 이름을 정말로 못 외우기 때문이다.
“비염을 배우다”(https://www.runtoruin.com/3053)란 글의 댓글을 읽으며 배웠다. 비염이 생활 방식과 성격 자체를 좌우하기도 함을. 이 배움을 조금 다른 곳에 연결해보자.
나는 이미 어느 정도의 오프라인에서 친밀감을 형성한 사람이거나 친구가 아닌 이상 내 얼굴을 알아보는 사람이 없으면 좋겠다는 다소 간절한 바람을 품고 있다. 이 바람은 내가 사람 얼굴과 이름을 정말로 못 외운다는 점과 강한 상관성이 있는 것일까? 예를 들면 10년 넘게 친구로 지내온, 당시엔 유일했던 친구를 예기치 않은 곳에서 마주하곤 못 알아본 적이 있다. 예측할 수 없는 곳에서 마주하면 절친 얼굴도 긴가민가하는 수준의 인지력은 관계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관계를 확장함에 있어 상당한 영향을 끼치겠지. 어느 정도 당연히.
그렇다면 내가 얼굴이 알려지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간절하게 품는 건 다른 여러 이유와 함께 이런 이유도 있는 것일까?
가끔 어떤 사람이 매우 반갑게 인사하는 경우가 있다. 그럼 덩달아 나도 반갑게 인사한다(항상 ‘덩달아’는 아닙니다). 이 정도면 나름 임기응변을 발휘한 것이다. 그리고 상황이 여기서 끝나면 다행이다. 여기서 끝나지 않고 상대방이 내 근황을 묻고 이런 저런 인사를 길게하기 시작하면 나는 곤혹스러움을 느낀다. 그런 말걸기가 곤혹스러운 게 아니라 내가 상대방이 누군지 도저히 기억할 수 없는 상황인데, 상대방에게 누구냐고 질문할 타이밍은 이미 한참 전에 지나갔는데, 나도 상대에게 뭔가 질문을 해야 하는 분위기기 때문이다. 우오어. 나는 이것이 정말로 상대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고 믿는다. 그래서 이런 곤혹스러움을 피하고자 하는 간절함이, 내 얼굴이 알려지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을 만들고, 강의를 기피하도록 하는 걸까 싶기도 하다.
그럼 새로운 친구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란 중요한 문제가 발생한다. 기존의 친구만으로도 충분히 좋다고 고민하지만 여전히 다른 많은 좋은 사람이 있으니까. 친구하고 싶을 정도로 똑똑한 사람도 몇 조우했고. 반복적으로 여러 번 만나지 않는 이상 얼굴과 이름을 기억하지 못 하는 나는 이런 고민과 마주할 때마다 몸이 복잡해짐을 느낀다.
(고백하자면 같은 사무실에 일하는 분의 이름도 몇 달만에 간신히 외우곤 한다. 심지어 그 이름 자체가 유명할 때도 그렇다. 하지만 이 글(https://www.runtoruin.com/2995)을 이미 읽으신 분이라면 지금 글 따위 전혀 안 놀랍겠지. 뉴후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