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6.03. [너 TG? 나 TG!] PM 07:00~10:00 | 서울 i-SHAP센타
1.
두근거림과 설렘으로 도착했다.
많은 얘기를 하고 싶었지만 회의 중엔 아무 말도 안 했다. 루인의 성격이 살아난 찰라. 아무래도 처음 접하는 사람들만 가득한 곳에서 뭔가를 말한다는 건, 아직은 낯설고 두렵다. 말하기 보다는 글쓰기에 익숙하기 때문이다. 뭐, 오프라인으로 알면서 이런 모습을 접한 적 없는 사람들은 “믿을 수 없어!!!”라고 말하겠지만.. 크크크.
어떤 얘기로 소감을 적어야할까, 어렵다. 그래서 어제 이 글을 적을까 하고 접속했다가 제목만 적고 관뒀다. 하고 싶은 말은 너무 많은데 아직 뭐라고 적어야 할지 모르겠다. 아마, 기말논문을 쓰면서 일정 부분 반영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내용과는 별 상관없다고 느끼지만, “보수적이다”, “진보적이다”, “급진적이다”와 같은 말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느낀다. 그날 트랜스를 어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논의를 하며 그리고 뒷풀이 자리에서 관련 얘기가 나와서 하는 말이다. (물론, 법제화 관련해서의 의미이다. 즉, 성별정정관련법안을 만들면서 어디까지를 트랜스로 범주화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만약 법제화가 없다면 이런 식의 재단하는 논의는 그 날 그 자리에 없었을지도 모른다.) 수술까지 해야 트랜스고 성별정정을 할 수 있게 할 것이냐, 호르몬단계에서 할 것이냐, 정신과에서 “젠더 정체성 장애”란 진단을 받으면 정정할 수 있게 할 것이냐의 논의들. 이 과정에서 그리고 나중에, 어떤 사람은 자신의 의견이 너무 급진적이라고 표현했고, 그날 자리에 있는 사람을 지칭한 것은 아니지만, 어떤 트랜스들은 너무 보수적이란 표현을 했다. 물론 이런 표현들이 어떤 맥락에서 나온 것인지는 안다(고 착각하고 있다).
그럼에도 보수적이다 혹은 진보적이다, 와 같은 구별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느낀다. 자신의 의견이 너무 급진적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사실, 특정 커뮤니티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하나의 수사이다. 넌/그들은 너무 보수적이야, 라고 말하는 것 역시 일종의 답답함-소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답답함을 표현하는 수사이다. 그럼에도 이런 수사는 문제다. 보수적이냐 진보적이냐의 문제가 아니라 왜 그 사람은 그런 식의 목소리를 가지느냐가 중요하다고 느낀다.
얼마 전, 한 수업에서, 요즘의 사회가 요구하는 모습처럼 미니스커트를 입고 화장을 한 “여성”을 볼 때면, “남자들에게 잘 보이려고 그러는 건 아닌가”하는 느낌이 든다는 얘길 들었다. 물론 그럴 수도 있겠지만, 그때 루인은 묻고 싶었다, 그 사람이 ‘이성애’자라는 보장이 어딨느냐고, ‘레즈비언'(“꽃펨”? ― TG모임에서 들은 말이다)이거나 트랜스”여성”일 수도 있지 않느냐고. 소심해서 발화하지는 안았다. 그 사람이 ‘이성애’자고 “남자에게 잘 보이려고” 그렇다면 그건 또 어때. 문제는 왜 그렇게 하느냐이다. 어떤 맥락에서 그렇게 옷을 입는가를 알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낀다.
2006년을 살고 있는 루인에겐, 질문을 이런 식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고 느낀다. 그렇지 않으면, 루인의 욕망과 트랜스로서의 삶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때 너무도 수술을 하고 싶었지만 지금에 와서 왜 수술을 하지 않고 현재의 몸으로 살기로 했는지, 그래서 완전히 동화(passing)한 모습으로 살고 있거나 트랜스가 전혀 아닌 것 “같은”(!) 외모로 살고 있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그래서 어떤 트랜스가 “수술을 하지 않은 트랜스는 가짜야”라고 말한다면, 그 사람이 “보수적”이라고 느끼기 보다는 왜 그런 말을 하는지가 궁금하다. 그 날, 국가에 시혜를 바라고 인정받고 싶다는 얘길 들었는데, 지금의 루인으로선 결코 쓰지 않을 언어이며 신랄하게 비판하는 언어지만, 그 사람이 왜 그런 식의 언어를 구사하는지, 그것이 더 궁금했다. “보수적이다”, “진보적이다”와 같은 언설은 그 기준을 말하지 않고 있을 뿐더러(“보수”와 “진보”의 기준은 누가 정하지?) 그 말을 하는 맥락을 묻지 않는다는 점에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느낀다.
2.
잠깐 쉬는 시간에 얘기를 나눈 사람이 있다. 수다회가 끝나고선 전화번호도 교환했다. 루인의 손톱-매니큐어를 바른 손톱을 보고 말을 건네 온 그 사람과 한 얘기.
그 사람의 파트너가 네일아트를 한다며, 루인보고 너무 예쁘게 했다고 관련 도구 세트를 갖추고 있느냐는 얘길 나누다가, 루인이 한 말.
: 발톱이 자랑이에요. 누가 농담으로 한 얘긴데, 루인은 발톱이 가장 예쁘다고. 크크크
농담이 아니라 진짜 들은 얘기다. 흐흐.
파트너가 있느냐는 말에,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독신이라고 했다. 그러자, 독신과 연애를 안 하는 건 다르지 않느냐고, 그래서 대답한 말.
: 안 사귀다 보니 탄력 받아서 계속 안 사귀고 있다고.
재미있다는 반응을 보여서 같이 웃었다.
최근 친구와 비슷한 얘길 한 적이 있다. 연애를 안 하느냐고. 별로 관심이 없다고, 대답했다. 물론 하고 싶다고 해서 하는 것도 아니고 하기 싫다고 해서 안 하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는 철저히 거부하고 있고, 그래서 “연애하기 싫어!!!”하는 아우라를 온 몸으로 내뿜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까. 안 하고 있는 이유는 간단한데, 지금은 책이랑 논문들이랑 신나게 놀고 싶기 때문이다. 그래서 석사논문을 살 때까지(!!!, 어떤 의미에서 대학원은 돈 내고 학위를 사는 제도잖아… 흐흐) 지금처럼 지냈으면 하는 바람이다. 루인의 성격이, 어떤 일에 영향을 받으면 그 타격이 꽤나 오래가고, 초기엔 집착하는 경향이 있어서, 초반엔 아무 일도 못하고 상대방으로 인해 거의 미칠 지경에 이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니 에르노의 [단순한 열정]과 [탐닉]을 너무너무 좋아한다. 딱 루인의 얘기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지금은 그럴 시기가 아니라 책이나 논문들과 미친 듯이 사랑할 시기다.
3.
그러니까, 이 날, 커피를 쏟은 건 징조였다. 뒷풀이 장소로 가는 길에, 샌달이 끊어졌다. 순간 당황. 물론 예상은 했지만 그것이 그날 그 자리일 줄은 몰랐다. 뒷풀이 장소에서 임시 조치를 했지만 헛수고였다. 갈등했다. 맨발로 지하철을 탈 것인가 택시를 탈 것인가. 지금에 와선 그냥 맨발로 지하철을 탔으면 재밌었을 거라고 아쉬워하지만 그땐, 그럴 경황이 아니었다. 그냥 택시를 탔고 택시에서 내려 玄牝으로 가는 길까지만 맨발로 걸었다. 맨발이 좋을 것 같지만 별로. 서울의 도로는 너무 지저분해서 오히려 몸에 안 좋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래도 재밌었다. 유리에 찔리지 않아서 다행이랄까. 갑자기, 맨발로 지하철을 탈 걸 하는 아쉬움이 마구마구 밀려온다. 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