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한 커피

지난 주, [그 밤의 진실]을 즐긴 이후, 뜨겁고 진한 에스프레소 커피를 마시고 싶은 유혹에 빠져있다.

카페인 중독이라 커피를 마시면 하루에 10잔 정도를 마시는 루인이다. 그러다 2년 하고도 몇 달 전, 일이 생겨서 커피를 끊었다. 담배 끊는 사람과는 상종도 하지 말아야 한다는 말이 있(었)는데 루인은 중독이라도 끊어야지 하면 한 번에 끊는 편이다. 커피도 그랬다. 하루에 10잔 정도를 마시다가도 끊어야지 하면 바로 끊는다. 그렇게 2년이 넘는 시간이 지났다.

초등학생 때부터 편두통이 있었으니 그때부터 커피를 마셨다. 그땐 몰랐고 한참 지나서야 깨달았는데, 초등학생 시절부터 커피를 좋아했던 건 편두통이 있었기에 몸이 끌렸던 것 같다. 그런 커피다. 그렇게 오랜 인연이지만 끊음과 중독의 패턴을 반복하고 있다.

루인이 커피를 마셔봐야 에스프레소다. 매장에서 파는 커피는 대개 우유나 크림 종류가 들어가니까. [그 밤의 진실]을 즐기고 나온 이후 커피를 마시고 싶은 욕망이 몸을 타고 논다. 마시고 싶다. 하지만 악순환의 고리에 들어가는 샘이라 마시고 싶지 않다. 마시는 순간 루인이 커피를 마시는 것이 아니라 커피가 루인을 마시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욕망의 쾌락. …조만간?

주절주절

#
이런 걸 히스테리라고 부를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속이 뒤집어졌다. 은유로서가 아니라 정말로.

주말에 충주에 갔다. 토요일에 가서 하룻밤 자고 일요일 낮엔 차를 타고 돌아다녔는데, 아침에 먹은 음식이 상했던 것 같다. 이때, 상했다는 건 다른 사람이 먹어서 문제가 생긴다는 의미가 아니라 루인의 몸에만 이상 반응을 일으킨다는 의미. 아침을 먹고 속이 안 좋았지만 몇 시간을 차를 타고 돌아다녔더니 속이 매스껍고 머리가 아팠다. 차에서 내려 머물던 곳에 돌아갔을 땐, 몇 번인가 토했고 쓰러져 잠들었다.

대학원 수업 준비로 인해 충분한 휴식이 없었다. 쉬는 날이 없는 건 아니었지만 언제나 수업 준비로 인한 강박에 스트레스 상태였다. 물론 이 스트레스 상태를 즐기기도 한다. 이런 긴장 상태가 자극이니까. 암튼, 이런 와중에 충주에 내려갔고 읽을 책들은 많은데 “놀고” 있다는 압박이 겹쳤나 보다. 여기엔 충주에 별로 안 가고 싶다는 몸의 거부반응도 함께 작용했으리라.

결국 속이 뒤집어져서 뻗었다. 두어 시간 휴식을 취한 후, 다시 서울로, 玄牝으로 돌아오는 길에 몸이 조금씩 좋아졌다. 물론 토하고 메실차를 마시는 등의 간단한 조치를 취한 결과이기도 하겠지만, 玄牝에 도착할 즈음엔 많이 좋아졌다는 건 재밌는 일이다. 물론 오늘 아침은 굶었고 그래서 몸이 조금은 좋아져서 저녁엔 밥을 조금 먹었다.

#
요즘 봄 날씨만큼이나 감정의 변화가 들쭉날쭉하다. 바람났다. 크크.

분노의 사진/흉터/부치 미스티끄

제 8회 서울여성영화제
2006.04.14.14:00 아트레온 4관 F-7, [분노의 사진/흉터/부치 미스티끄]

세 편의 영화를 같이 즐길 경우 생기는 문제는, 특히 루인 같은 인간일 경우 한 편의 영화에 열광해서 다른 작품의 내용을 잊어버린다는 것.

#[분노의 사진]
시각 이미지는 문자보다 그 효과가 더 빠른 편이라고 평가한다. 이런 평가는 특정 누군가의 경험만을 반영하는데 루인에게 이미지를 통한 효과는 문자만큼이나 혹은 문자보다 더 느리다. 아무튼 사진작가의 사진과 다큐멘터리는 이런 시각 효과를 이용한 흑인 ‘레즈비언’의 모습을 드러내는 것.

나레이션 중에 “어떤 사람은 사진을 보고 어떤 사람은 그 내용을 본다”와 비슷한 내용의 말을 했다. 이 말이 와 닿았다. 어떤 사람에겐 신기한 볼거리거나 “문화적 충격”일 테지만 어떤 사람에겐 그 사람이 처한 맥락이 떠오를 것이다.

#[흉터]
인상적이었던 만큼이나 떠오르지 않는다. 아니 벌써 정리하기엔 아직 언어가 빈약하다.

#[부치 미스티끄]
이 다큐멘터리를 즐기다 바로 앞의 두 편을 거의 놓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열광이란 말로 요약 가능.

젠더 혹은 ‘이성애’ 관계 바깥에 있는 이들이 ‘이성애’-젠더 구조에서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은 자신의 욕망과 ‘이성애’-젠더 구조가 요구하는 모습 사이에서 협상하는 것. ‘남성’우월주의 사회에서 ‘레즈비언’ 관계가 혐오범죄로부터 그나마 안전하기 위한 전략의 하나로 “부치”라는 이미지가 등장한다. 이른바 ‘남성’스러운 모습을 선호하고 ‘여성’다운 모습을 싫어한다는 이미지. 거칠고 힘이 센 모습. 물론 이런 이미지/환상은 다른 모습을 지우는 폭력으로 작동한다. 그래서 인터뷰를 한 사람 중 한 명이 했던 말 “부치는 죽지 않는다. 다양해질 뿐이다.”라는 말에 열광했다. 아아, 너무 좋아!

또 다른 접근은 부치-‘레즈비언’과 트랜스와의 관계. 루인은 이 다큐를 즐기며 부치와 FTM(female to male)의 밀접한 관계를 느낌과 동시에 트랜스가 어떻게 이반queer이론의 범위 내에서만 묶이는지를 느꼈다. 부치와 트랜스’남성’의 경험이 유사하다는 점에서, 인터뷰에 등장하는 한 사람이 트랜스이론을 접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깨달아갔다는 얘기에서처럼, 둘의 관계는 밀접하다. 혹자는 둘 사이에 있어, 과거를 재현하는 방식에 별다른 차이가 없다고도 했다. 하지만 이런 만큼이나 감독은 트랜스를 외면하고 있다. 읽기에 따라선 드랙 킹이나 트랜스로 읽을 지점들도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해선 전혀 말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감독이 전제하고 있는 ‘레즈비언’은 어떤 ‘정체성’일까. 자신을 부치-‘여성’으로 말하는 사람은 부치라고 한 걸까? 그렇다면 ‘남성’으로 환원하지만 자신을 부치-‘여성’으로 말하는 사람은? 다큐멘터리를 진행하는 내내 이 지점에 대해선 말하지 않고 있다. 물론 내용을 전유하는 것이 나쁘다는 건 아니다. 트랜스와 트랜스이론이 기존의 다른 모순을 설명하는데 명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얼마든지 전유할 수 있다. 루인 역시 최근, 몇 명의 페미니스트 작가들의 작품을 읽으며 트랜스 이론으로 전유할 수 있겠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 작가들은 트랜스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지만 루인은 많은 아이디어와 가능성을 느꼈기에 맥락을 설명하며 모색의 방향을 욕망했다. 하지만, 마냥 전유하는 건, 문제가 있다. 앎의 배타적 경계를 세우는 것도 문제지만 탈맥락적으로 전유해서 마치 자신의 의견인양 말하는 것도 문제가 있으니까.

뭐, 어쨌거나 다큐멘터리는 전체적으로 좋았다. 특히나 화장실 문제는 너무너무 열광. 이건 [메종 드 히미코]에서도 느낀 부분. 언젠가 한 편의 글로 쓰고 싶은 문제이기도 한데, 도대체 화장실에 갈 땐 어느 화장실에 가야할까? 치마를 입은 날은 ‘여자’화장실에, 바지를 입은 날은 ‘남자’화장실에 가야할까? 어릴 때부터 습관처럼 가던 곳에 가지만 언제나 불편하다. 그래서 종종 상상한다. 굳이 화장실을 젠더로 나눠야 할까? 다큐멘터리에선 부치 화장실을 따로 만들자고 했지만 쉬운 일이 아니다. 커밍아웃하지 않은 사람은 어떻게 해야 할까? 커밍아웃을 한 경우라면 혹은 했든 안 했든 상관하지 않는다면 모르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엔 여전히 배제하는 방식이다.

#
이렇게 영화제가 끝났다. 아쉬움과 함께 많은 자극으로 에로틱했던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