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4.13.10:30 아트레온1관 2층W-7, [침묵에 대한 의문]
지난번에 쓴 [침묵에 대한 의문]의 후기는 여기서 참고.
너무 좋아서 다시 찾았다. 그리고 다시 열광했다. 이렇게 유쾌하다니. 하지만 영화가 끝나고 나오는 길에 묘한 ‘상처’가 생겼다.
영화 크레딧이 올라갈 때, 옆자리에 앉았던 사람이 일행에게 말했다. “무슨 소린지 모르겠다”고. 같이 온 사람은 뭔가 열심히 설명했지만, 루인 앞을 지나가며 말했다. “배운 사람들이나 좋아하는 영화”라고. 이 말을 듣고 순간, 분개하고 ‘상처’로 다가왔지만 뭔가 들킨 것만 같은 느낌도 들었다.
영화는 언어를 질문하고 있고 침묵의 의미에 대해 집요하게 탐구하고 있다. 다른 사람과 얘기를 하다보면 같은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는데도 서로 다른 나라 말을 사용하고 있는 느낌이 들고 아무리 얘기를 해도 상대가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영화는 바로 그 지점을 말하고 있다.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은 기득권을 가진 사람이기에 사실 이해하지 못한다고 해서 별로 손해 볼 것 없다. 이때 저항자는 상대가 이해할 때까지 열심히 말해야 할까? 이 영화는 “아하하하하하”하며 소리 내어 웃으며 법정을 비웃는다(판사는 법정모독이라고 말한다). 이 지점이 유쾌한 지점이다.
그런데 루인 앞을 지나간 그 사람들은 왜 그렇게 말했을까. “모른다는 것”, “배운 사람이나 좋아”한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 이 영화가 페미니즘/여성학 혹은 이른바 “타자”로 불리는 이반queer/트랜스처럼 기존의 언어와는 다른 언어를 모색하며 책을 읽는 사람들이나 좋아할 영화일까. 고민 없음을 말하지 않고 이렇게 말하는 것이 오히려 엘리트주의가 아닐까. 흔히 페미니즘과 여성학을 배운 사람들이나 알아들을 내용이라고 비판하지만, 정희진 선생님의 말처럼 페미니즘 언어를 접하며 쾌락에 빠지는 사람은 박사학위를 가진 사람이 아니라 이른바 저학력 비정규직 “아줌마”들이다. 어렵다고 말하는 사람은, 오히려 기존의 ‘이성애’ ‘남성’ 언어에 익숙한 박사학위를 가진 사람들이다. 채식(주의)자라고 루인의 위치를 밝혔을 때, “베지테리언도 여러 종류가 있지”라고 말하면서 아는 체 하는, 이른바 배웠다는 사람들보다 “베지테리언”이 무슨 말인지 몰라 “채소만 먹는 사람”으로 바꿔 말해야 하지만 그 의미가 무엇인지, 어떻게 관계 맺고 소통할 지를 한 번에 이해하는 식당 주인을 알고 있다. 대학 혹은 대학원 공부를 했다는 것이 “잘 안다”는 걸 의미하지 않는다. 그래서 그 사람이 지나가듯 한 말에 분개했지만 묘하게, 들키고 싶지 않은 무언가가 드러난 것 같은 느낌이었다.
무엇이었을까. 지적 컴플렉스? 루인의 무식이 주는 열등감? 언어의 빈약함이 주는 갈증? 그 말을 듣고 내내 우울했다. 그 말을 듣고 분개하는 루인이 더 이상한 건 아닐 런지. 어쩌면 루인도 그 사람이 한 말과 비슷한 몸앓이를 하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부정할 자신이 없다. 무엇일까.
어떤 사람의 말에 화를 낸다는 건, 상대의 폭력에 불편한 감정을 느낀다는 의미가 있는가 하면, 상대와 자신을 동일한 위치에 두는 탈맥락화의 과정 때문인 경우도 있다. 루인은 종종 말투가 구어체가 아니라 문어체라는 말을 듣고 글이 (인터넷 게시판 글쓰기의 기준에선) 길다는 얘길 듣는다. 물론 상대는 비난이나 비판하려는 건 아니지만 그래도 뭔가 “다르다”는 느낌에 이런 말을 하는 것이다. 한동안 열심히 해명하려고 애썼다. 이랑의 한 친구는 이와 비슷한 말을 듣고 화가 났었다고 한다. 화가 나진 않았지만 억울했고 상대가 한 말을 부정할 순 없지만 그래도 싫었다. 하지만, 나중에야 깨달았다. 글이 짧은 게 문제가 아니냐고. 루인은 시간 여유만 넉넉하다면 글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사용하는 문장이나 언어를 새로이 해석하거나 “해명”하는 작업들 때문이다. 글이든 말이든 하기 시작하면 길어질 수밖에 없다. 그 만큼 루인에겐 기존의 언어를 그냥 사용하기엔 불편한 지점들이 너무도 많다는 의미다. 그렇기에 루인이 쓰는 글이 길어진다면,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루인에게 글이 길다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해명하려고 하는 건, 상대와 루인의 위치를 동일한 것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
루인은 지난 학기, 한 달 알바비 135,000원을 주는 학부 조교를 했는데, 다른 사람들은 한 달 용돈도 안 되는 비용이란 식으로 말한 것에 화가 났었다. 루인에게 이 돈은 중요한 생계비(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화낼 필요가 있었을까. 자치하는 루인과 서울에 집이 있는 그와의 계급과 환경의 맥락이 다른데. 화를 낸다는 건, 그 사람과 루인의 위치가 같다고 가정해서다. 그런 반응은 그냥 무시하면 그만이다. (말은 이렇게 해도 여전히 그때그때 화가 나는 건 어쩔 수 없다.)
그 사람의 말이 왜 그렇게 신경 쓰고 있는 걸까. 무언가 인정하고 싶지 않은 어떤 지점이 들킨 걸까. 아니면 다른 이유에서였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