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퍼러 로그/글 추천의 간극

#
리퍼러 로그를 따라가다 보면, 재미있는 검색어를 많이 발견한다. (하지만 차마 쓸 수는 없다.) 그 중엔 발견하고 즐거운 검색어도 있는데, 이반, 게이, 레즈비언, 이반검열, 이반SM, 타자의 집단화 등등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반가운(?) 검색어는 트랜스젠더, 트랜스섹슈얼리티, 크로스드레서와 같은 검색어다. 어떤 의미로 검색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
이랑 종이매체 발간을 위해 글 추천에 들어갔다. 아직 모두가 다 한 건 아니지만, 그런 추천 속에 루인의 글이 몇 편 있다. 재밌는 건, 지난 번에도 느낀 거지만, 루인이 쓴 글 중, 루인이 좋아하는 글과 다른 사람들이 읽을만 하다고 추천한 글에서 차이가 생긴다는 것. 루인은 그럭저럭이라고 여긴 글이 다수의 추천을 받는가 하면 애착이 많이 가는 글은 종종 루인만 추천하는 식이다.

이번에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매체를 인쇄할 땐, 결국 다수의 추천에 따르겠지만 글에 대한 접근이 어떻게 다르기에 이렇게 다른 추천이 나오는지는 항상 궁금하다. (이 접점에서 대화와 관계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커밍아웃, 이후: 협상하는 글쓰기/말하기

당연한 얘기지만, 커밍아웃을 했다고 해서, 모든 발화가 자유로운 건 아니다. 한 비밀 리플에 답글을 달면서 이 말도 같이 해야 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리플을 달아 주신 분도 이 사실을 알고 있다고 느낀다.)

모든 글쓰기/말하기는 협상하는 글쓰기/말하기이기에 커밍아웃을 했다고 해서 이곳에 이반queer/트랜스 정체성과 관련 생활들에 관한 아무 얘기나 다 하는 것은 아니다. 이곳에 공개했을 때, 소통할 수 있을 것인가가 관건이며 어떻게 얘기해야 소통할 수 있을 것인가가 핵심이다. 그 전에 이곳에 쓸 것인가 말 것인가로 더 갈등하지만. 물론 이런 협상을 무시하고 쓰는 글도 종종 있지만, 혼자 즐기고 말 것이 아니기에 겪는 과정이다.

이 협상력이 자원이라고 몸앓는다. “약자”, “소수자”로서의 지표가 아니라 생생하게 살아 있음의 지표이다. 이 과정이 언어를 획득하는 순간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