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쩐지 할 말이 없어 이것저것 중얼거립니다.
[태그:] 검색
거인들에게: 자료찾기, 공유하기
특정 주제의 자료를 찾기 위해선 도서관이나 검색사이트에서 주제어를 입력해서 검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요즘 같은 시대엔 이 정도만 해도 웬만한 자료는 찾을 수 있다. 하지만 2000년대 이전의 자료는 그렇지 않다. 언론사 중, 여유가 있는 곳에선 과거 기사도 검색할 수 있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모든 언론사가 그런 건 아니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직접 책을 한 권, 한 권 뒤적이며 목차를 확인하고 내용을 확인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직접 움직여 자료를 찾다보면 예상하지 않았던 곳에서 중요한 자료가 나온다. 심심해서 꺼내 뒤적이던 책에서 그토록 찾던 자료가 나온다거나, 설마하며 목차를 확인했는데 대박 자료가 나오는 식이다. 누군가의 자서전을 읽는데, 그 동안 추측만 하고 있던 내용이 구체적인 사실로 나오는 식이다. 온라인 검색이 나의 일부지만, 여전히 아날로그식 검색을 사랑하는 이유기도 하다.
어젠 1960년대 후반, 1970년대 초반 레즈비언 커플이 결혼을 하고 입양을 했다는 내용을, 우연히 발견했다. 이것은 미국이나 다른 외국이 아니라 한국 상황. 레즈비언 부부도, 마을 주민들도 별스럽지 않게 여겼다고 한다. 이런 자료는 찾으려고 작정한다고 해서 찾을 수 있는 자료가 아니라 우연과 행운이 절묘하게 만나야 한다.
이렇게 자료를 찾고 수집하고 정리하면서, 그동안 흩어진 자료에서 살아 숨쉬고 있던 트랜스젠더들, 혹은 변태들에게 고마움을 느낀다. 많은 경우, 익명으로 남아있지만 그들이 없었다면 지금의 내가 가능했겠는가? 어느 유명한 학자는 자신이 거인의 어깨에 서 있다고 했다. 그 거인들도 대체로 유명인이다. 나는, 혹은 나와 유사한 상황에서 연구하고 활동하는 사람들은 익명으로 남은 거인의 어깨에 서 있다. 어리석게도 한때 난 거인이 없음을 아쉬워했다. 하지만 나의 거인들, 내가 어깨를 딛고 서 있는 거인들은 익명이거나 역사에 기록되지 않았을 뿐이다. 흩어져있고, 잊혀진 기록 속에서 숨쉬고 있는 거인들, 그들이 없었다면 지금의 내가 가능했겠는가.
이런 의미에서 모든 연구성과는 이름 없는 거인의 몫이다. 그들의 삶이 있었기에 현재의 연구가 가능하고, 나의 삶이 가능하다.
암튼 이렇게 찾은 자료는 아마도 올 연말이나 내년 초 즈음 한국퀴어아카이브 퀴어락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을 듯하다. 고백하자면 이렇게 애써 찾은 자료를 공공아카이브에 내놓는 건 쉬운 결정이 아니다. 망설이지 않는다면 거짓말이다. 그 자료를 찾는데 들인 시간과 자료의 희귀함 때문이다. 현재로선 구할 수 없는 자료들도 많아, 혼자 독점하고 혼자 인용하고 싶은 욕심이 없다면 거짓말이다. 남들이 출처를 궁금해 하고, 1차 자료를 구하고 싶지만 나만이 소유하고 있는 그런 자료를 독점하고 싶은 욕심이 없다면 거짓말이다. 하지만 내가 찾은 자료는 나의 자료가 아니다. 단지 내가 찾은 자료일 뿐이다. 자료는 더 많은 이들이 공유할 수 있어야 하고, 궁극적으론 공유가 내게 이득이다. 하나의 자료를 해석하는 방법은 사람마다 제각각이라, 나 혼자 자료를 독점하고 있으면 한두 가지 아이디어 밖에 안 나온다. 하지만 두 명이 그 자료를 공유한다면 적어도 다섯 가지 아이디어가 나온다. 세 명이 공유한다면 못 해도 서른 가지 아이디어가 나온다. 공유란 그런 거다.
아참. 열심히 기록을 남겼던 이들에게도 고마움을 전해야지.
그나저나 글 좀 쓰지? ;;;;;;;;;;;;;;;;;;;;;;;;;
집과 이사, 검색어, OS
01
정말 비가 많이 온다. 밖에 나가기가 두려울 정도.
옥탑방, 玄牝은 이렇게 비가 내릴 때마다 물이 샌다. ㅡ_ㅡ;; 화장실 천장에선 물이 똑똑 떨어지고 싱크대가 있는 쪽에도 천장에서 물이 똑똑 떨어진다. 비가 많이 내린 날이면 바닥이 흥건할 정도다. 방은 물이 새지 않아 다행이다. 책이 젖으면 정말 속상할 테니까. 하지만 방바닥이 습해 조금 불안하다. 바닥에 쌓은 책들 중 가장 아래에 있는 책들이 상할까 걱정이다.
나름 재밌다면 재밌고 신기하다면 신기하게도 이런 곳에서 얼추 5년을 살았다. 슬슬 이사를 준비해야 할 때다. 이번에도 학교 근처로 이사할지 아예 다른 동네로 옮길지 고민하고 있다. 문제는 이삿짐을 싸는 일. 이삿짐 싸는 데 적어도 일주일에서 한 달은 걸릴 텐데 박스는 어디서 구하며 짐을 싼 박스는 어디에 쌓아두지? ㅡ_ㅡ;; 참 대책 없이 살았다. ;;
02
며칠 전부터 이 얘길 쓸까 말까 고민했는데, 그냥 쓰기로 한다.
리퍼러로그를 확인하며 이곳 [Run To 루인]에 들어온 검색어를 확인하다가 깜짝 놀랐다. 검색어는 “숨책 직원” … 헉;;;;;;;;;;;;;
링크를 따라 가면 결과물이 총 8개인데 그 중 4개가 이곳이다. … 혹시 제가 뭐 잘못한 게 있나요? -0- 흐흐. (저 검색어로 검색한 분이 날 찾았는지 다른 사람을 찾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이 리퍼러로그를 확인하고 글을 쓸까 말까를 망설인 이유는, 이 검색어로 검색한 분이 다시 이곳에 올 가능성 때문이다. 다시 이곳을 찾을 때 이 글을 본다면 좀 그렇지 않을까 싶어서 망설였다. 하지만 짧게 언급하기로 한 이유는 검색어 자체가 무척 재밌기 때문이다.
“숨책 직원”이란 검색어를 확인하는 순간, 내가 사는 세상은 검색창과 검색어로 이어진 세계란 걸 새삼 깨달았다. 컴퓨터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순간부터 검색과 링크로 이어지는 세상. 무언가를 찾기 위해선 일단 검색부터 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인터넷이 되지 않아 검색을 할 수 없으면 안절부절 못 하고 답답함을 느끼고. 이런 생활이 몸에 배다 보니,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에도 내 몸은 인터넷을 떠돌고 있다는 느낌이 들 때가 많다. 검색기능이 없는 인터넷은 어떤 모습일지 상상이 잘 안 되고.
언젠간 모든 것이 검색창으로 통하고 그 결과가 개인의 앎을 좌우하는 시대가 오겠지? 뭐, 지금도 어느 정도 그렇긴 하지만. 그래서일까? 몇몇 인터넷 업체가 검색기술에 그토록 공을 들이는 이유가.
03
02의 이야기와 비슷하다면 비슷하고 다르다면 다른 얘긴.
구글에서 내년에 OS를 출시한다는 소식을 듣고, 기어이 하는구나 싶었다. 자신의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모든 걸 웹으로 해결하는 OS라는 건 꽤나 매력적이다. 아직도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곳이 많고, 접속해도 연결이 불안한 곳이 많지만, 인터넷에 접속만 할 수 있다면 무척 편할 거 같다. 이메일을 확인하듯 문서를 비롯한 각종 작업을 확인할 수 있을 테니까. 부산에 갈 때 굳이 후치(노트북)를 챙기지 않아도 될 거 같고. 물론 부산집엔 컴퓨터 자체가 없어 후치를 챙겨야 하지만.;;;
무엇보다 컴퓨터 사양이 높을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확실히 매력적이다. 이런 프로그램이 나올 때마다 나스타샤(데스크탑)의 생명을 연장하는 기분이고. 흐흐. 그래서 기다리는 OS가 있는데, Cloud 1.0이다. 이 역시 모든 걸 웹으로 해결하는 OS란다. 나스타샤와 놀 때 사용하는 기능은 이메일 확인, 웹서핑 정도란 점에서 잘 맞을 거 같다. 아울러 윈도처럼 고사양의 컴퓨터에서 작동하는 OS가 나오는 와중에도 이렇게 저사양의 컴퓨터에서도 작동하는 OS가 나와 다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