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 이성애, 동성애, 양성애, 그리고 이렇게 부를 수 없는

01
ㅅ은 대학에 입학하고 두어 달 정도 지나, 동아리 선배 ㅁ과 사귀기 시작했다. 이 둘은 아마도 ㅅ이 졸업할 때까지는 연애관계를 유지한 듯하다. 같은 동아리에 ㅁ의 동기인 ㄴ은 ㅅ을 처음 본 순간 반했지만 고백이 늦었다. 망설이고 있을 때 ㅅ과 ㅁ이 사귀기 시작했고, 이후 ㄴ은 속만 태웠다. ㄴ이 ㅅ을 좋아한다는 건 ㅅ과 ㅁ을 포함한 동아리 사람들 모두가 알고 있었다. 하지만 ㅅ과 ㅁ이 헤어질 것 같진 않았다. ㄴ 역시 드러내놓고 ㅅ에게 감정 표현을 하진 않았다.

나는 그 동아리에 잠깐 속했다가 탈퇴했기에 이후의 자세한 소식은 모른다. 그저 몇 해 전, ㅅ이 결혼을 했다는 소식을 아는 사람에게 전해들었다. 상대는 ㄴ이라고 했다.

02
ㅇ과 ㅂ은 연애를 하고 싶다는 말을 했지만, 둘이 사귀지는 않았다. 이런 건 웹에서도, 오프라인에서 쉽게 들을 수 있는데, a도 b도 c도 연애를 하고 싶다며 커플들을 부러워하지만, 부러움을 표현하는 이들 각자가 만나고 연애를 하진 않는다. 지극히 당연한 이 풍경. 서로 연애를 하고 싶다는 푸념만 반복할 뿐이다.

다시 ㅇ과 ㅂ의 경우. 주민등록번호의 성별이 같은 ㅇ과 ㅂ에게 ㅊ은 서로 사귀면 어떻겠냐고 말했는데, 이 말과 동시에 둘은 “나는 동성애자가 아냐!”라고 답했다. 하지만 ‘동성’이 사귄다고 동성애인 건 아니잖아. ㅊ은 ㅇ과 ㅂ의 반응이 무척 흥미로웠다고, 내게 말해줬다.

나의 경우를 상상하자. 연애를 안 하고 있지만, 하고 있다고 치고. 나의 파트너가 레즈비언이라면, 바이라면, 이성애자라면 각각의 상황은 어떻게 다른 걸까? 이 모든 관계가 피상적으론 이성애관계로 보일까? 그렇다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곳에선 동성애일까? 레즈비언이 레즈비언과 연애를 한다고 반드시 그 관계가 동성애/동성“연애”일까? 레즈비언과 바이의 연애는 동성애일까, 양성애일까? 레즈비언과 이성애 ‘여성’의 연애는 동성애일까, 양성애일까, 이성애일까? 아니, 다 필요없고 그냥 변태성애일까? 흐흐.

다른 한편, 나의 성적지향과 상대의 성적지향은 반드시 일치해야 할까? 레즈비언과 이성애 ‘여성’의 연애를 상상할 때, 이성애 ‘여성’은 이 관계를 이성연애관계로 설명할 수도 있다. 이성애 ‘여성’의 파트너가 레즈비언 트랜스며 ‘여성’보단 ‘남성’으로 더 잘 통하는 외모라면. 파트너가 여성으로 더 잘 통하는 외모라도 상관 없다. 만나는 둘(혹은 그 이상의) 사람 각자가 자신의 상황을 다르게 설명할 수 있지만, 다를 수 있는 가능성은 무시된다. 한 사람이 동성애자라면 상대로 동성애자, 한 사람이 이성애자라면 상대도 이성애자란 식이다. 개인의 외모로 젠더를 단정하는 것과 꼭 같다.

이런 고민은 일상 생활에선 크게 문제될 것 없지만, 그냥 개개인이 만나는 순간엔 문제가 안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누군가에게 설명을 해야 하는 순간, 누군가에게 ‘해명’해야 하는 순간 심각한 문제가 된다. 동성애자는 동성애자끼리, 이성애자는 이성애자끼리(그럼 바이는 누구와?) 만난다는 인식이 만연한 사회에서 개인의 다양함을 설명하는 건 거의 불가능하니까. 그럼에도 이성애 여성과 이성애 여성이 연애를 할 경우 둘의 관계를 어떻게든 분류해야 한다면 어떻게 부를 수 있을까? 글쎄 ….

03
암튼 제목처럼 저의 연애 경험은 아니었습니다. 요즘 연애하고 있다는 글을 기대하셨다면 낚이신 거죠. 케케. 😛

[영화] 캔디레인, 노 엔드, 뉴 월드: 퀴어영화제 SeLFF 상영작

헝 아이 첸Hung-I Chen [캔디 레인]
로베르토 쿠질로Roberto Cuzzillo [노 엔드]No(End, Senza Fine)
Etienne Dhaene [뉴 월드](The New World, Le Nouveau Monde)

어제까지 퀴어영화제, SeLFF에서 상영하는 세 편의 영화를 꼼꼼하게 살폈다. 말 그대로다. 어떤 영화는 5분 정도의 분량에 한 시간이 걸렸다. 어떤 일로 꼼꼼하게 살펴야 했다. ;;

[캔디 레인](Candy Rain)을 살피는 시간은 내내 유쾌했다. 이야기와 영상 모두 감각적이다.
[캔디 레인]은 기본적으로 네 개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져 있다.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할 때 행복한 사람, 혼자 있을 때 행복한 사람, 함께 하고 싶지만 함께 할 수 없어 불행한 사람, 함께 하고 싶은 사람과 함께 있지만 행복하지 않은 사람. 이렇게 네 종류의 사랑 이야기가 느슨하게 이어져 있다. 영상의 색채가 같은데도 에피소드에 따라 다른 느낌을 준다는 건 이 영화만의 매력이지 않을까 싶다. 네 번째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개그코드는 완전 내 취향이다. 흐흐. 살피는 내내 계속해서 키득 거리며 웃었다. 어떤 장면에선, 앉아 있는 장소가 도서관 혹은 공공장소란 사실을 잊고 박장대소를 할 뻔 했다. 주변 사람들에게 너무 미안했지만, 손으로 입을 가리고 연신 웃었다.
두 번째 에피소드와 네 번째 에피소드에 공감했다.
소개글은 여기

다른 두 편은 인공수정과 아동양육 이슈와 관련 있다. 파트너 관계에서 아이를 갖기로 결정하고, 아이를 갖는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은 다양할 테다. 어떤 이들은 의료과정을 거칠 수도 있고, 어떤 이들은 입양 할 수도 있고, 어떤 이들은 ‘대리모’를 고용할 수도 있고, 그리고 …. 두 편의 영화는 서로 다른 이슈를 전하고 있다.

[노 엔드](No End, Senza Fine)는 인공수정을 하기까지의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인공수정을 하고 아이를 낳고 양육하는 건 깔끔하게 줄였다. 인공수정을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다뤘다. 아이를 갖기로 했을 때, 부모의 반대를 직면할 수도 있다. 이건 두 영화 모두 같다. 문제는 인공수정을 하기 전에 파트너에게 죽을 수도 있는 병이 생겼을 때, 이 글을 읽는 당신이라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유사한 주제를 다룬 영화들에서, [노 엔드]의 변별점은 이 부분이다. 아이를 갖기로 합의했는데, 파트너가 죽을 수도 있는 병에 걸렸다는 걸 알게 된다면 어떤 선택을 할까? 참, 이 영화에선 인공수정 방법으로 의료기술을 사용한다.
소개글은 여기

[뉴 월드](The New World, Le Nouveau Monde)의 초점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아이를 갖기로 결정한 후 이성애가족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해소과정이다. 다른 하나는 정자를 제공한 ‘아버지’의 문제다. 레즈비언 관계에서 임신을 한 사람과 정자를 제공한 타인은, 현재의 가족개념에서 어떻게든 연결이 된다. 임신을 하고 출산을 한 사람은 엄마로 불릴 것이고, 정자를 제공한 사람은 아빠로 불릴 것이다. 그럼 임신한 사람의 파트너는? 아이의 엄마인 것 같기도 하고, 아빠인 것 같기도 하고, 아이와 연결되어 있는 것 같기도 하지만, 또한 완전한 타인 같기도 하다. 정자를 제공한 이가 ‘아버지’로서 자신의 역할을 요구한다면 파트너의 소외는 가중된다. 이 영화는 이 지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영화에서 선택한 인공수정 방법은, 직접 확인하는 수밖에 없다. 꽤나 코믹하다. 놓치기 아쉬울 수도 있다.
두 영화를 살피면서 인공수정이슈와 파트너 관계에선 임신을 할 수 없어 다른 사람의 개입이 필요한 관계를 새롭게 고민할 수 있었다. 공동체, 관계, 아동양육, 인공수정, 출산, 엄마노릇, 아빠노릇과 같은 이슈에 관심이 있는 이들이라면 상당히 흥미로울 듯하다. 커밍아웃이란 주제에 관심 있다면 [뉴 월드]의 몇 장면들이 인상적일 것 같다.
소개글은 여기

암튼 세 편의 영화를 살핀 후, 좋은 영화의 기준이 조금 바뀌었다. 이야기가 탄탄하고 편집이 잘 된 영화가 좋은 영화일 수 있지만, 이제부턴 대사가 적은 영화가 좋은 영화다. ㅡ_ㅡ;; 아, 무성영화 만세!! ;;;;;;;;;;;;;;;;;; 흐흐.

이쯤해서 고백하자면, SeLFF에서 상영하는 영화의 자막을 제작하고 있다. 덕분에 네 편의 영화를 미리 살피는 행운을 잡았다. 위의 영화 평은 준 내부자의 입장에서 쓴 글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모호하다. 아마 단순 관객으로 영화를 접했어도 비슷한 글을 썼을 거 같다.

포스터 및 프로그래머 추천작은

[#M_ more.. | less.. | ..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