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림으로 원고 쓰기

오랜 만에 원고 하나를 썼다. 정확하게는 발표문이다. 미완성 원고여도 괜찮고 메모 수준이어도 괜찮지만 가급적 완성본이어야 한다. 원래 마감은 5월 31일이었지만, 내부 마감 시간을 잘 알고 있기에 과감하게 방금 전 원고를 보냈다. 오늘은 2차 마감시간이기도 하고. 근데 오늘도 실질적인 마감시한보단 빠른 거다. 하하;;

비록 땜빵으로 하는 일이지만 하고 싶은 주제가 있어서 하겠다고 했는데 글쓰기가 쉽지 않았다. 무엇보다도 많은 시간을 이면지와 워드프로그램 앞에서 보냈다. 멍하니 하얀 종이만 보았다. 실제 원고를 쓴 시간은 어제와 오늘 단 이틀. 이틀 동안 200자 원고지로 73매를 초날림으로 썼다. 아하하. ㅠ_ㅠ 아울러 원래 쓰겠다고 했던 주제가 아니라 다른 주제를 썼다. 지난 특강을 통해 정리한 내용을 썼다. 핵심 소재는 “트랜스젠더 혐오 살해”로 알려진 사건이고, 주제는 불안과 폭력을 통해 구성하는 젠더 범주. 고인을 트랜스젠더 부르는 행위를 중심으로 분석했으나, 워낙 초날림으로 급하게 쓰다보니 제대로 못 했다. 물론 이건 변명. 지금 한 게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일 거다. ㅠ_ㅠ

조만간에 여기에 공개하긴 해야 하는데… 차마 부끄러워서.. 으헝헝. 논문이나 그 비슷한 형식이어야 하는데 상상으로 점철했다. 그래도 재밌는 작업이다. 이 글을 이번에 발표하고, 다른 기회에 한두 번 더 얘기해서 전면 개작한 후 다른 주제로 출간을 예정하고 있는데, 과연 어떻게 될는지… 이번 글을 통해 원래 하고 싶은 얘기로 넘어가야 하는데 그게 자신이 없어 주제를 바꾸기도 했다. 다음엔 제대로 할 수 있을까?

정말 하고 싶은 얘기는 간단하다. mtf/트랜스여성의 남성성. 이것은 트랜스젠더 운동을 시작하며 줄곧 가진 고민거리기도 하다. 과연 이번엔 할 수 있을까?

주절주절: 블로그 고민, 구직, 올해 계획

01
트윗과 같은 소통 도구가 늘어나자 이곳, [Run To 루인]을 방치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이곳을 어떻게 운영할까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최근 두 개의 포스트처럼 트랜스젠더 관련 기사를 번역해서 올리거나, 관련 글을 남기는 매우매우 공적인 곳으로 바꿀 건지 다른 어떤 방법을 모색할 건지… 확실히 소통 도구는 많을 수록 복잡하네요.. ㅠ_ㅠ

02
5월 초면 현재 하는 알바가 끝나서 새로운 일거리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네요. 아앍. ㅠ_ㅠ 그럭저럭 바라는 형태는 오전에 5시간 정도, 시급 5,000원? 그 다음은 재택 가능한 알바?

새로운 일거리를 찾아야 하는 상황에서 저에게 무슨 능력이 있나 했더니,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고용시장에서 채용할 만한 자격도 능력도 없는 인생. 고용시장에서 찾지 않는 그런 능력만 있는 이상한 상황. 아하하. ㅠ_ㅠ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야 하는 상황에서 제가 가장 먼저 떠올린 일은, 인터넷쇼핑몰의 포장알바, 오전에 문을 여는 가게의 캐셔 알바 같은 거였습니다. 나중에 아는 분이, 논술채점은 어떠냐고 물어서, 그제야 그런 알바도 있다는 걸 깨달을 정도죠. 결국 제가 어떤 상상력과 역사를 가지고 사는지 알 수 있는 상황이랄까요?

아무려나 저를 고용하실 분 계신가요? … 응? 크크크. 완전 엉뚱한 결론. -_-;;

03
이제 슬슬 올해 계획을 세워야 할 때가 되었네요. 응? 지금은 4월이지만 저에겐 이제야 2010년입니다! 훗.

사실 작년에 2010년 계획을 세웠는데, 지금까지 방치하고 있어서 여유가 생길 때 시작해야겠다는 다짐을 하고 있달까요? 작년 계획은 논문 세 편이었으나 결과적으로 미간행 포함 글 세 편을 썼으니 올해는 공저 단행본 발간을 포함 책과 논문 도합 셋 이상을 계획으로 잡을까요? 크크. 근데 별 문제가 없으면 작년에 쓴 글이 올해 단행본으로 나올 수도 있어서, 이런 계획 자체가 반칙. -_-;; 흐흐.


암튼 뭔가를 쓰는 계획을 세워야겠어요. 쓰지 않으면 재미가 없으니까요. 🙂

10년: 책 등등

한 분야에서 10년이면 달인이 되는 게 아니라, 그제야 비로소 초보를 면하는 거다. 그러니 조급함을 느끼지 말고, 그냥 묵묵히 하고 싶은 일을 하면 되는 것.
(그러데 생계는?)

책방에서 일을 하는 사람이 모두 책을 많이 읽는 건 아니다. 하지만 손님들은 책방에서 일하는 사람은 책을 많이 읽거나, 모든 책을 다 안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다. 물론 책을 많이 읽는 점원도 있고, 거의 모든 책을 다 아는 점원도 있다. 하지만 난 아니다. 난 부끄럽게도 가끔 책을 읽고, 내가 아는 책은 매우 적다. 그래서 손님들이 얘기하는 책의 대부분을 귀설어 한다. 그러니 내가 매우 당황하는 경우는, 책을 추천해달라고 할 때. 으헉. ㅡ_ㅡ;; 내가 가급적 하지 않은 일은 무언가를 추천하는 거고, 그 중에서도 음악과 책은 어지간해선 추천하지 않는다. 이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거니와, 내가 무언가를 추천할 정도로 아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런 질문을 하는 경우, “저도 잘 몰라서요….”라고 얼버무리거나, “책은 추천하는 게 아니라서요.”라고 단호하게 거절한다.
(드물게 추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건 상황과 자리가 추천해야만 할 때 뿐이다.)

혹시 이곳에 들르는 분들은 이런 경우 어떻게 하나요?

암튼 책을 읽은 역사를 더듬으면 10년은 족히 지났다. 10년이라니. 20년은 안 되지만, 독서의 역사가 얼추 20년에 가깝다. (넘었나? ;;; ) 그런데도 난 아직 책을 잘 모르겠고, 모르는 책이 잔뜩이다. 지금 나의 단계는 출판사의 홍보문구에 덜 낚이는 정도. 때때로 광고문구엔 혹한다. 물론 베스트셀러에 낚이는 경우는 없지만. 내게 베스트셀러는 몇몇 경우를 제외하면, 읽지 않아도 되는 책이다. 딱 이정도다. 10년이면 달인이 된다지만 내게 10년 혹은 얼추 20년의 세월은, 초보는 간신히 면했지만 여전히 이제 막 책을 읽기 시작한 사람과 크게 다르지 않는 상태에 이르게 할 뿐이다. 누군가에게 추천할 수 있는 책 목록을 고를 능력은 없지만, 내게 고양이 같은 책, 사과 같은 책, 김밥 같은 책, 육류 같은 책을 구분할 수는 있는 정도. 딱 이정도다.

그러니 10년이면 달인 혹은 전문가가 된다는 말에서 10년은 그냥 숫자일 뿐이다. 나처럼 더디고 무딘 인간은, 20년은 더 파야 할 거 같다. 아니 30년은 파야 간신히 뭐라도 중얼거릴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그래서 강의를 할 때마다, 글을 기고 할 때마다 자학한다. “아직 강의를 하고, 글을 쓸 단계가 아닌데…”라며. 하지만 강의도, 글도 최소한 10년이 지나야 내공이 쌓이니 이래저래 한참 멀었다.

내일이 걱정이다. 으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