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쓰기 위해 삭이는 시간을 두기

어떤 이슈에 긴급하게 개입하는 건 늘 중요하지만, 어떤 이슈에 논평하는 일은 늘 시간을 두고 진행해야 하지 않을까? 이런 고민을 하곤 한다. 물론 입이 무척 싼 나는 이런 걸 잘 못 지키지만 그럼에도 종종 이런 고민을 한다.
그러니까 어떤 상황엔 많은 사람이 긴급하게 개입해야겠지. 그것이 매우 긴박한 상황이라면 더욱 그러하겠지. 하지만 만약 어떤 상황이 어느 정도 종료되었다면 그에 관한 논평이나 평가는 시간을 두고 좀 천천히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왜냐면 그래야만 그 행사를 둘러싼 여러 정황을 좀 더 꼼꼼하게 파악할 수 있으니까.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 마구마구 아무 논평이나 한다는 것은 정말이지 위험한 일이다. 때론 우호적인 척, 같은 편이라 조언을 해주는 것이라는 척 취하는 논평이 ‘적대’적 관계의 행동보다 더 잔인하고 위험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런 논평이 무엇 그리 시간을 다투는 일이라고 서둘러 말하는 것일까? 조금만 시간 여유를 두고 말하면, 속으로 조금만 더 삭이면서 말하면 훨씬 좋을 텐데. 물론 이런 고민은 나의 느슨하고 나태한 성격 때문일 수도 있다.
컨트롤 비트를 다운받고 있습니다.
뭐, 이런 구닥다리 농담을 하고 싶었다. 이제까지 참여한 퀴어문화축제 퍼레이드 행사 중 가장 감동적이고 좋았던 이번 퍼레이드와 관련한 글을 쓰고 싶다. 하지만 나는 서두르지 않기로 했다. 서두를 수 없는 다른 상황도 있고. 하지만 관련 글을 꼭 쓰고 싶다. 이번 행사가 갖는 중요한 의미를, 더 정확하게는 이번 퍼레이드에서 내가 느낀 중요성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 싶다. 하지만 내 의견 따위 서두를 필요 없는 그런 의견이다. 그냥 시간을 좀 더 두고 속으로 삭이면서 천천히 풀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하지만 쓰고는 싶다.
(사실 지난 일요일 관련 감흥을 푸느라 정작 써야 할 글을 제대로 못 쓰기도 했다. 하지만 그렇게 들뜬 상태로 쓴 글은 반드시 묵혀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위험하다.)
컨트롤 비트를 다운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디스전의 핵심은 상대방을 뭉개는 게 아니다. 라임이다. 라임 없는 디스는 상대방을 까는 게 아니라 스스로를 까는 것이다. 논평이나 비판도 이것을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 논평과 비판의 핵심은 존중이고 애정이다. 그냥 ‘널 깔보겠어’, 혹은 ‘내가 얼마나 잘났는지 자랑하고 싶어’, 이런 마음이라면 논평이나 비판을 하지 않는 게 좋다고 믿는다. 물론 이것은 빈약한 나의 믿음일 뿐이지만.
근데 여기서 가장 큰 함정은 … 속으로 삭이는 시간을 둔다고 해서 좋은 글이 나오는 것은 아니란 것. ㅠㅠㅠ

글.. 한없이 평범하고 무난한 글

글을 투고하거나 기고할 때마다 ‘이 글이 출판되면 난 이 바닥에서 매장될 거야’라고 중얼거린다. 워낙 설렁설렁하고 무식한 소리를 지껄여서 나 자신이 불안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적어도 지금까지는 그랬다. 글을 잘 써서가 아니다. 그럴리가. 글 한 편으로 매장되려면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우선, 글이 매우 논쟁적이어야 한다. 그 다음으로 내 글을 많은 사람이 읽어야 한다. 일단 가장 기본적인 이 두 가지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 한다. 내가 쓰는 글은 언제나 한없이 평범하고 또 무난하다. 그래서 어디 모난 구석 없이 둥글둥글해서 불편함을 느낄 사람이 별로 없다. 아울러 내 글을 읽는 사람이 몇 분이나 계시겠는가. 고맙게도 소수만이 읽어줄 뿐 날 매장시킬 수준의 사람이 읽지 않는다. 그러니 ‘이 글이 출판되면 난 이 바닥에서 매장될 거야’란 말은 엄청난 착각이다. 자의식 과잉이라기엔 그냥 허무맹랑한 착각이다. 일단 논쟁적인 글부터 써야 하고, 많은 사람이 찾아 읽고 싶은 글으 써야 한다. 난 아직 이 두 가지 모두에 부족하니 글 한 편으로 내가 매장될 가능성은 별로 없다. 그러니 별다른 걱정하지 말고 제멋대로 글을 지껄여도 괜찮다는 뜻은 아니다. 글 한 편으로 매장될 수 있는 글을 쓰도록 더 노력해야 한다는 뜻이다.

쓸 수 있는 글과 공개할 수 있는 글과 (정식)출판할 수 있는 글의 간극


나의 게으름만 극복한다면 쓰고 싶은 글은 모두 쓸 수 있다. 원하는 주제로 뭐든 쓸 수 있다. 비록 매우 엉성하고 어설프다고 해도 쓸 수는 있다.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지만 노력하면 쓸 수 있다. 이를 테면 작년 여름 쓰고 싶은 주제가 있었지만 능력 부족으로 연기한 적 있는데 포기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 글을 공개할 수 있느냐, 그 글을 출판할 수 있느냐는 다른 문제다. 내가 쓰는 모든 글이 공개할 수 있는 글이 아니며 출판할 수 있는 글이 아니다. 글쓰기와 공개 결정 사이엔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
칼럼에 쓰려고 몇 달 전부터 벼른 소재가 있다. LGBT 공동체에서의 SM 혐오와 배제, 동성애 공동체에서의 공공연한 바이 혐오와 배제, 트랜스젠더 공동체에서의 비이성애 혐오와 동성애 공동체에서의 트랜스젠더 혐오, 그리고 이성애-비트랜스젠더의 비이성애-트랜스젠더 혐오와 배제를 직조해서 글을 쓰려고 했다. 연재하고 있는 칼럼을 단 네 번만 쓸 수 있다면 그때 꼭 쓰겠다고 추린 소재 중 하나다. 연재 일정이 갑자기 바뀌었고 당장 마감해야  하는 상황에서 급하게 이 주제로 글을 쓰려고 했다. 하지만 E와 얘기를 나누다가 급하게 쓸 소재가 아님을 깨달았다. 어설프게 썼다간 비이성애-트랜스젠더를 혐오하거나 싫어하는 집단에게 ‘너네들[LGBT 혹은 퀴어]도 서로 혐오하고 배제하는데 내가 너희를 혐오하거나 배제하는 것이 무슨 문제냐’는 빌미만 줄 수 있겠더라. 이 주제는 어떻게 써도 이런 빌미를 줄 수밖에 없다. 텍스트 해석은 독자의 몫이니까. 그럼에도 만약 이 주제로 글을 쓴다면 긴 시간을 들여 조심스럽게 쓰고 충분히 검토한 다음 출판해야한다는 판단을 했다. 결국 촉박한 일정에도 소재를 바꿨다.
쓸 수 있는 글과 공개할 수 있는 글과 (정식)출판할 수 있는 글 사이엔 엄청난 간극이 있다. 하지만 또 조금만 고민하면 이 간극은 내 상상력의 한계를 알려주는 것이기도 하다. 나 스스로 먼저 선을 그은 것이기도 하고 내가 먼저 겁을 먹은 것이기도 하니까. 그러니 이 간극을 줄이는 작업이 앞으로 내가 할 일이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