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쪽글입니다. 저자가 하고자 하는 얘기를 정확하게 요약하는 것이 쪽글의 의도라 그렇게 적었습니다만… 할버스탐Judith Halberstam의 논의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건 아닙니다… 뭐.. 흐흐.
===
잭 할버스탐(J. Jack Halberstam)의 글은 기술적 재생산 시대에 양육의 젠더 규범이 어떻게 작동하는가란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몇 년 전 오프라 윈프리 쇼에 등장한 임신한 남성 토마스 비티(Thomas Beatie)로 논의를 시작하는 할버스탐은 양육에서, 모성과 부성에서 젠더 질서[gender order]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어떤 다른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지를 탐문한다.
ftm/트랜스남성인 토마스 비티는 파트너와의 협의 하에 자신이 직접 임신했고 이 사실을 인기방송에 공개하면서 ‘세계 최초 임신한 남성’이란 타이틀을 획득했다. 하지만 그 전에도 ftm/트랜스남성의 임신은 공공연했다. 또한 여성만이 임신을 하지 않음 혹은 젠더와 임신 및 출산의 분리 관련 논의는 제2 물결 페미니즘의 초기부터 진행되었다. 1970년대 슐라미스 파이어스톤(Shulamith Firestone)은 여성억압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임신과 출산을 여성이 전담하는데 있다고 해석하며 기술을 통해 여성이 더 이상 재생산을 하지 않는다면 여성은 해방될 것이라고 주장했다(Halberstam, 33-37). 비록 당시엔 이것이 말이 안 되는 얘기 같았지만 IVF, 인공수정, 남성의 임신 및 출산이 가능한 지금 시대에 임신과 출산은 더 이상 여성에게 배타적으로 주어지지 않는 듯하다. 그렇다면 여성에게 부여하는 젠더 규범 역시 희미해지고 있는가? 할버스탐은 이에 대해 부정적인데, “기술이 진전한다고 해도 양육에 부과된 이데올로기는 이전과 같은 상태로 남아 있다”(37)는 점 때문이다. 즉 사라질 것 같은 이원 젠더 구분은 여전히 강하게 남아있다(37).
임신과 출산 기술의 발달에도 여전히 남아 있는 젠더 규범은 2000년대 이후 미국에서 방영된 영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The Switch, The Full Monty, Roger Dodger, Big Love, The Kids Are All Right와 같은 작품은 남성은 쓸모없는 존재거나 남성 파트너 없이 임신하고 출산하는 여성의 삶을 다루면서 ‘남성의 종식(終熄)’으로 해석될 여지를 제공했다. 이것은 ‘남성성의 위기’라고 불리는 시대, 후기산업사회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이 고용되는 시대에 징후와도 같았다. 몇몇 언론은 “남성의 종식”(46)이란 제목을 직접 사용했다. 하지만 이들 작품에서 레즈비언인 여성은 결국 남성과의 밀접한 관계로 마무리되거나, 레즈비언의 성애적 관계는 묘사되지 않고 이야기되지만 이성애 남성의 성애적 관계는 이야기되기보다 묘사된다(56). 남성 없는 임신과 양육이나 ‘대안적’ 가족 이야기에 레즈비언 관계는 여전히 부재한다.
뿐만 아니라 싱글맘가족, 여성가장가족 등 남성이 부재하는 현상은, 후기산업사회의 특화된 현상이 아니라 비백인 집단에겐 과거에도 만연한 현상이었다. 따라서 “남성의 종식”과 같은 언설은 백인만을 염두에 둔 언설이며, 비백인을 함께 고민한다면 전혀 다른 식으로 논의를 진행할 수밖에 없다(50).
그렇다면 가족구성에서, 양육 실천에서 다른 가능성은 어떻게 가능할까? 할버스탐은 자신의 경험을 통해 다른 가능성을 예시한다. 부치-펨 관계는 젠더의 임의성 속에서, 가부장제와 강제적 이성애 없이 권위와 젠더 구분을 가르칠 수 있다(58). 그리하여 젠더를 존재가 아니라 행위로 이해하도록 할 수 있다(58). 뿐만 아니라 학부모 행사에서 부치의 행동은 다른 남성의 행동을 바꾸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59). 남성 뿐만 아니라 여성 역시 가족 관계에서도 다른 가능성을 원한다. 그럼에도 강제적 이성애는, 불완전하고 흠이 많은 이성애를 유일한 가능성, 유일한 젠더 역할, 규범적 양육 방식으로 인식하도록 할 뿐이다(61). 그러니 충분히 매력적인 다른 양육 실천이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