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주의/비건이라는 실천 혹은 망상

01
거의 일주일 전부터 “김치찌개가 먹고 싶어~!!!”를 속으로 외치고 있는 요즘이다. 사실 이럴 때 먹고 싶은 음식은, 바로 그 음식을 지칭하기보다는 그 음식이 주는 어떤 느낌 혹은 그런 맛의 음식(즉, 짜고 매운 찌개)을 먹고 싶다는 바람일 가능성이 크다. 그럼에도 어디 가서 사 먹을 곳이 없다. 김치찌개에 들어가는 고기 때문이 아니라, 젓갈이 들어가지 않은 김치를 사용하는 곳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른바 “채식식당”을 표방하는 곳이 아니면 젓갈을 사용하기 마련이고, 그래서 김치를 먹지 않은지 몇 년이 흘렀다.

그럼에도 너무 먹고 싶다는 바람이 몸에 차오를 때, 특히나 비라도 내고 어떤 얼큰함이 그리우면 더 간절하게 느낀다. “김치찌개~~~” 흐흐. 그럼, 또, 속으로 중얼거린다, “오늘만 채식을 그만두고 사 먹을까?”라고. 크크크. “내일부터 채식하지, 뭐”, 라고 말할 수도 있고, ‘육식하는 채식주의(비건)란 상상력’으로 채식을 해석하려하기에, 김치찌개를 못 먹을 이유는 또 뭔가 싶기도 하다.

1994년 가을 이래로 채식을 계속해서 할 수 있었던 건 “의지가 굳건해서”가 아니다. 언제부터 채식을 했는지 얘기할 일이 있을 때면, 거의 항상 “의지가 정말 굳건하다”고 반응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오해다. 어느 시기까지는 의지로 버텼는지도 모르지만, 지금에 와선 “의지”가 아니라 지금까지 해온 습관 때문이다. 채식을 하겠다는 의지가 아니라 지금까지 해왔으니 내일도 할 가능성이 높을 뿐. 그러니 “나 이제부터 채식 안 해!”라고 자신에게 선언한다고 해서, 식습관이 바뀔 가능성은 별로 없다. 무엇보다도 몸이 거부하기 때문이다. 가끔 루인도 모르게, 그동안 먹지 않던 “음식”을 먹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면 어김없이 몸이 거부반응을 일으킨다. 그러니, “오늘 김치찌개 먹고, 내일부터 다시 채식하지, 뭐, 흐흐”라고 중얼거린다고 해서, 먹을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02
며칠 째, 01번에 쓴 내용의 고민을 했다. 오늘도 비가 내리고, 점심 겸 저녁으로 무얼 먹을까를 고민하다가 김치찌개를 떠올렸다. 무얼 먹을지 결정하지 않은 상태로 연구실을 나섰을 때, 때마침 비가 그친 길을 걷다가, “‘채식을 한다’는 선언은 가능해도 실제 가능한 행동인가”란 의문이 들었다. 특히나 비건(“비건”을 비롯해 채식주의와 관련한 코미디 같은 분류가 궁금하면 여기로)이라는 실천이 정말 가능한 행동일까, 하는 의심이 들었다.

젓갈을 사용하지 않는 김치라고 해서, 유산균이 발생하지 않는 건 아닐 텐데, 그럼 젓갈은 사용하지 않았지만 유산균은 있는 김치를 먹는다는 건 무엇을 의미할까. 유산균은 비록 “고기”라고 분류하는 존재는 아니지만 어쨌거나 “채소”라고 분류하는 존재도 아닌데 비건에게 가능할까? 어쨌거나 “동물”에게서 얻은 건 아니란 점에서 무방할까? 유전자음식을 반대한다는 코미디가 있긴 하지만, 아무려나 “품종개량” 혹은 “병충해방지”란 명목으로 토마토에 어느 생선의 유전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토마토피쉬라고 부르던가? 어떤 명칭이 있었는데 기억이… -_-;;). 그렇다면 생선유전자와 함께 살아가는 이 토마토는 채소일까, 생선일까? 이처럼 실험실을 통한 유전자 이식이 아니어도, 자연 상태에서도 유전자 이식은 무수하게 발생하고 있는데, 표면적으로 채소나 과일 혹은 동물이나 생선으로 여겨진다고 해서 그렇게 분명하게 말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일까? (여기서 트랜스라고 얘기하는 루인의 경험들이 겹쳐지기도.) 이것은 분명하게 동물, 이것은 분명하게 식물이라고 구분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이며, 이런 종(species)들 간의 경계를 분명하게 구분하고자 하는 맥락은 무엇일까? 어떻게 해서, 종들은 섞이지 않으며, 분명하게 구분할 있다는 믿음이 유지될까?

이런 의문들 속에서, 어쩌면 채식주의자 혹은 비건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이야 말로, 종들 간의 “순결한 분리주의자”들이 아닐는지. 종들은 결코 섞일 수 없다고, 동물엔 식물의 유전자나 흔적이 결코 없고, 식물엔 동물의 유전자나 흔적이 결코 없으며, 어떤 경우에도 섞여선 안 되고, 종들을 섞는 행위는 인간에게 위험해서 불매운동이라도 해야 할 일이라는 엄청난 환상이, 채식을 가능케 하는 토대가 아닐는지. 이런 의심들이 들었다. “자연”이라고 불리는 공간에서 일어나는 “돌연변이”는 괜찮거나 그럴 수 있지만, “실험실”이라고 불리는 공간에서 일어나는 “돌연변이”는 절대 안 될 일이라고 믿음의 토대는 어떻게 구성되는 걸까? 죽은 동물의 시체를 먹고 자란 사과를 동물과 분리해서 얘기할 수 없음에도, 비건을 “동물로부터 얻은 모든 것을 배척하는 완전 채식주의“라고 정의(definition)한다면, 이는 동물/식물이라는 이분법에 근거한 실천 혹은 정의일 수밖에 없지 않나.

채식을 실천하는 개개인들이 이런 단순한 구분과 정의로 자신을 설명하지 않는다고 해도, “채식” 혹은 “육식을 하지 않음”이란 상상력의 토대엔 종들 간의 분명한 구분, 그리고 개별 종들은 결코 섞이지 않는 존재란 상상력에 근거하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의심을 품기 시작했다. (여전히 트랜스로 설명할 때의 루인을 떠올리고 있다.)

03
물론 이런 고민을 하면서도, 여전히 지금까지 먹어온 방식의 식사가 가능한 식당에 가고, 지금까지 해 왔던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주문한다. 그러면서도 채식과 관련한 의심을 계속한다. 종들 간의 “분리주의”, “식물은 마치 생명이 아닌가요?”란 질문에 분개하는 일부 채식주의자들의 반응들, 등등. 재밌게도, 이런 의심이 지금까지의 생활 방식을 더 강화하고 있다는 의심이 드는 건 왜일까? 흐흐흐. -_-;;

[#M_ 근데.. | 흐흐.. |
왠지 이 글이, 내일 “김치찌개” 먹으러 가기 위한 변명으로 쓴 글이라는 느낌은 루인 만의 착각? 낄낄낄.
그렇다고 정말 가지는 않겠지만.←이 말이 더 의심스럽다? 케케 _M#]

[#M_ ++.. | –.. |
그러고 보니 쓰겠다고 하고 안 쓰고 있는 글이 한 편 있네. -_-;;_M#]

배수아, 당나귀들, 회색 時

요즘 한 수업이 다소 불만족이라면 다른 한 수업은 너무도 좋아서 어쩔 줄 모르고 있다. 특히나 그 이유는 수업으로서는 드물게 채식주의와 관련해서 한 달 정도 진행하기 때문. 그렇게 읽는 책 중 한 권은 배수아의 [당나귀들]이다. 예전에 채식주의 페미니즘 세미나를 하며 세미나 자료로 쓸 한국어 책이나 논문이 너무 없어 아쉬웠는데, 진작 이 책을 알았다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특히 152쪽에 나오는 “혹은 내가 결코 마음을 상하게 하고 싶지 않은 사람이 건네는 따뜻한 한 그릇의 굴라쉬 수프에 주사위 모양의 고깃덩이가 들어 있을 때, 내가 채식주의자임을 그가 잊은 사실을 가볍게 지적하는 것이 수프 접시의 국물을 떠먹기 전이어야 하는가 아니면 먹은 다음이어야 하는가.”가 가장 크게 남아 있다. 정작 배수아는 그저 흘리듯이 쓴 부분일 수도 있지만, 실제 이 부분과 관련해선 딱 이 부분에서만 기술하고 있지만, 항상 고민하고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같이 읽은 “회색 時”란 작품은 너무도 매력적이다. 짝사랑이란 섹슈얼리티와 우울증, 채식주의, 경험 해석과 기억 해석 등을 둘러싸고 아주 많은 얘기를 할 수 있는 소설. 특히 미래를 기억하고 과거를 예측한다는 부분, 그래서 미래를 기억하며 쓰는 방식과 과거를 예측하며 쓰는 방식이 상당히 유사한데 이것을 읽다보면 일직선으로 기술하곤 하는 시간 개념이 아닌 서로 꼬이고 휘어지는 시간을 만나는 즐거움이 있다. [훌]에 실려 있다.

신념을 고백하는 일은 자신의 정신적 경계를 드러내고 선포하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신념의 비무장 지대, Noman’s land의 모호함 속에 숨어 있을 때 우리는 마치 무한을 살고 있는 듯이 안전하고 충분히 보호받는다고 느낄 수 있으나, 신념 속에서는 알몸을 드러낸 고슴도치만큼이나 목숨을 노리는 굶주린 상대들에게 고독하게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11쪽)

타인의 말 한 문장 한 문장에 집착하여 총체적인 비판을 날릴 수 있는 용기의 근저에는 대개 한 인간이 그의 한 마디 발언을 통해서도 이 세계의 모든 정신을 빈틈없이 한꺼번에 반영해야 한다는 무리한 전제가 숨어 있는 듯하다. (75쪽)

나는 아주 오랫동안 내가 먹을 음식을 직접 요리했지만 양념을 얼마나 넣어야 하는지 기름의 온도가 얼마나 되어야 하는지 얼마나 오래 요리해야 하는지 한 번도 정확히 측정하고 신경 쓰지 못했다. 그런데 신경 쓰는 것보다 맛이 없으면 맛이 없는대로 먹는 편이 더 나았다. (115쪽)

나에게 추억의 음식이란 전자레인지에서 갓 꺼낸 따뜻하고 하얀 햇반과 그 위에 뿌려 먹는 조미료 김 가루에 적당한 양의 미역이 떠 잇는 인스턴트 미역국과 지나치게 포만감을 주지 않는 스낵 면을 뜻한다. (148쪽)

지금 외국에 있는 당신에게 고향과 관련해서 가장 그리운 것이 무엇인가? 그럴 때마다 내 머릿속에서 제일 먼저 떠오른 것은 우스꽝스럽게도 가장 비인격적인 인스턴트 음식들이었으며, 오직 개인의 상태에서만 토속적이라고 불릴 만한 그 음식들이 고향이라는 단어와 함께 내 토스탤지어를 자극하는 유일한 것이었다. 어린 시절 부모님의 집에서 먹었던 음식이 아니라 어느 날부턴가 내가 스스로 해먹었던 음식들이 말이다. (149쪽)

‘당신은 누구인가? 당신이 먹는 음식이 바로 당신 자신이다.’ 이것은 유명한 채식주의 홍보 문안이다. 하지만 음식에 대해서 내게 중요했던 것은 좀 더 다른 질문이었다. 그것은 ‘당신은 어디서 왔는가?’이다. …(중략)… 절대적 채식주의자였던 그를 처음 만났을 때의 일이다. 그는 나에게 물었다. ‘당신의 출처는 무엇인가?’ …(중략)… 그때 그의 질문은 정확히는 나의 식습관을 물은 것이었다. 그에게는 바로 그것이 국적을 의미하는 ‘XX인’을 능가하는 중요한 정체성의 문제였던 것이다. 그런 경우 그의 ‘출처’란 정체성의 고향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그래서 어쨌든 그의 식대로 말하자면, 내 첫 번째 고향은 인스턴트 식품이었다. (150-151쪽)

혹은 내가 결코 마음을 상하게 하고 싶지 않은 사람이 건네는 따뜻한 한 그릇의 굴라쉬 수프에 주사위 모양의 고깃덩이가 들어 있을 때, 내가 채식주의자임을 그가 잊은 사실을 가볍게 지적하는 것이 수프 접시의 국물을 떠먹기 전이어야 하는가 아니면 먹은 다음이어야 하는가. (152쪽)

안녕, 내 예쁜이!

네가 오지 않는다면
빵 속에 숨겨 둔 칼을 꺼내
부스러기를 털어 버린 다음
네 가슴 깊숙이 찌를 거야.
(172쪽)

차마 말을 계속할 수 없다. 내 슬픔의 용적이 내 존재를 능가해 버리기 때문이다. …(중략)… 나는 슬픔의 화상 때문에 매일매일 고통스럽다. 내 목구멍은 송두리째 타버리고 나는 앞으로 나간다. 오직 슬픔이 나의 동력이다. …(중략)… ……죽어 가면서 나는 슬픔으로 인해 앞으로, 앞으로 달려 나간다. 오직 슬픔만이 나의 불타는 호흡이다. (268-26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