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 잔치

어제 오후에 지인의 돌잔치에 갔다 왔다. 수업 준비 등으로 일정이 빠듯해서 가지 않을까 고민도 했지만 그래도 가야지 싶어 갔다. 돌잔치는 처음 참여하는 거라 여러 가지로 어색했고 또 낯설었는데..

돌잔치를 진행하는 사회자가 지인에게 물었다: “남편분에게 여쭐게요. 처음 부인을 봤을 때 어땠나요? 어떻게 처음에 반했나요?” 지인은 잠시 불쾌하거나 난감한 표정을 짓더니, 아내가 고등학교 때 따라다녀서 그때 처음 봤다고 답했다. 사회자는 믿을 수 없다며 지인의 파트너에게 확인하는 질문을 했다. 파트너는 고등학교 때부터 자신이 따라다녔다고 답했다.
상황을 아는 사람들은 모두 웃었다. 사회자는 자신의 진행이 재밌어서 사람들이 웃는다고 믿었을까? 그러는 게 좋을 것 같다. 그렇다면 어쨌거나 자신감이라도 얻을 테니까. 혹은 사람들의 웃음을 어떻게 해석했을까?
지인과 그 파트너는 여고에서 만났다. 지인은 이후 호르몬 등 의료적 조치를 했고, 주민등록 상 성별을 변경했고, 양가 부모님이 모두 아는 상황에서 결혼을 했고, 쌍둥이를 낳았다. 인간을 이해하는데 있어 트랜스젠더를 기본값으로 삼지 않는 사람에게 이런 삶은 당혹스러운 이야기려나? ‘남잔 줄 알았는데 트랜스젠더였어’ 혹은 ‘여잔 줄 알았는데 트랜스젠더야’라는 식의 반응이 문제될 것 없다고 여기는 사회에서, 트랜스젠더의 가족 행사는 뭔가 묘한 느낌이다.
아는 사람은 알지만 내가 기억할 수 있는 수준에서 난 돌잔치에 참가한 적 없다. 소위 친척의 돌잔치에도 안 갔다. 가족 행사에 참여하는 것 자체를 싫어하니 특별할 것 없다. 그리고 결혼, 출산, 돌잔치와 같은 삶의 방식은 소위 이성애규범이라고 불리는 그것에 부합하는 방식의 삶이다. 그러니 지인의 돌잔치에 참여한 것이 이상할 수도 있겠다. 참 이상하지.. 지인의 삶은, 어떻게 보면 참으로 이성애규범적이라 할 수 있음에도, 조금도 규범적이지 않은 느낌이다. 이유는 아직 모르겠다. 사건만 나열하면 규범적인 것 같은데도, 규범적이란 느낌이 전혀 없다. 이상하게도 계속, 퀴어한 느낌이다. 왜일까?
아무려나, 지인과 파트너, 그리고 두 아이 모두 즐겁고 또 경쾌하게, 발랄하게 살았으면 좋겠다.

1980년대 트랜스젠더퀴어의 역사를 상상하기: 영화 <이발소 이씨>를 중심으로

지난 금요일에 진행한 행사의 토론문 writing 메뉴에 올렸습니다~ 뭐, 굳이 이곳에까지 올릴 것은 없지만, 오늘자 블로깅 거리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기록삼아 적어둘 필요가 있겠다 싶어서요. 흐흐흐.
내용의 절반은 1980년대 트랜스/젠더/퀴어의 흔적을 개괄하고 나머지 절반은 영화와 관련한 얘기입니다만.. 영화 관련 얘기에서도 기록물 관련 얘기가 나오긴 합니다. 하하. ;;;
이 토론문은 앞으로 해야 할 역사쓰기의 메모 정도가 되겠지요.. 그냥 가볍게 정리하는 기분으로 적었습니다. 1980년대 혹은 1970-80년대 역사를 다시! 본격 쓰려면 훨씬 많은 공력과 시간과 고민이 필요하니까요. 당장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지요. 아래엔 맛보기를 잠시…
1980년대는 퀴어 역사에서, 혹은 젠더-섹슈얼리티 역사에서 상당히 흥미로운 시기다. 박정희가 죽은 뒤 ‘서울의 봄’이 왔(다고 하)고, 이후 소위 3S(screen, sex, sports) 정책으로 섹슈얼리티의 표현에 유화적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이런 정치적 상황은 또한 젠더-섹슈얼리티의 복잡한 양상을 가시화함에 있어 상당히 유리한 조건을 구성하는데 일조했다. 물론 ‘퀴어’의 부상이 1980년대에 갑자기 이뤄진 건 아니다. 1960년대부터 이태원 등지에서 트랜스젠더 업소 및 공동체, 그리고 레즈비언/바이여성과 게이/바이남성이 자주 가는 공간이 형성되면서 그 시기 퀴어는 소위 하위공간을 만들기 시작했다. 특히 많은 트랜스젠더는 이태원을 중심으로 모였고 1976년엔 “최초”라는 수식어와 함께 사진 기록이 남아 있는 트랜스젠더/‘게이’ 업소가 문을 열었다. 물론 다른 기록에 따르면 1960년대 후반부터 트랜스젠더만 일하는 업소(정확한 업소명은 더 발굴해야 한다)가 있었다고 한다. 아울러 1971년 즈음이면 비이성애를 다룬 글이, 번역서지만 단행본의 일부로 출판되고, 1974년이면 한국인이 쓴 게이와 레즈비언 관련 글이 단행본의 일부로 출판되었다. 1980년의 정치적, 시대적 정황은 어쩌면 이런 흐름이 임계점에 도달한 상황과 우연히 일치한 건지도 모른다.
1980년대는, 현재 ‘발굴’한 수준에서, 비규범적 젠더-섹슈얼리티의 실천을 상당히 활발하게 출판한 시기기도 하다.
.. 더 읽으시려면… http://goo.gl/AOXdf
암튼 타자의 역사, 상상력으로 역사쓰기를 고민하는 꼼지락 거림의 하나로 관대하게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하하.

트랜스젠더 분노

그럼에도 나는 글을 쓰겠지만, 트랜스젠더 이론을 읽는 사람은 거의 없고, 그나마 읽은 사람 중 상당수는 신경도 안 쓰는데 굳이 글을 쓰고 출판해서 뭐하나 싶을 때가 있다. 이를테면 트랜스젠더 이론을 출판한다고 해도 이것을 읽는 사람은 극히 적고, 그 소수의 일부는 논의를 신경도 안 쓴다. 글은 읽지만/소비하지만 단지 그뿐, 신경도 안 쓴다. 그런데도 굳이 글을 출판할 필요가 있을까? 뭐하려고? 이건 허탈한 감정이나 허무한 감정이 아니라 분노다. 트랜스젠더 이론에, 트랜스젠더 인식론에, 트랜스젠더의 역사에 관심이 있는 것처럼 말하면서도 트랜스젠더 논의를 통해 기존 논의를 재구성하기는커녕 포함 조차 하지 않는 반응을 접할 때마다 질문한다, 이거 출판해서 뭐하나… 다시 말하지만 이건 허탈이 아니다. 이건 한 트랜스젠더의 분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