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혜기. 『사랑과 性에 관한 보고서』. 서울: 고려원, 1995.
01
정말 우연이었다. 얼추 열흘 전, 그냥 새로 들어온 책이 뭐가 있나 싶어 구경하고 있었다. 그때 『사랑과 性에 관한 보고서』란 제목을 발견했다. 새로운 제목은 아니다. 1990년도 소설 중엔 ‘~보고서’란 식의 제목이 종종 있으니까. 어떤 내용인지 확인할 겸 해서 책을 꺼냈다. 그리고 책 뒷장에 적힌 소개글을 읽었다.
제 3의 性을 가진 그들이 설 자리는 과연 어디인가!
어…?!?!?!?! 설마 하며 서문을 찾았다.
[…중략…]
이튿날 남자가 아기를 안고 아내와 함께 퇴원하는 모습을 발견했다. 남자의 아내는 방금 아기를 낳은 산모로 볼 수 없을 만큼 화사하고 아름다웠다.
황홀만 미모의 부부를 바라보는 내 옆에서 누군가가 소곤거렸다. 여자는 전남편의 아기를 낳은 거야. 믿을 수 있겠어?
그날 내가 얻어낸 정보들은 대단히 충격적인 것이었다.
지금 남편과는 아기를 낳을 수 없어 전남편과의 사이에 딸이 있는 여자는 이왕이면 친 동기간을 만들어 주기 위해 양쪽 남자의 동의와 후원으로 인공수정을 했다고 한다.
그러나 정작 놀라운 사실은 그것이 아니었다. 그 남자가 불임인 이유가 나를 경악케 했다.
그는 성전환 수술을 받은 남자였다. 모르고 볼 때는 전혀 의심이 안 가는 완전한 남자였건만.
[…중략…]
1995년 7월 뉴욕에서
임혜기
몇 가지 이유로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소설이 1995년에 나왔다는 것, ftm/트랜스남성을 주인공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 번역 소설이 아니란 점! 이 책을 사지 않을 수 없었고, 곧장 읽었다. (지난주에 읽고 독후감은 이제 쓴다는;;)
02
작품의 내용을 살피는데 저자의 이력을 반드시 들먹일 필요는 없다. 하지만 저자의 이력이나 역사를 안다면 작품의 내용을 좀 더 흥미롭게 이해할 수 있다. 이 말이, 임혜기가 ftm이란 뜻은 아니다. 임혜기가 1980년대부터 미국에 이주해서 살았으며, 이 책이 1990년대 중반에 나왔다는 점이 중요하다.
1980년대 후반, 1990년대 초반은 미국에서 트랜스젠더 운동이 상당한 파급력을 지니고 등장한 시기다. 이론의 발달, 운동의 증가, 개인의 ‘가시화’가 활발했다. 임혜기가 1990년대 중반, ftm/트랜스남성과 관련한 소설을 쓸 수 있었던 이유는 여기에 있다고 유추할 수 있다. 소설에선 ftm/트랜스남성의 수술 방법, 부치와 ftm의 구분 등을 심심찮게 언급하는데 이런 논의 자체가 미국 논의에 상당 부분 기대고 있기 때문이다.
소설을 읽고 있으면 1990년대 한국소설이 이 정도의 논의까지 다뤘단 말야, 란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 이 놀라움, 1990년대 트랜스젠더와 관련한 논의에 내가 얼마나 무지한지를 여실히 반영한다. 혹은 그 시대에 대한 나의 무지를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아울러 잊혀진 작품을 (재)발견한 기쁨이기도 하다.
그렇다고 이 소설이 무척 만족스럽냐면, 그렇진 않다. 이 소설은 ftm/트랜스남성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지만, 적잖은 부분이 놀랍지만, 아쉬운 점이 적지 않다. 전체 분량으로 따지만 ftm/트랜스남성과 관련한 내용은 상당히 적은 편이다. 아울러 ftm/트랜스남성인 세욱이, 자신과 결혼한 진주에게 자신의 과거를 얘기하는 장면은 어물쩍 넘어간다. 내가 가장 기대한 장면은, 트랜스젠더인 걸 결혼 후에 밝히는 상황에서 어떻게 얘기를 할까 인데, 작가는 이 장면을 암시만 할 뿐이다. 읽기에 따라선 세욱이 주인공이 아니라 세욱과 결혼한 진주가 주인공 같다. 저자의 한계는 명백하지만, 그래도 상당히 흥미로운 부분들이 많다. 그중 일부만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길어서 more/less 기능으로;;)
“자매는 사춘기를 보내면서 심한 병을 앓기 시작했어요. 아이덴터티에 대한 갈등이었죠. 언니는 핏줄과 뿌리의 의문에 시달렸고 동생은, 동생은 브레인 섹스에 관한 고민했어요.”
이야기를 듣고 있던 두 사람은 브레인 섹스의 의미를 알 수 없다는 듯 의문의 시선을 교환했다.
“브레인 섹스가 뭡니까?”
재만이 물었다. 세영은 그를 바라보며 입끝을 올리고 웃었다. 설명하기 복잡해요, 하는 것처럼.
“타고난 성과 정신이 원하는 성이 맞지 않는 걸 말해요. 동생은 여자로 태어났지만 정신적으로 자신이 여자라는 걸 인정 못하는 거죠. 남자에겐 동지의식을 느끼고 여자에겐 이성적인 매력을 느끼는 거죠.”
[…중략…]
‘알겠어. 레즈비언의 이야기겠군.’(125-126)
“세욱 씨는 어떻게 남자 구실을 합니까?”
세영은 교묘한 웃음을 띄우며 앞에 앉은 얼간이 남자 둘을 번갈아 보았다.
“내가 알기론 흠잡을 데가 없는 것 같아요. 따르는 여자가 많았으니까요.”
“성생활이 됩니까?”
두 남자는 방금 꺼 버린 담배를 다시 피워 물었다. 박 감독의 심장 속을 한바탕 역류하는 피돌기가 그의 얼굴빛을 희고 붉게 변모시켰다. 쿵닥쿵닥하는 박동이 제 귀에까지 울린다.
“그의 남성이 완전하다고는 생각 안 해요. 임신은 불가능하겠죠. 허지만 더 버라이어티가 있다고 봐야겠죠.”(135)
씬 101/오피스
[…중략…]
욱이: 남들이 무슨 문제야. 넌 결국 니 입장을 생각하는구나. 어차피 네 친구들은 날 남자로 안다며?
영이: (잠시 망설이다가) 톰보이로 생각하는 것과 남자는 달라. 그냥 그 상태로 살면 표면적으로는 달라지는 혼동 없이 살 수 있어.
욱이: (일그러진 표정으로 흥분을 누른다) 이거 봐 어려서부터 난 한 번도 내가 여자로 생각된 적이 없어. 정신과 육체는 일치해야 마땅해. 난 남자가 싫고 두려웠어. 이젠 아냐. 그것도 수확의 하나지.(171)
영: 꼭 어려운 과정을 거쳐야 할까? 여자가 여자랑 사는 거 이젠 숨기는 시대도 아냐.
욱: 레즈비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은 꿈에도 안 했어. 나는 있는 그대로의 남성이야. 해부학적으로 맞춰 주는 거뿐이야.(203)
“좋아요. 그럼 조건이 있어요. 어떤 식으로 변경할 것인지는 저와 의논하면서 하기예요. 난 진실을 보여 주려고 했는데 당신들은 허위를 팔아먹으려고 하니까요.”
세영은 맥이 빠진 듯했다.
“성전환자는 주인공으로 탐나는 대상이 아니죠. 게다가 당신들은 레즈비언 관계처럼 보여요. 우리 관객들은 구토를 느낄 거예요.”
“인간을 보여 주세요. 성 이전의 인간을 말하세요.”
세영은 얼굴을 붉히며 악을 썼다. 더듬기도 했다.(213)
마침내 긴 탐색이 지나간 후 진주의 곁에 엎드린 세욱은 끊겨진 대화를 이어 가듯이 입을 열었다.
“성은 잡히지 않는 거요. 한계나 조건을 붙이지 말아요. 당신을 사랑할 수도 당신에게 사랑받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소. 속이려고 했던 건 아니오.”
“믿을 수가 없어요. 당신은 하나부터 열까지 남자예요.”
진주는 눈도 깜박이지 않고 허공을 보며 혼자말 하듯 한다.
“난 당신이 원하면 수술을 받겠소. 결혼하기 전에 의사에게 간 적이 있었어.”(266)_M#]
03
소설 뒤엔 문학평론가라는 김미현의 해설이 실려 있다. 해설을 잘 안 읽는 나지만, 이 소설의 해설은 읽지 않을 수 없다. 근데 이 해설이 대박이다. -_-;; 말이 필요없다. 그냥 확인하자.
그녀는 동성애자들이나 성전환 수술자들 같은 음습한 성을 지닌 사람들에 대해서도 따뜻한 시선을 갖도록 요구한다.(291)
이것 말고도 많다. 그럭저럭 괜찮은 소설에 실린 당혹스러운 해설이랄까. 글쓴이의 인식론이 만들어낸 비극이랄까. 뭐, 이경의 글 이전에 등장한, 언급할 만한 글을 발견했다는 게 나름 의의라면 의의다.
등장인물들의 말투가 흥미롭네요. 이 소설도 남자/여자 말투가 구분되어있는듯.
그쵸? 이런 구분이 꽤나 심한 편이에요.
다만, 좀 흥미로운 부분은 트랜스남성의 말투가 유난히 ‘남성적’이란 점이죠. 이게 작가의 의도인지 우연인지는 모르겠지만, 흥미로웠어요. 흐흐
우왕- 나도 블로그에 김미현에 대해 깐 적 있는데. 이 사람 페미니즘 문학평론으로 문학계에서 한 자리 해먹고 있는 사람이어요! 심지어 학교 다닐 때 수업도 들어본 적 있다능;; 정말 너-무-너-무- 싫어요-_- 페미니즘의 스펙트럼이 넓다기엔, 그냥 이런 사람은 빼버리면 좋을 텐데;;;
전 설마 이 사람이 같은 사람일까 했어요. ;; 페미니즘의 스펙트럼이 넓다지만, 이런 경우엔 좀 당혹스러워요.. ;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