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 후의 베이비붐 세대인 몇몇 트랜스젠더는 그들 세대의 많은 다른 일원처럼 동성애 해방 운동, 급진적 페미니즘, 신좌파 정치에 이끌렸으나 그곳에서의 환영은 단명하는 경향이 있었다. 1972년 샌프란시스코의 첫 번째 동성애자 자부심 행진(스톤월 항쟁과 더불어 컴튼스 카페테리아 항쟁을 기념했고 드랙의 참여를 환영했던)은 게이 남성 주최자 중 하나였던 리버렌드 레이먼드 브로쉐어스가 행진의 “비폭력” 정책을 위반하며 “음경을 잘라라!”라고 쓴 피켓을 계속해서 들고 있었던 한 레즈비언 분리주의자 대표단을 주먹으로 쳤을 때 주먹다짐으로 변질되었다. 행진 후의 집회에서 페미니스트와 몇몇 게이 남성 지지자는 그 싸움을 전형적 젠더 역할과 가부장적 여성 억압이 예시로 말하며 맹렬히 비난했고, 다시는 결코 브로쉐어스가 조직하거나 여성을 “조롱하는” 드랙퀸의 참여를 허용하는 동성애자 행진에는 참여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1973년에 두 개로 나뉜 샌프란시스코 자부심 행사가 조직되었다. 하나는 브로쉐어스가 조직했고 다른 하나는 드랙에 반대하고 트랜스젠더의 참여를 명백히 금지하는 게이와 레즈비언이 조직했다. 반anti드랙 행사가 현재 샌프란시스코 LGBT 자부심 기념 행사의 전신이 되는 동안 브로쉐어스는 그 이후 다른 동성애자 자부심 행사를 조직하지 않았다. 같은 해, 대륙을 가로질러 뉴욕에서는 스톤월 항쟁 참여자이자 STAR의 창립자인 실비아 리베라가 크리스토퍼 거리 해방의 연례 기념 행상에서 발언하는 것을 강제로 제지당했다.(Stryker 2008, 101-102)
미국 트랜스젠더 역사의 단편, 한국 트랜스젠더 역사 쓰기 욕심
-자부심 행진에 트랜스젠더 참여를 둘러싼 논쟁은 1990년대 초 다시 한 번 발생합니다. 반대와 찬성이 격렬했다죠. 이 논쟁의 가장 큰 폐해(제 판단입니다!)는 GLBT 운동을 게이가 가장 먼저 시작하고 그 다음 레즈비언이 참여하고 바이가 추가되고 마지막으로 트랜스젠더가 등장 및 운동에 참여했다는 인식을 만들었다는 거죠. 그래서 순서대로 GLBT라는 거죠. 농담 같죠? 미국에서 진짜 이렇게 믿고 있는 게이 활동가가 있더라고요. 그는 자기 주변에선 다 이렇게 알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ㅡ_ㅡ; 물론 몇 년 전 이야기인데 지금은 어떨까요?
-크리스토퍼 거리 해방 관련 행사는 바로 스톤월 항쟁을 기념하는 행사입니다. 실비아 리베라는 스톤월 항쟁 당시, 그리고 그 이후에 중요한 역할을 했지요. 하지만 스톤월 항쟁은 백인 게이 남성 중심의 역사로 전유되고 트랜스젠더의 발언권은 제지당합니다(리베라가 비백인이란 점도 작용했겠죠?).
이것은 어디까지나 미국 역사입니다. 한국은 운동 맥락이 너무 달라요. 물론 한국에서 트랜스젠더를 향한 혐오와 거부가 없다는 뜻은 아닙니다. 한국의 퀴어는 여전히 동성애 중심이고 바이와 트랜스젠더는 누락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니, 누락에도 위계가 있어 트랜스젠더는 그나마 덜 누락되고 바이는 더 누락됩니다. ㅡ_ㅡ;;; ‘재밌게도’ 가끔은 LGBT라고 말하는데 그 내용은 온전히 동성애 혹은 게이나 레즈비언만 지칭할 때도 있다지요. 흐. 그럼에도 미국과는 맥락과 수위가 다른 듯합니다. 사실, 미국과 한국의 맥락이 다르다고 단언해도 괜찮은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온전히 제 경험에 불과하니까요. 알고보면 제가 함께 활동하는 단체, 활동가가 예외고 제가 겪은 적 없는 곳에선 상당한 혐오와 배제가 있는지도 모르니까요.
나중에 “한국 트랜스젠더 역사”란 책을 쓴다면 어떻게 정리할 수 있을까요? 아, 언제가 될지 모르겠지만 언젠간 한국의 트랜스젠더 역사를 책으로 쓸 욕심은 있습니다. 논문 “캠프 트랜스”는 그 일부고요. 여건만 된다면 당장 쓸 수 있는 논문 주제도 최소한 두 개 이상 있지만 박사학위논문 이후로 미루고 있죠. 급한 건 아니니까요. 역사를 정리한 단행본은 적어도 10년은 더 지난 다음의 일정입니다. 크크. ;;;
그때까지 살아 있는 것이 중요하죠. 이왕이면 그때까지 이 블로그도 남아 있길 바랍니다. 제가 혹은 루인이라고 불리는 어떤 사람이 남아 있는 한 이 블로그도 남아 있겠지만요. 🙂 그나저나 오랜 시간이 지난 뒤 정말 “한국 트랜스젠더 역사”란 책이 나온다면 지금 쓰고 있는 이 포스팅은 성지가 되는 건가요? 크크. ;;;;;;;;;;;;;;;;
논문 추천 감사합니다! 어 그리고… 그냥 짐작이지만 ‘트랜스는 계속 이야기하는데 그 안에 트랜스는 없는’ 상황을 알 것 같달까요.. 양성애를 섹슈얼리티의 유동성이나 가변성의 레퍼런스로만 여기고 인용하면서도 그게 진짜로 무엇인지는 관심이 없기 때문에, 이론이든 활동이든 정작 ‘양성애자’는 없는 상황은 그리 낮선 게 아니라서요. 하지만 제가 트랜스나, 다른 퀴어 정체성에 관심을 가지고 인용하려고 할 때 똑같은 일이 일어날 것 같다는 게 고민이에요;;; 음…;
그리고 GLBT 순서 얘긴 아마 지금도 그렇게 알고 있는 사람 많을 거예요;;;주로 70년 이전 출생자들? 바이는 정체성 자체가 트미하고 성소수자 투쟁 역사에 기여한 게 없으니까 G,L 커뮤니티에서 차별받는 건 어쩔 수 없다고 말하는 사람 봤거든요. 바이 활동가 한 분이 젊은 세대는 커뮤니티 내 바이포비아와 트랜스포비아를 없애야 한다는 이야기에 그래도 공감하는 편인데 올드스쿨 게이들은 도대체(…) 라고 말하는 인터뷰 본 적 있어요.(미국)
한국에서도, 동성애자 커뮤니티 내의 양성애자에 대한 혐오는 굉장히 심하다고 생각해요. 트위터에서 여성주의 활동가가 혐오를 표출하는 것도 목격했고… 커뮤니티 내에서 ‘끼순이’ 나 크로스드레서를 공공연하게 싫어하는 경우도 드물진 않은데 그것도 트랜스포비아의 전조 아닐까요? 모 대학 성소수자 동아리에서 굉장한 트랜스혐오를 접하고 나오셨다는 분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지만 이건 전해들은 얘기고 루인님이 더 잘 아실 것 같으니 패스 😉
어쩐지 댓글로 계속 우울한 이야기만 하는 것 같네요;;; 수잔 스트라이커 소개글은 잘 읽었어요! 스트라이커를 꼭 읽어야겠다고 다짐하게 만드는 글이었어요 >_<
스트라이커 글을 읽고 있노라면 공부를 해야겠다고, 내가 지금 너무 나태하게 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다짐과 반성이 동시에 들곤 해요. 저로선 스트라이커를 만난 것이 행운이랄까요. 흐흐. 그래서 글에도 팬심이 많이 묻어있어요. 데헷.
가벼운 참조로만 여기로 언급하는 경우가 많으니 비슷한 고민이 공명하는 것이 아닐까 싶어요. 정말 그런 말을 들으면 분기탱천하지 않을 수 없달까요!
그러고 보면 바이 혐오는 언니네를 비롯한 몇몇 커뮤니티에서도 빈번하게 등장하는 듯해요. 그래서 가끔은 무지를 이렇게 대범하게 드러내는 용기에 경이를 느낀달까요.. -_-;; 공동체 외부의 혐오와 무지도 문제지만 공동체 내부의 혐오와 무지와 관련한 얘기를 좀 더 활발하게, 그리고 논쟁적으로 얘기할 수 있는 날이 왔으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