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사랑은 성적 지향성이 될 수 없을까.

길게 쓰고 싶지만 짧게 끝날 것 같다. 아직도 몸의 준비가 안 된 때문이다.

라디오를 듣다 보면, 짝사랑과 관련한 청취자들의 사연이나 진행자의 경험을 듣곤 한다. 대체로 그럴 때의 양상은, 과거를 회고하는 아쉬움이거나, 사랑을 이루기 위한 전단계이거나 미완의 사랑으로 설명하곤 한다. 그럴 때마다 불만이었고, 왜 짝사랑은 그 자체로 하나의 사랑이 아닌가란 반문을 했다. 짝사랑은 미완의 사랑일까.

성적 지향성을 얘기하다보면 이성애 아니면 동성애를 얘기하기 마련이다. 이런 얘기 과정에 양성애나 무성애는 별로 얘기하지 않는 편이고 그래서 동성애 정도만 얘기해도 섹슈얼리티/성적 지향성을 모두 얘기한 것 마냥 여기기도 한다. 라디오를 들을 때와 마찬가지로, 같은 질문을 던지면, 짝사랑은?

이런 문제의식으로 글을 쓰고 싶었다. 사랑이란 것이 반드시 두 사람 사이의 관계가 발생할 때만 성립 하는 것인가. 아울러, “여성”으로서 “여성”을 사랑하면 반드시 레즈비언/동성애라고 불려야 하고 “여성”으로서 “남성”을 사랑하면 반드시 이성애라고 불려야 하나? 이성애/동성애/양성애란 식의 세 가지 구분만으로 충분한가? 이런 질문들을 같이 던지고 싶었다. 어떤 사람은 17년 가까이를 한 여자를 좋아했지만 그것을 레즈비언 관계로 부르지 않는다고 했다. 그렇다고 이성애라거나 양성애란 의미도 아니다.

어떤 사람들은 자신은 딱히 자신의 성적 지향성을 고민한 건 아니지만 “다들 그러니까, 이성애가 당연한가보다 했지”라는 얘길 한다. 이 말이, “어쨌든 나는 이성애자야”라는 의미라기보다는 이성애/동성애/양성애라는 식의 구분으로 섹슈얼리티를 설명하기엔 한계가 있다는 의미로 다가왔다. 사실 우리가 살아가며 이런 식으로 구분할 수 없는 사랑은 너무도 많다. 손쉽게 “그건 이성애야”라고 말할 때조차 그렇게 부르기 힘들 때가 있다.

짝사랑이 그랬다. 상대방이 누구인지, 상대방의 젠더 정체성이 무엇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물론 개개인마다 자신이 특별히 끌리는 어떤 타입이 있겠지만, 루인이 말하고 싶은 건, 상대방의 성별이 아니라 짝사랑을 통해 겪는 그 아픔들을 하나의 섹슈얼리티로, 성적 지향성으로 설명하고 싶었다. 그리고 그것이 자신의 정체성을 구성하는데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얘기하고 싶었다.

사랑하는 한 가지 형식으로서의 짝사랑이라면 이것 역시 하나의 성적 지향성일 수 있고, 이런 과정 중에서 현재의 루인을 설명하고 싶었다.

어제, 그 추운 밤, 玄牝으로 돌아가는 길에, 아스팔트 도로에 주저앉아 펑펑 울 뻔 했다. 그런데 그 와중에 자꾸만 웃음이 났다. 몸을 다독이고 玄牝을 향해 걸으며, “그랬구나, 그랬구나”를 몇 번이고 중얼거렸다. 그러며 아직은 이걸로 글을 쓸 때가 아님을 알았다. 아직은 몸의 준비가 안 된 상황이다. 하지만 꼭 쓰고 싶다….
+++
짝사랑은 미완인가
왜 성적 지향성을 얘기하며 짝사랑은 빠져 있는가
사랑은 반드시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만 성립 가능한가
과거를 해석하며 현재의 변한 정체성으로 인해 과거까지 반드시 바꿔야 하나
반드시 자신을 이성애/동성애/양성애 어느 하나로 편입해야 하나
“이성애가 당연한가 보다 했지”
길에서 주저 앉아 엉엉 울 뻔 했음, 그런데 자꾸만 웃음이 났다

키워드: 짝사랑, 짝사랑이라는 섹슈얼리티

내가 결코 모르는 당신을 원해..

친구 미니홈피에 들렀다가 “I want you I never know.“라는 문장을 읽었다. 루인 멋대로 해석하자면, “난 내가 결코 모르는 당신을 원해” 정도랄까.

좋다. 당신을 잘 모르지만 당신을 원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내가 모르고 있는 당신의 어떤 부분들을 알고 싶어, 라는 의미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평생을 함께 해도 영원히 알 수 없는 당신을 사랑한다는 의미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당신이 내 앞에서 너무도 빨리 움직여, 당신은 너무도 변화무쌍해, 라는 의미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그래서 좋다.

언젠가 당신에게 이 말을 전하겠어. 당신도 그 분을 좋아하기에, 이런 식의 해석이 어떤 의미인지, 어떤 맥락인지 알 거라고 믿어. 이 말을 어떤 의미에서 하는 건지 알 거라고 믿어.

우울: 편두통

시간은 돌고 돌아 뮤즈의 두 번째 앨범을 듣지 않으면 견딜 수 없는 시간이 다시 왔어. 뮤즈를 듣지 않으면 숨 쉬는 것조차 힘들 정도로, 뮤즈에게서만 위로 받을 수 있는 무엇이 있어. 그런 세월은 이제 끝난 줄 알았는데, 최소한 10년 안에는 오지 않을 줄 알았는데, 아닌가봐. 항상 귓가에 뮤즈의 음악이 울려. 음악을 듣고 있으면 그제야 비로소 조금 진정할 수 있지만 그것이 그렇게 오래가지 않으리란 걸 알아. 그러니 계속해서 반복할 수밖에.

낮에 선생님의 일을 도와주고 잠깐 상담을 하다가 편두통과 관련한 얘기를 했어. 루인에게도 있느냐고 물으신 선생님은, 자신은 정신신경과 상담을 받았다고 했어. 편두통이 위치에 따라 다를 수도 있겠지만 뇌졸증이 될 수도 있다는 얘기도 하셨어. 살짝 놀랬어. 그 정도일 줄은 몰랐거든. 그저 진통제로 연명하는 삶. 개운한 느낌도 없는 진통제로 하루하루를 지내고 있어.

루인은 편두통이 초등학교 1학년 즈음부터 있었다고 기억해. 그 전부터 있었는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어린 게 무슨 두통이냐’며 혼난 흔적이 몸에 남아 있어. 그리고 그때가 초등학생시절인 것도 기억해. 그래서인지는 모르지만 루인은 초등학생 시절부터 커피를 마셨어. 너무도 달콤했지. 편두통은 혈관 축소에 따른 현상이기도 한데, 커피를 마시면 신경 흥분에 따른 혈관 확장으로 일시적이나마 진정할 수 있어. 채식을 통해 좀 더 괜찮아진 건지도 몰라. 믿을 수 없지. 뇌졸증으로 쓰러진 사람이 식이요법으로 채식을 한다는 얘기를 들었고 콜레스테롤도 관련이 있다고 하니 그냥 추측일 뿐.

하지만 선생님은 상담을 추천하셨어. 젊을 때는 다들, 괜찮을 거라고, 진통제로 견딜 수 있다고, 논문만 쓰면 상담 받겠다고 말을 하지만, 공부를 계속하고 싶다면 결국 상담이 도움이 될 거라고.

글만이 루인을 위로할 수 있다고 믿어. 그러니 어느 날 이곳에서 숨더라도 다른 어딘가에서 또 다른 이름으로 글을 쓰고 있겠지. 선생님과 상담을 하며 이런 몸앓이를 했어. ‘루인에겐 글이 있어요’라는. 하지만 글은 언제나 자족일 뿐이고 그래서 넋두리에 가깝기도 해. 누군가 해결책을 제시해주길 바라는 것이 아냐. 알아. 그나마 글이라도 있으니 이렇게 버티고 있는 거란 걸. 글이라도 쓰지 않으면 몸은 터져버릴 지도 몰라.

선생님이 상담을 추천한 건, 편두통이 심인성이기 때문이야. 심리적인 긴장, 몸에 오래 남아 있는 흔적들의 끊임없는 회귀. 이런 것들이 편두통을 자극해. 그러고 보면 최근 두통약을 자주 먹고 있어. 몸은 너무도 잘 알아서, 편두통 증상이 신호를 하면 얼른 약을 먹지. 그러면 통증이 좀 약해져. 개운하지가 않아. 답답해. 예전엔 개운하게 진통하는 약이 있었는데, 왜 루인이 좋아하는 약은 판매 중단하는 걸까.

루인이 상담을 떠올린 건, 현재의 몸이 불안해서 그래. 예전에도 직접 몸을 끌고 상담실까지 간 적이 있어. 인연이 아닌지 용기를 내어 찾아간 상담소는 문을 닫은 상태였지. 그리고 지금, 다시, 상담을 떠올리고 있어. 편두통이 불안한 게 아니라 우울증이 불안한 거야.

고백하건데, 루인은 우울증이 심했던 시절, 냉장고에 들어가는 욕망에 시달린 적이 있어. 한창 더운 여름이었고, 시체 썩는 냄새를 들키고 싶지 않은 루인은 냉장고를 떠올렸지. 냉장고는 안에서 열 수 없다고 들었거든. 하지만 루인은 우울증이 심할 때마다 몸에 깊은 흔적을 남겨. 하나 혹은 여러 개의 흔적들. 몸에 새겨진 흔적들을 보며 어느 시절을 떠올리지. 그러니 루인은 우울증이라고 죽지는 않아. 죽다니. 악착같이 살겠다고 다짐했는걸. 죽지 못해 사는 게 아니라 살고 싶어서 죽지 않을 거야. 하지만 다시 몸에 흔적을 세기고 싶다는 욕망을 품고 있어.

이런 욕망을 품으면 몸은 나사가 여러 개 풀린 것처럼 행동해. 자꾸만 무언가를 흘리기 마련이지. 그렇잖아도 허술한 루인은 더 허술해지고 엉성하게 돼. 미안해. 자꾸만 이러고 있어. 하지만 이런 것도 루인이야. 이것이 루인이기도 해. 그러니 미안하지만 어쩔 수가 없어. 악착같이 살아남을 거야. 그러니 그 세월만큼 몸에 세기는 흔적들을 세며 시간을 견딜지도 몰라. 그렇게 남긴 흔적을 따라 살아가고 싶지는 않으니 언제나 비웃으면서 몸에 흔적을 남기겠지.

…………… 보고 싶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