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QTA 핑계 삼은 딴글

오늘 한국퀴어연극아카이브의 행사에 참여했다. 뭔가 말을 더 많이 해야 할 거 같은 입장으로 참가했는데 서두에 잠깐 빼면 단 한 마디도 더 덧붙일 수 없었는데 기획 때 했던 걱정이 무색하게 참가자들은 할 이야기가 한가득이었고 그래서 시간이 부족하다 싶었다.

그런데 좀 다른 방향으로 고민이 맴돌았는데, 과거를 고인물이나 썩은 물이 아니라 어떻게 현재적 의미로 재상연할 수 있을까였다. 여기에는 내가 올 9월부터 처음으로 학부 수업을 하면서 든 고민이 얽혀있다. 대학원 수업을 하면서는 이런 부담이 없었는데 이상하게도 학부에서 수업을 하면서는 몇 년 전 사건을 당연히 알 거 같은 시건으로 예시를 들어도 괜찮은지가 애매했다. 이제와 고민하면 그렇게 심각하게는 필요는 없는 고민이었지만 처음하는 수업의 부담이 그렇듯 예시의 역사성과 현재성을 조율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내가 가장 잘 한 주차는 198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의 한국 반성폭력 운동사를 다룬 주차와 1990년대부터 2010년 즈음까지의 한국 퀴어 인권 운동사를 다룬 주차였다. 각 주차가 불필요하다는 것이 아니라, 이 두 역사를 개괄적으로나마 알아둔다면 나중에 관련 활동이나 업무를 할 때 출발점은 될 수 있기를 바라는 고민이 있었다. 내가 학부 때는 들을 기회가 없었지만, 대신 학부에서 들은 과목 중에 페미니즘 고전 강독이 있었는데 이 수업은 지금도 유용한 토양이다. 암튼 두 개의 두차를 거치며 과거 예시에 부담이 많이 줄어들었다.

그럼에도 과거 이야기가 부담스러운 이유 중 하나는 현재의 바뀐 맥락은 모른체 ‘라때’와 같은 소리나 하며 철지난 이야기만 하는 상황이 될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이기도 하다. 그것이 주는 워낙 부정적인 이미지가 많다보니 과거 이야기와 현재 이야기를 어떻게 조율할 것인가는 큰 어려움이다.

그러면서도 과거 혹은 역사 이야기를 해야 한다는 고민에 휩싸이는 이유는 매번 새로운 사건처럼 갱신되는 상황, 단절과 단절로 고립되는 상황 때문이다. 과거를 이야기하지 않으면서 현재는 고립된다. 계속 이야기하고 계속 떠들어야 사람들이 잊지 않고 더 많은 사람에게 전달되고 전파될 수 있다. 이것에 실패하면 과거 사건은 공백이 되고 가해자는 쉽게 돌아오는 일이 되더라.

문제는 새로운 자리에서, 다양한 사람들이 모이는 자리에서 과거 이야기를 적절하게 말하는 것과 관련한 재주가 나에게는 없다는 점이다. 당신이 격은 사건이 과거에도 있었는데 그래서 당신이 겪은 일이 별것 아니라는 것도 아니고 과거의 사건이 여전히 반복되어 암을하다는 것도 아닌 의미로, 그 사건을 해결하며 만든 얼마간의 변화가 축적되고 있다는 의미로. 이것을 나는 간결하게 잘 말하는 재주가 없고, 그래서 행사 내내 하고 싶은 이야기가 한가득이었지만 꺼내면 3시간을 말할 거 같아 입술을 깨물고 있었다. 그럼에도 어떤 식으로 말을 해야 할까 싶었지만 2014년부터 다루는 자리에서 1995년을 말할 수는 없지 않나라는 부담도 있고. 누구도 부담을 주지 않았는데 괜히 혼자 그런 부담이 있었다.

그러다 문든 친구에게 “해마다 2월이나 3월, 줌으로 한국 퀴어 인권 운동사를 무료로 4~5시간 짜리로 강의를 해야겠다”라는 메시지를 보냈다. 물론 안 하겠지만;;; 과거와 현재를 어떻게 계속해서 접점을 갖도록 할 수 있을까. 내가 가장 잘 하는 것은 아니지만 무료로 한다면 다른 사람을 부르기 힘드니… (아… 그러고보니 한국 퀴어 운동사 책이 나올 예정이구나…)

이런 고민 속에서도 다양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 많이 배웠다. 대전과 서울이라는 지역 차이, 태어난 시기에 따른 경험 차이, 그리고 2018년이라는 시간적 변곡점에 대해. 이런 자리, 반기에 한 번씩 열면 좋겠다. 그리고 연극에 문외한이라는 말 그만해야지…

+행사때 농담하다 이상하게 말했는데, 내가 연극장에서도 뭔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 구자혜 작가/연출님께는 정말 고마울 따름이다. 이상하게 말해서 죄송하고요. ㅠㅠ

급진성과 동화주의의 공존 속에서

몇 달 전, 친구의 결혼식에서 만난 지인이 내게 해 준 인사, “좋은 자리에서 만나니 좋네요”는 화두처럼 남아 있다. 처음에는 기쁘고 또 슬픈 말이었는데, 애석하게도 한 달 정도 지났을 때 또 다른 추모식이 있었기 때문이기도 했다. 너무도 열심히 활동했던 한 트랜스젠더퀴어 활동가의 추모식은 슬펐고, 생전에 인사를 나누지 못한 나의 무지와 게으름이 부끄러웠고 그의 치열한 노력이 진하게 느껴지는 자리기도 했다. 다양한 의제를 고민하는 이들이 추모 발언을 했고, 절친의 발언은 고통스럽게 슬프기도 했다. 그리고 다시 괴로운 것은, 좋은 자리에서 만났던 이들을 또한 추모식에서 그대로 만났다.

몇 년 전, 나는 이틀 연속, 다른 장례식장에 참가했고 대부분의 조문객이 겹치는 상황이 꽤나 힘들었다. 달리 말해 나 만이 아니라 많은 퀴어가 다른 장례식장에 참가했고 같은 조문객을 만나 인사를 했다는 의미다. 그리고 올해 축하와 추모식에서도 상당히 겹치는 사람들을 만났다.

오랫 동안 나는 동성결혼에 비판적이었고 지금도 동성혼이 허용되기보다 결혼제도가 배타적으로 독점하는 권리를 개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믿는다. 그렇다고 해서 동성결혼을 무용하거나 동화주의적이거나 규범성 그 자체라고 말할 수는 없다는 것을 이제는 조금 깨닫고 있다. 여기에는 어떤 사안을 급진성과 동화주의 같은 방식으로, 규범성과 반규범성의 이분법이나 양자택일로는 설명할 수 없다는 점이 한 축에 있다. 하지만 그보다는 그 모든 행사에 참가하는 이들이 거의 겹친다는 점이다. 동성결혼에 축하하기 위해 참가하는 이들은 또한 추모식에 참가하는 이들이며, 퀴어문화축제에 참가하는 이들이며, 정부나 제도의 폭력에 저항하고 항의하는 자리에 참가하는 이들이며, 더 나은 사회적 조건을 만들기 위해 서로 싸우면서도 또한 토론하는 자리에 마주하는 이들이기도 하다. 그러니까 의제에 따라 나뉘어 서로 함께 하지 않는 이들이 있기도 하지만 또한 그 모든 자리에 함께 하며 같이 투쟁하고 서로 논쟁하고 싸우고, 또 같이 투쟁하고 있다. 낭만적이거나 멋있다는 것이 아니라, 적은 사람이 더 많은 힘을 만들기 위한 부득이한 상황이지만 부득이함은 때로 익숙한 이분법을 초과한다. 누군가를 내켜하지 않을 때에도 축하와 추모에, 제도화와 투쟁에 함께 하지 않을 수 없고 이는 이 모든 것이 모순이 아니라 모순과 갈등의 지형으로 이해하는 그 태도가 문제라는 점을 말해준다.

그 모든 자리에 있는 이들이 겹치고 평소에는 거의 못 만나지만 그 모든 자리에서 안부를 전하는 지형은 그리하여 모순이나 대립하는 지형이라는 토대는 사유의 출발이 아니라 사유의 불가능을 재생산한다는 것을 말한다. … 뭐, 요즘 이런 고민을 하며 살고 있다. 그나저나 나는 언제까지 삶을 영위하고 있을까.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

SNS로그

ㄱ.

사실 별 할 말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너무 오래 아무 것도 안 쓴 거 같아 그냥 끄적이는 잡담

ㄴ.

금서와 관련한 행사에 참가를 했는데, 내가 금서와 관련해서 뭔가를 한 적이 없기에 다소 민망했지만… 나는 또 내가 한 적 없는 주제로 요청이 오면 오히려 좋아하는 유형이라 뭐라도 발표를 했고 행사에 누를 끼치지는 않은 듯하여 다행이었다. 뭐 다음에 다시 할 일은 없겠지만 이를 계기로 고민을 정리할 수 있어서 나쁘지 않았다.

ㄷ.

마찬가지로 연극과 관련해서 서울변방연극제의 구자혜 작가/연출과 관련한 행사에 참여했다. 내가 뭘 잘 한 거 같지는 않아 부끄러웠고, 다행스럽게도 행사 자체는 재미있게 끝났는데(세 개의 세션을 모두 참가했다면 진짜 재밌는 기획이었음을 알 수 있었을 듯). 살면서 내가 한 일들은 모두 나의 의지와 무관하게 흘러갔지만 그저 요청이 왔을 때 거절하지 않아서 생긴 일 같다. 승낙하고 무서워하다보면 어떻게 되어 있더라고. 그래서 그나마 기여를 하면 다행인데 기여를 제대로 못 하면 미안하고 부끄럽고 죄송할 따름이다. ㅠㅠ

ㄹ.

나는 지극히 정치적인 인간이고(하나마나한 소리) 당파성이 선명하지만 이곳에서는 가급적 그와 관련한 발언을 자중하는 편이다. 선거를 앞둬야 그나마 좀 떠드는 정도? 자중하는 이유는 간단한데, 자중하지 않으면 이곳이 정치 블로그가 될 것이라는 불안과 자중해야 고민의 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데 판단을 서둘러 내릴까봐. 그럼에도 하나만 남기면… 아니다. 그냥 마저 자중하는 게 맞겠다. 어차피 일상에서 만나는 주변 사람에게는 말하고 있으니 그걸로 충분하지 무슨 나까지 블로그에 정치 이야기를 하냐.

ㅁ.

요즘 안타까워 하는 거. CDP 버리지 말고 잘 챙겨둘 걸. 워크맨 잘 챙겨두고 몇 백 장의 카세트 테이프 잘 챙겨둘 걸. 진짜 워크맨으로 음악 듣고 다녔다면 잼났을 텐데. 하지만 진짜 아쉬운 거. MD플레이어와 디스크 잘 챙겨둘 걸… 이게 찐인데… 물론 기기가 많아지면 그렇잖아도 보부상인 나의 가방은 더 무거웠겠지.

ㅂ.

어쩌다보니 아이돌과 트랜스 페미니즘으로 강의를 하기로 했는데… 때마침, 혹은 애석하게도 이 주제로 이야기를 하기 어려운 사건도 있어 이를 다루며 말하면 좋겠다 싶다. 아이돌은 정말로 노동자일 수 없는가? 아이돌은 자신이 속한 프로듀싱 과정과 기획사의 상황에 대해 말할 수 있는가? 청춘 그 자체인 아이돌은 정치적 주체가 될 수 없는가? 뭐 이런 주제를 다룰 수 있겠다 싶고. 굿즈나 티셔츠 구입해서 착용하고 가야지.

ㅅ.

와… 추석인데 엄청나게 덥다. 너무 덥다. 이 와중에 헤이홈이 고장나서 에어컨을 못 켰다… (H가 방법을 찾아줬다.) 인터넷을 바꿔야 할지 헤이홈 말고 다른 것을 찾아야 할지 공유기만 별도로 구매해서 바꿔야 할지… 고민이다. IoT는 만약을 대비한 리모컨을 구비해야 하는 시스템이라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 마찬가지로 왜 IoT 제품은 2.4GHz 인터넷만 지원하는지 이해가 안 되고 블루투스를 겸용으로 지원하지 않는지도 이해가 안 된다. 인터넷이 끊겼을 때를 대비하여 태더링이나 블루투스를 지원해야 하지 않나… 이번에 깨달은 바가 커서 헤이홈은 그냥 버리는 것으로 결정했다. 주변 사람들에게 헤이홈 홍보를 좀 했는데, 반성합니다. 결정적일 때 보완적 장치가 없는 기기는 그냥 쓰지 않는 게 낫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