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기 트랜스/젠더/퀴어연구소 2013년 1월 소식입니다.

안녕하세요.

트랜스/젠더/퀴어연구소의 루인입니다.
얼마나 정기적으로 할지 알 수 없지만 그래도 첫 번째 달이 지났으니 연구소 관련 소식을 짧게 전합니다.
01. 유일하게 소속한 사람, 루인은 현재 저널에 투고하기 위해 “내가 사는 피부” 관련 논문을 수정하고 있습니다. 마감 일자를 뒤늦게 전달받아 조금은 조급하게 원고를 수정하고 있다고 하네요. 연구소 소속 출판물을 의외로 빨리 생산할 수 있을 듯합니다.
02.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KSCRC)에서 진행하는 “트랜스젠더 삶의 조각보” 프로젝트에 자문위원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3년의 장기 프로젝트입니다. 3년 뒤엔 트랜스젠더 단체 설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획단으로 참여하고 싶은 바람도 있지만 이래저래 하고 있는 일이 많아 자문위원으로 참여했다는 후문입니다. 지난 1월 26일 오리엔테이션을 했는데 무척 좋은 분이 많아 멋진 프로젝트가 될 거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03. 트랜스/젠더/퀴어연구소는 당분간 루인 1인 연구소로 운영할 계획이었는데요… 설명하기 애매한 이유로 새로운 연구원이 들어올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이 기회에 아예 개방을 할까 고민도 잠시 하고 있지만, 개방했는데 함께 하겠다는 분이 아무도 없으면 매우 뻘쭘한 관계로 일단 고민만 하고 있습니다.
이상 트랜스/젠더/퀴어연구소 소식입니다.
2월엔 더 많은 소식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그럼 2월에 뵐 수 있길 바랍니다. 🙂

[개인적 기록] 바이 이슈 논쟁에 덧붙여

말과 글로 먹고 사는 인간이 말을 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면 힘을 잃는다는 사실을 어제 절감했다. 요즘 몸이 안 좋아 목이 꽉 막혔다. 간단한 대화만 짧게 할 수 있어 토론은 꿈도 못 꾼다. 그래서 하고 싶은 얘기가 있어도 못 하는 상황이 무척 답답했다.

어제 진정성을 논하는 자리에서 바이 이슈가 나왔고 그때 말하고 싶었지만 못 한 얘기가 있어 개인적 기록 차원에서 남기는 글. 어제 논의 자리에 있던 사람만 이해할 수 있는 글이란 점에서 일기장에 쓰면 좋을 법한 글이지만 블로그가 (공개적으로 쓰는)일기기도 하단 점에서 그냥 여기에 쓰기로 한다.
바이를 둘러싼 논쟁을 다루는 부분에서 기혼이반 이슈, 여성과 만나다가 남성과 결혼하는 여성의 이슈를 주로 다루며 바이와 기혼이반을 등치하는 문제를 야기했다. 이 이슈에 대한 문제제기는 어제 토론 시간에도 적잖게 나왔고 강사는 자신은 바이보다는 기혼이반 이슈를 좀 더 말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제목을 “바이”가 아니라 “기혼이반”으로 바꿨어야 하지 않을까?
내가 가장 아쉬웠던 것은, 바이 이슈를 다루기 전까지는 매우 흥미롭고 탁월한 분석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이를 테면 강숙자 논쟁을 이원젠더 규범에 대한 문제제기로 재구성하려한 부분은 참 좋았다. 그런데 이런 통찰이 바이-기혼이반 이슈엔 적용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바이와 기혼이반 이슈를 혼재하면서, 이전의 통찰이 사라지고 바이 이슈를 또 다른 이분법으로 환원한 것은 아닐까 하는 의심(이것은 직관적 판단이다). 이런 의심은 나의 참조점에서 출발한다. 다른 많은 이슈에선 이분법 자체를 문제 삼으며 탁월한 성찰을 보이는 많은 비트랜스젠더 페미니스트가 트랜스젠더 이슈에서는 트랜스젠더를 이원젠더 규범을 강화하는 존재란 식으로 독해할 때가 있다. 심한 경우, 트랜스혐오 문헌을 적절한 참고문헌을 인용하며 트랜스젠더를 비난할 때도 있다. 다른 많은 이슈에서는 반짝거리는 성찰을 표현하면서 왜 트랜스젠더 이슈에선 그 성찰이 드러나지 않는 것일까? 어제 강의에선 바로 이 지점이 아쉬웠다. 앞 부분의 논점을 바이-기혼이반 이슈에 적용했다면 전혀 다른 글과 논의를 전개할 수 있었을 텐데…
아울러 남자에게 가는 것, 남자와 결혼하는 것이 문제라면, 남자에서 여자로 혹은 여자에서 여자로 떠나는 것은 큰 문제가 아니라면, 이것은 어떤 의미인지, 이것이 레즈비언 범주, 레즈비언의 진정성을 구성하는데 어떤 의미인지를 질문했으면 어땠을까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모니끄 위띠(Monique Wittig)는 레즈비언이 남성과 관계를 맺지 않는 존재로서 이성애 관계 외부, 여성과 남성 범주 외부에 있는 존재(레즈비언은 여성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레즈비언은 남성과 관계를 맺지 않으니 여성이 아니라는 위띠의 주장은 매우 중요하지만, 위띠의 주장에서 레즈비언은 여전히 이성애주의 맥락에 위치한다. ‘남성을 중심으로 구성된 관계의 외부’라는 또 다른 남성과의 관계를 상정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위띠 식의 논의는 바이와 트랜스젠더를 완전 배제하고 있다는 점에서(위띠 논의에서 바이는 이성애자가 될 가능성이 상당하다) 매우 위태롭고 위험하기도 하다. 그렇다면 파트너가 혹은 나 자신이 남자 혹은 남성에게 가는 것이 레즈비언 범주 형성에 어떤 의미인지를 살폈을 때 레즈비언 범주 논쟁, 바이 논쟁, 트랜스젠더 논쟁을 더 복잡하고 흥미롭게 살필 수 있지 않았을까?
(*물론 어제 강의에선 위띠 얘기가 안 나왔습니다. 위띠 얘기는 제가 덧붙인 것입니다.)

덧붙여 우리는 각자 자신의 맥락에서 글을 쓰고 말할 수밖에 없는데, 여기서 핵심은 어떻게 말할 것인가이다.
이런저런 고민이 많이 들었지만, 그럼에도 자신의 위치에서, 자기 맥락에서 논의를 전개한 강사에겐 무척 고마웠다…라고 쓰면 너무 수습하는 느낌이려나? ;;; 근데 바이 이슈가 아니라 트랜스젠더 이슈였어도 나는 똑같이 고마웠을 것이다.

[발표원고] 여성 범주 논쟁의 등장과 초기 논의: 트랜스젠더 이론과 페미니즘 논의를 중심으로

어제 학과 콜로키움에서 발표를 했습니다. 기말페이퍼를 정리해서 발표를 하는 관례에 따라 작년에 공개한 “‘여성’ 범주의 구성: 여성 범주를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를 수정하고 재편집하여 발표했습니다. 해당 원고는 writing 메뉴에 올렸고요…
글 기획이 바뀌니 서론과 글 중간중간에 내용을 추가하거나 수정했고 아래는 새롭게 추가한 내용 중 일부입니다. 지난 번에 공개한 글에, 아래의 내용이 들어갔어야 논의가 좀 더 선명했을텐데 싶기도 합니다.
===
2013.01.11.금. 14:00- 학과 겨울 콜로키움 발표문
여성 범주 논쟁의 등장과 초기 논의: 트랜스젠더 이론과 페미니즘 논의를 중심으로
-루인(트랜스/젠더/퀴어연구소, runtoruin@gmail.com)
섹스-젠더 개념을 재해석한 이론적 논의를 살피는데 있어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를 빼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버틀러는 섹스-젠더 구분 공식을 재검토한 후 섹스를 생물학적 불변으로 해석함 자체가 문화적 해석이며, 젠더를 이분법으로 사유하고 섹스와 젠더를 필연적 관계로 해석함은 일종의 젠더 본질주의라고 지적했다(Butler 1986; 1987; 1990; 1999). 1980년대 후반 젠더를 불안정한[trouble] 범주로 재개념화하며 등장한 버틀러의 섹스-젠더 논의는 1990년대 젠더 논의에 중요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버틀러 논의에 비판적인 비비안 나마스테(Viviane Namaste) 역시 이 지점에 동의한다. 나마스테는 버틀러를 참조하지 않으면 섹스-젠더 논의 자체가 불충분하다는 인식(11)이 만연함을 지적한다. 하지만 버틀러만 혹은 버틀러가 처음으로 섹스와 젠더의 관계를 재해석하고자 했던 것은 아니다. 버틀러가 논의를 막 전개할 당시 다른 페미니스트 역시 섹스와 젠더를 재개념화하고자 했다. 이를 테면 조안 스콧(Joan W. Scott)의 논문 「젠더: 역사 분석에 있어 유용한 범주」나 테레사 드 로레티스(Teresa de Lauretis)의 책 『젠더의 기술』과 같은 논의는 젠더를 섹스에 부착된 것이 아닌 범주로 이해하고자 한다. 비록 한 명의 탁월한 이론가가 등장하면서 기존 이론 질서가 뒤바뀔 수 있다고 해도 그것은 단 한 명의 노력으로 가능한 일이 아니다. 어떤 의미에서 버틀러는 임계점을 넘어서려는 바로 그 시기에 등장했다. 섹스-젠더 구분 공식에 문제제기한 긴 역사적 맥락에 버틀러가 있고, 이 맥락에서 버틀러의 논의가 가능했을 뿐만 아니라 수용될 수 있었다. 나는 바로 이러한 이론적 계보의 극히 일부를 정리하고자 한다. 새로운 논의를 끌어내기보다 기존 논의를 재배치하며 버틀러에게 과도하게 비중이 쏠려 있는 논의 지형을 재점검하는 것이 이 글의 목표다.
하지만 기존 논의를 재검토하는 작업은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
첫째, 앞서 훑었듯 미국 사회에서 트랜스젠더와 성과학이 섹스-젠더 개념에 끼친 영향을 먼저 살펴야 한다. 간단하게 그리고 과감하게 말해서 섹스-젠더 개념은 트랜스젠더가 자신의 목소리를 직접 낸 것에 따른 성과다. 트랜스젠더, 의사, 그리고 성과학자의 협업은 섹스와 젠더를 구분하고 사유할 토대를 마련했을 뿐만 아니라 이후 섹스-젠더 개념을 발달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다소 과도한 평가일 수도 있지만, 나마스테의 논의를 빌리자면 1990년대 이후 영미 페미니즘은 mtf/트랜스여성에 직접적 빚을 지고 있고 트랜스젠더를 활용해서 젠더 이론을 발달시켰다(12). 섹스-젠더 개념 논의에서 트랜스젠더의 위치를 점검하는 작업은 최우선 작업이다. 그럼에도 19세기 후반부터 진행된 성과학 및 해부학 논의를 재평가해야 하고, 20세기 초반 등장한 성전환 기술 및 트랜스젠더 공동체의 역할을 모두 살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것은 별도의 방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비트랜스)페미니즘 내부에서의 역동과 논쟁을 섬세하게 검토해야 한다. 앞서 오클리를 언급했지만 제 2 물결 페미니즘의 등장은 페미니즘 내부의 섹스-젠더 개념의 발달과 궤를 함께 한다. 하지만 오클리 방식의 논의가 당대의 유일한 주장이 아니었다. 거의 비슷한 시기에 게일 러빈(Gayle Rubin)처럼 젠더를 위계 권력 장치로 이해하며 논의를 전개한 이들 역시 존재했다. 이들은 섹스-젠더를 구분 공식보다는 권력 배치의 이슈로 이해했다(이것은 명백히 푸코와 무관했지만 푸코와 유사한 사유체계다). 물론 러빈은 섹스를 섹슈얼리티와 사실상 등치했는데, 1975년 논문에서 섹스로 표기했던 것을 이후 재출간하며 섹슈얼리티로 수정했다. 아울러 1984년 논문에서 러빈은 트랜스섹슈얼을 섹슈얼리티 위계에 배치하며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분명하게 구분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이들 논의는 섹스-젠더 개념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즉 누가 여성이며 어떤 경험이 여성의 경험인가를 질문하는데 중요한 토대를 마련한다. 이 이슈가 표면화되었던 사건이, 흔히 성전쟁[sex war]이라고 불리는 1982년 버나드 학술대회다. 다양한 성적 실천을 옹호하는 진영과 검열을 지지하는 진영 간 논쟁은 페미니즘의 논의를 확장했을 뿐만 아니라 어떤 경험이 여성의 경험인지, 그리하여 누가 여성인지를 논하는 자리였다. 뿐만 아니라 이 자리는 트랜스젠더 이론과 퀴어 이론이 본격 등장하고, 섹스-젠더 개념을 재검토하는 자리였다(Stryker,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