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일요일(2013.05.26.),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토크 인 씨어터2: 퀴어 레인보우’ 세션으로 발제를 하였습니다. 저녁 8시부터 두 편의 장편 다큐멘터리를 보고 행사를 진행했고요.
다큐멘터리는 <걸 혹은 보이, 나의 섹스는 나의 젠더가 아니야>와 <2의 증명>이었습니다. <걸 혹은 보이>는 프랑스 감독의 다큐멘터리로 네 개의 다른 지역에 살고 있는 ftm/트랜스남성의 경험을 교차로 보여주는 다큐입니다. 꽤나 경쾌하고 다양한 경험을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입니다. <2의 증명>은 홍유정 씨의 다큐멘터리입니다. 한국 상황에서 국가의 젠더 관리, 의료기술, 계급, 트랜스젠더 등이 교차하는 찰나를 잘 포착하고 있고요.
성격이 전혀 다른 두 다큐를 함께 보고 얘기를 나누는 자리라 발제 준비가 애매하긴 했습니다. 물론 기획자께서 방향을 잘 잡아줘서 그 방향대로 준비하긴 했지만요.
행사 자체는 재밌었습니다. <2의 증명>의 두 감독님 스이, 케이 님이 촬영하며 든 고민을 짧게나마 들을 수 있었고, 최근 ftm 관련 법원 판결(외부성기재구성수술 없이 호적 상 성별정정 허가)에 대한 한가람 변호사의 얘기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스이 감독님의 발언 중, 다큐를 찍었지만 누구도 행복해지지 않았다는 평이 인상적이었습니다. 토론자로 미리앙 포제르 Myriam FOUGÈRE(<레즈비어니즘: 급진적 페미니스트true 감독), 자레이 싱애코윈타 Jaray SINGHAKOWINTA (태국 국립개발행정연구원 교수)가 나왔는데요. 싱애코윈타는 단순히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는 안 되고 삶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바꿀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논평했습니다. 아울러 태국은 트랜스젠더에게 호의적이지만 호적 상 성별을 바꿀 수 없고, 한국은 호의적이진 않은데 바꿀 수 있는 상황으로 비교하기도 했습니다. 포제르는 이원젠더가 여성에 대한 차별이란 점을 지적하며 영화제와 영화 내용을 연결하는 발언을 했고, <2의 증명>이 참 고통스럽다며 미국은 1970년대 의식고양을 통해 의식이 바뀌었는데 한국은…이라는 얘기도 했고요. -_-;; 관객 질문 역시 좋았는데, 한 분은 트랜스젠더 이슈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움직이면 좋을지 아이디어를 바랐고, 김은실 선생님은 두 영화에서 드러나는 네트워크 유무의 차이, <2의 증명>에 나타난 계급 이슈 등을 지적해줘서 좋았습니다.
(좋은 행사를 기획한 기획자 및 진행자 선생님께 고마움을 전합니다.)
제가 두 영화를 어떻게 읽었는지는 일차로 발제문에 있으니 참조하시고요(writing 메뉴에 있습니다).
덧붙여 <2의 증명>이 드러내는 부정적 감정과 계급 이슈를 좀 더 조밀하게 읽고 싶습니다. <2의 증명>은 단 한 번의 유머도 없이 소위 ‘부정적 감정’으로 불리는 정서를 표현하고 있는데요. 이것이 어떤 불안안 정서를 야기하면서 감정에 관한 흥미로운 퀴어 텍스트를 구성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계급 이슈는, <2의 증명>을 보신다면 알 겁니다. 보는 내내 “이건 계급이슈야”라고 몇 번을 반복해서 얘기했으니까요. 그냥 보기엔 <걸 혹은 보이>가 더 매력적일지 몰라도 전 <2의 증명>이 더 좋았습니다. 할 얘기가 참 많기 때문입니다. 정말 아프고도 또 퀴어한 작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