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어, queer, LGBT

#1
며칠 전 오후에 있었던 일. 마침 지지(mp3p)를 듣지 않고 있던 중에, 사무실 밖에서 들려온 대화. (2명의 목소리였다.)
“퀴어문화축제네?”
“이미 지난 건데.”
“아쉬운데.”

#2
어제 저녁 6시 즈음 사무실 밖에서 들려온 말. (3~4명 정도 되는 듯.)
“퀴어? 기묘한, 괴상한, 그런 뜻 아닌가?”
“퀴어가 뭔지는 모르지만 알 것 같아.”
(웃음.)
“모르는데 어떻게 알아?”
“퀴어가 뭔지는 잘 모르겠지만, 퀴어영화하면, 동성애자들이 나오는 영화잖아.”

예전 사무실의 위치는, 공부하거나 숨어 지내기엔 좋은 곳이었다. 수업강의실이 있는 복도와 사무실이나 연구실, 교수실이 있는 복도가 따로 있었고, 그래서 사무실 앞을 지나가는 사람들은 기껏해야 대학원생들이거나 연구원, 교수들이었다. 학부생이 오지 않은 건 아니지만, 그래봐야 수업출결 문제로 수업조교를 찾아올 때가 전부였다. 그래서 사무실 문 앞에 붙인 두 장의 포스터와 무지개 깃발이 노출되는 빈도가 많은 편은 아니었다.

이번에 이사한 사무실의 위치는 수업강의실이 있는 곳이다. 이 건물 역시 사무실, 연구실, 교수실이 있는 복도와 강의실이 있는 복도가 나눠져 있긴 하지만, 일부 연구실이나 교수실은 수업강의실이 있는 복도에 있고, 여성학과 연구실 및 사무실도 수업강의실이 있는 복도에 있다.

이 공간에 이사하면서 가장 먼저 한 일은 짐 정리가 아니라 문에 두 장의 포스터를 붙이는 것. 지난번과 비슷한 방식으로 포스터를 붙이고 무지개 깃발을 붙이며 좋아했지만, 내심 걱정을 하지 않은 건 아니다. 지난번엔 그래도 어느 정도 구석진 곳이었다면 이번엔 완전히 노출되어 있는, 그래서 수업을 위해 복도를 돌아다니다보면 우연이라도 볼 수 있는 그런 곳이었기에, 소위 말하는 혐오폭력을 살짝 걱정했다. 물론 학교공간이란 점에서 사무실이나 사무실에 거주하는 이들을 향한 혐오범죄가 있으면 얼마나 있으랴 하는 황당한 믿음으로 ‘안심’하기도 했지만 그래도 슬쩍 걱정을 안 한 건 아니었다. 그럼에도 포스터를 붙이며 좋아했던 건, 스스로의 즐거움과 함께, 관련 고민을 하는 이들, 정체화하고 있는 이들이 사무실 앞을 지나가다가 우연이라도 이 포스터를 보면 슬쩍 웃음이 나거나 힘이 되었으면 하는 기대도 있었기 때문이다(혼자만의 망상일 가능성이 크지만 ;;;).

이런 걱정과 바람을, 사무실에서 같이 지내는 사람에게 얘기했을 때 그는 “페미니스트는 모두 레즈비언이다”란 ‘무식’한 생각을 하는 사람들도 있겠다고 지적했다. 그제야 깨달은 이 지적으로 오래 전에 있었던 일이 떠올랐다. 자신을 페미니스트이자 이성애자로 얘기한 그 사람은, 종종 사람들이 자신에게 “페미니스트는 다 레즈비언 아니냐”고 얘기할 때마다 흥분하면서 그렇지 않음을 역설해야 하는 문제를 얘기하곤 했다. “페미니스트는 다 레즈비언이다”란 말 자체가 가지는 문제는 별도로 하고, 이 얘기를 할 때마다 지나치게 “아님”을 강조하는 그 사람의 반응이 은근슬쩍 레즈비언 혹은 동성애에 대한 거부감으로 느꼈던 기억이 있다. 이 말이 사무실에서 같이 지내는 사람이 이렇다는 건 아닌데, 그는 “페미니스트는 모두 레즈비언이다”란 말 자체의 문제를 지적하려는 의도에서 이 말을 꺼냈다.

하지만 사무실에서 지낸지 여러 시간이 지나도 별 반응이 없어서 첨엔 사무실 앞을 지나다니는 사람들이 이런 포스터 자체를 안 보는 줄 알았다. 그런데 그렇지는 않은지, 루인의 지도교수인, 선생님이 말해주길, 복도를 지나다니면서 포스터를 보고 지나가는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어제 저녁, 퀴어를 곧 동성애로 간주하는 얘기를 들으며(방음이 안 되기 때문에 문 밖에서 조금만 크게 얘기해도 사무실에선 거의 다 들린다), 곧장 두 가지 반응이 떠올랐다. 한편으론, 당장 문을 열고 나가선, “퀴어가 곧 동성애는 아니거든요. 때에 따라선 전혀 별개일 수도 있거든요!”라고 버럭하고 싶었고-_-;;;, 흐흐, 다른 한 편으론 사람들의 무반응엔 “This Is Queer”라는 구절의 “퀴어”란 말,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Sexual”이란 말 자체를 모를 수도 있겠구나, 였다.

그러고 보면 지렁이 활동을 시작하던 초기, 언론이든 다른 어느 곳이든 트랜스젠더가 무슨 뜻인지,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와 같은 질문(듣기에 따라선 아무런 고민 없이 작성한 것만 같은 질문)들이 반복될 때마다 살짝 짜증이 나곤 했다. 솔직히 이 정도의 질문은, 인터넷으로 기사검색만 해도 상당수의 질문자들이 요구하는 수준에선 알 수 있는 내용들이니까. 특히나 언론의 경우엔, “이 만큼 힘들게 살고 있다”를 전시할 것을 요구하지, 질문 자체를 바꾸길 바라진 않는 경향이 있으니까(이건 기자 개인의 문제는 아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런 “짜증”이 루인의 어리석음이었음을 깨닫고 있다. 언론에서 아무리 많은 기사가 나와도, 하리수가 아무리 유명해도, “하리수” 이상을 떠올리지 않는 사람은 물론이거니와 트랜스젠더란 말 자체를 모르는 사람도 있고, 트랜스젠더란 말과 “하리수”를 연결시키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사람들도 있으니까. 동시에 LGBT나 퀴어가 존재하긴 하지만, 저 너머 어딘가에 존재할 뿐, 내 앞에 있는 사람 혹은 내가 거주하는 공간에 같이 머무는 사람은 아니라는 믿음으로, 포스터의 의미를 모를 수도 있고. 모르겠다. 그나저나, 그럼, “그 글”을 다시 수정해야 할까? ㅠ_ㅠ

가족이란 고민

이번 학기엔 수업을 한 과목만 듣는다. 어찌어찌하여 선택한 과목은 가족과 관련한 수업인데, 수업에 들어가기 전 이 수업을 통해 무엇을 고민할까를 고민했다. 보통 수업 첫 날 선생님들이, 이 과목을 듣게 된 이유를 물어보기에 그에 적절한 답변을 모색하는 거기도 했지만, 그런 과정과는 별도로 어쨌든 이 과목을 듣기로 했다면 이 과목에서 어떤 고민을 하고 어떤 배움을 얻을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이었다. 하지만 그렇게 많은 고민은 필요 없었다. 주제어는 “트랜스젠더/퀴어와 가족”으로 어렵지 않게 잡았다. 그러면서 트랜스젠더들에게 가족이란 어떤 의미인지, 가족구성권이란 어떤 의미인지를 고민해야지 했다. 이런 고민을 기말 논문으로 풀어내면 좋겠다는 안일함도 있었다.

지난 토요일(9월 1일) “우리, 여기에, 함께”의 기획으로 개최한 포럼인, “한국에서 성적소수자의 가족으로 산다는 것“에 다녀왔다. 다녀온 후 고민이 한층 많아졌다는 점에서, 확실히 잘 간 것 같다. 포럼에서 사람들의 얘기와 고민을 들으면서, 확실히 주제에 대한 고민이 짧았다는 걸 새삼 깨달았으니까. 그래서 아쉬운 건, 어제인 일요일에도 다른 행사가 있었는데 결국 못 간 거. 가고 싶었지만 발등에 불인 걸 어쩌랴.

대학원에 입학하기 전후 즈음의 시기에 사람들과 만나서 루인의 관심 주제를 얘기할 때면, 적지 않은 사람들이 부러워했다. 루인에겐 확실한 주제가 있다고. 그런 말과는 별도로 스스로도 확실한 주제가 있다고 자만한 시절이 있다. 웃기게도 그때 얘기했던 주제는 기껏해야 “트랜스젠더/퀴어와 관련해서 쓰려고요” 정도였다. 지금에야 이런 말이 코미디에 가까운 발언인 걸 알지만(국문과에 입학하면서 “소설과 관련해서 쓰려고요”라고 말하는 것과 다를 바 없으니까) 그땐 정말 이 정도면 쓸 수 있을 것만 같았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이런 믿음이 한 달을 못 갔다는 거랄까. ㅜ_ㅜ

가족과 관련해서 글을 쓰겠다고 했을 때의 고민 역시, 이와 같음을 깨달았다. 그러니까 트랜스젠더/퀴어와 가족의 어떤 지점을 고민하려는 건지 더 깊이 있게 고민하지 않았음을 깨달음과 동시에, 이렇게 막연하게 주제를 잡고 있었던 건 하고 싶은 얘기가 너무 많다는 깨달음. 제도적인 가족구성권, 부모를 비롯한 가족에게 자신을 얘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황들, 얘기를 한다면 어떤 과정을 거쳐서 얘기를 하겠다고 결심하고 얘기하는 과정은 어떤지, 얘기를 하지 않겠다고 했을 때의 과정은 어떤지, 이런 얘기를 들은 가족들의 반응과 이런 얘기를 가족들은 어떻게 경험하는지, 한국사회에서 친족어들은 성별이분법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데 트랜스젠더라고 커밍아웃을 한 후 가족과 친족들 사이에서 이런 호칭은 어떤 식으로 바뀌고 있는지(지금까지 불렀던 방식으로 부르는지, 다르게 부르는지, 계속 헷갈리는지, 의도적으로 섞어 사용하는지 등등) 등등. 또한 아들로서의 경험을 얘기한다는 것이 곧 자신을 “남성”으로 설명하는 건 아니고, 딸로서의 경험을 얘기한다는 것이 곧 자신을 “여성”으로 설명하는 것도 아닐 때, “남성”/”여성”으로만 구분하는 가족관계에서 자신을 “여성”/”남성”이란 식으로 구분하지 않는 트랜스들은 어떻게 협상하고 있는지, 혹은 “남성”/”여성”이란 식으로 자신을 얘기하는 트랜스라고 해서, “딸”(ftm의 경우)/”아들”(mtf의 경우)로 자신을 설명하기도 하고 “딸”(ftm의 경우)/”아들”(mtf의 경우)로 행동해야 하는 상황에서의 경험들을 마냥 부정하는 건 아니란 점에서 젠더화된 가족/친족 관계에서 트랜스젠더들은 어떻게 협상하는지, 등등.

기말레폿 수준에서 모색하기엔 하나 같이 다 하고 싶은 말이 너무도 많은 얘기들이다. 하지만 좀 더 하고 싶은 얘기로 쓰겠지(좀 더 하고 싶은 얘기란 후자의 두 가지).

아무튼, 토요일에 참가한 포럼은 일정 간격으로 계속해서 개최하는 행사가 되면 좋겠다.

사진과 붉은 띠, 딜레마: 퀴어문화축제 퍼레이드

(우선, 감정을 좀 추스르고…)

어제 지렁이 회의 때, 제 8회 퀴어문화축제 무지개의 퍼레이드 행사에 참가해서 어떻게 할 것인가를 논의하면서, 부스에 설치할 것과 퍼레이드 때 무엇을 할 것인지를 의논했다.

단체를 설립한지 이제 몇 개월이고, 지금은 동면상태라 딱히 무언가 그럴 듯 한 걸 하겠다는 욕심은 내지 않았다. 부스엔 그저 성전환자인권연대 지렁이를 알릴 수 있을 간단한 표시 정도 수준으로 결정했다. 단체를 소개할 그럴 듯한 팜플렛이나 뭔가 홍보자료라도 있으면 좋으련만 이런 자료 하나 아직 없는 단체이다 보니, 우선은 지렁이라는 단체가 있다는 걸 알리는데 의미부여하기로 했다.

퍼레이드를 하며, 어떻게 할까를 얘기하다가, 지렁이 깃발 큰 것과 작은 것을 흔들기로 했고, 아울러 피켓을 몇 개 들기로 했다. 피켓 내용은 네 가지, “나는 트랜스젠더일까”, “나는 트랜스젠더이다”, “나는 트랜스젠더 인가봐”, “나는 트랜스젠더이고 싶어”. 두 번째 내용인 “나는 트랜스젠더이다”는 루인이 제안했고, 이 피켓은 루인이 들겠다고 했다. (이 말은 그날 퍼레이드에서 이 내용이 적힌 피켓을 들고 있으면 루인이란 의미인가? -_-;; 차라리 그러면 다행인데 잠깐 다른 사람이 들고 있을 때, 그 사람을 루인으로 인식하면, 이것도 재밌겠다. 흐흐 ;;)

고민은 이 지점에서 발생했다. “나는 트랜스젠더이다”라는 피켓을 들고 있는데, 붉은 띠를 할 것인가. 왜냐면 붉은 띠의 의미는

붉은 띠는 방송, 신문뿐만 아니라 개인블로그, 까페 등에도 공개되고 싶지 않다는 의사를 표시하는 것입니다.

아웃팅에 대한 예방차원에서, 원하는 사람은 붉은 띠를 할 수 있으며, 이럴 때 그 사람 사진은 찍지 못하고, 혹시나 찍혔다면 누구도 알아 볼 수 없게 모자이크 처리를 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이 지점에서 고민이 발생했다.

예전에도 적었듯, 루인의 경우 사진 찍히는 것 자체, 사진 속의 모습 자체를 못 견디는 경향이 있다. 지금 가지고 있는 사진도 증명사진 두 종류가 전부고. 한때 중고 디카를 선물 받은 일이 있어 셀카도 조금 찍었지만 그 사진들 중 남아 있는 건 한 장도 없다. 일테면 오프라인에서 누군가 루인을 지칭하며 “저 사람 루인이야”라거나 “저 사람이 루인인데, 트랜스야”라고 말한다면 그건 상관없다고 느끼지만, 사진이나 영상물은…

그렇다고 루인이 사진 찍히길 싫어하는 게 트랜스(젠더)들의 자기 이미지 때문인가 하면 그런 것도 아니다. 트랜스젠더들의 경우, 자신이 바라는 모습과 거울을 통해 보는 모습이 너무도 달라, 거울을 안 본다거나, 사진 속의 모습을 안 보는 경향이 있다(당연한 말이지만, 모두가 그렇다는 의미가 아니라 이런 식의 말들이 있다는 의미다). 자신은 자신을 “여성”이라고 인식하며 살아가는데 거울 속에서 돌연 “남성”의 모습이 나올 때, 낯설고도 자신이 부정당하는 느낌 때문이다. 하지만 루인의 경우, 이런 이유는 아니고 그냥 사진 속의 모습이 싫을 뿐이다.

이 지점에서 붉은 띠는 딜레마로 다가오고 있다. 어떻게 할 것인가.

…여기까지 적고, 붉은 띠의 의미 자체를 다시 고민하기로 했다. 만약 붉은 띠가 아웃팅 때문이 아니라 단지 사진 찍히는 것 자체가 싫다는 의사 표시일 수도 있다면 지금의 이 고민은 무게가 덜할 수도 있겠다 싶다. 비록 사진을 찍거나 퍼레이드에 참가한 다른 사람들은 붉은 띠를 아웃팅과 연결시키겠지만, 그렇다면 사진 찍히기 싫다는 표현을 곧장 아웃팅으로만 연결시키는 지점에 질문을 던질 필요가 있겠지. 만약 소위 “이성애자”라고 불리는 사람이 사진 찍히길 거부한다면 이럴 땐 아웃팅과 연결하는 경우가 드물지만, “비이성애자”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사진 찍히길 거부한다면, 다른 맥락을 무시하고 아웃팅으로 연결하는 그 지점에 문제제기할 필요가 있겠지. 여기에 트랜스라면 몸 이미지 때문이냐고, 다른 맥락 무시하고 곧장 이런 식으로만 묻는 지점에 문제제기하면 되겠지.

+
사실, 피켓에 정말 쓰고 싶은 말 중 하나는, “나, 괴물. 낄낄낄.” 혹은 “나는 트랜스이다. 나는 괴물이다.”
케케케. 일단 인쇄해서 가져갈까? (ㅎㅁㅈ씨 어때?)

++
피켓 내용 추가
“응, 나 괴물이야. 케케케”
“응, 나 괴물. 그런데 뭐?”
“응, 나 트랜스야. 그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