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링, 뮤즈(다시 해석하기), 관계맺기

멘토링 관련 글을 찾아 읽고 있는데… 어떤 글에서 셜리번이란 학자는 멘토(mentor)와 뮤즈(muse)를 구분한다. 셜리번은 멘토에서 뮤즈로 관계 방식을 바꾸자고 주장한다.

… 멘토 관계에서 성인의 역할은 가르치고 가이드하며 소녀에게 도움을 주는 모델로 나타난다. 이런 유형의 관계는 우선 일방향이고 과도기적이다. 대조적으로, 뮤즈는 소녀의 잠재성을 소녀가 이해하고 억압적인 사회 규범에 저항하도록 소녀를 도와주며, 소녀의 느낌과 경험을 경청하고 증명한다. 이러한 관계 모델은 성인과 청소년 모두에게 취약함과 힘이 있다고 가정하며, 둘다 관계의 맥락에서 배울 수 있다는 데 동의한다. …
(번역은 대충 날림에 적당히 윤문한 것. 출처는 의도적으로 생략. 다음에 추가하겠음..;; )


여성주의/페미니즘에서 주로 논의하는 상담관계는 후자란 점에서 뮤즈의 역할 자체가 새로운 건 아니다. 다만 뮤즈 자체를 새롭게 해석한 점은 흥미롭다. 지금까지 내가 읽어온 많은 글에서 뮤즈(‘여성’)는 ‘남성’ 예술가에게 영감을 주지만 착취당할 뿐 결국은 거의 무명으로 버려지거나 정신병원을 비롯한 구금시설에 감금되는 위치였다. 물론 이런 해석 자체도 ‘남성’중심적인 해석이란 점에서 문제가 많긴 하지만. 이런 통념에 비추어 볼 때, 셜리번의 뮤즈는 확실히 흥미롭고, 좀 더 힘이 넘치는 모습이다.

+
그리고 구글만세! -_-;;
이 논문은 어느 책에 실렸는데, 그 책은 내가 접근할 수 없는 학교도서관에만 있다. 빌리기도 힘들 뿐만 아니라 내가 필요한 건, 책 전부가 아니라 해당 논문일 뿐. 그래서 구글링을 했더니… 으하하.

『흑인 페미니즘 사상』 리뷰를 쓰면서

01
패트리샤 힐 콜린스의 책 『흑인 페미니즘 사상』(박미선, 주해연 옮김. 서울: 여이연, 2009)의 리뷰를 쓰고 있습니다. 애초 협의한 날짜는 이미 지났지만 원고를 청탁하신 분의 말을 믿고 다음 주 중에 발송하려고요.

이 책의 리뷰는 매우 간단하게, 단 한 줄로 쓸 수도 있습니다.
“만약 이제까지 읽은 페미니즘관련 책에서 당신의 언어를 찾을 수 없었거나 아쉬움이 남았다면 이 책을 읽으세요.”

미리 얘기하자면 이 책의 교정에 참여했습니다. 그래서 [Run To 루인]에 이 책 관련 글을 쓰는 게 겸연쩍기도 해요. 하지만 이런 이유로 더 애정이 가기도 합니다. 책 자체가 좋기도 하고요. 🙂

02
리뷰의 형식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다른 리뷰들을 뒤적이기도 합니다. 책이 논하는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고, 이런 맥락에서 해당 책의 위치를 설명하고, 이 책이 현재 어떻게 유용한지를 밝히고. 이건 리뷰나 독후감의 기본 형식입니다. 반드시 이렇게 써야 하는 건 아니지만, 대체로 책의 맥락을 설명해주고 책과 리뷰를 쓰는 사람의 긴장 관계를 드러내는 식이죠. 그러니 『흑인 페미니즘 사상』의 리뷰를 쓴다면 미국에서 흑인여성의 상황, 페미니즘에서 인종 논의, 젠더와 인종을 논한 이론 개괄, 흑인 페미니즘의 현재 등이 리뷰에 들어가겠지요. 하지만 이런 관습적인 방식의 글을 쓰기에 저는 적절한 글쓴이가 아니죠. 해당 전공자도 아니거니와 이런 내용을 저보다 더 잘 아는 사람이 수십, 수백 명은 되니까요. 제가 『흑인 페미니즘 사상』의 리뷰를 쓰면서 미국 흑인 페미니즘 사상의 역사적인 맥락을 훑는다면, 적어도 저에겐 코미디입니다. 벨 훅스 조금 읽었을 뿐이고, 오드리 로드 글 몇 편 읽었을 뿐인 걸요. 사실 상 아는 것이 없죠.

이런 고민은 조금 나중에 했습니다. 흑인 페미니즘 전공자, 미국현대문학전공자, 미국흑인문학전공자, 미국 사회학 전공자, 이주와 인종 이슈 전공자들이 매우 많은 상황에서도 굳이 저에게 이 책의 리뷰를 청탁했다면 그 이유가 무엇일까를 먼저 고민했습니다. 아니 고민할 필요도 없었습니다. 앞에서 언급한 전공자들이 쓸 거라 예상하는 글이 아닌 다른 어떤 리뷰를 바란다는 걸 쉽게 짐작할 수 있으니까요. 사회학자나 미국문학전공자가 쓸 수 있는, 쓸 거라 예상하는 글을 바랐다면 애당초 저에게 리뷰를 요청하지도 않았겠죠. 즉, 트랜스 활동가의 맥락에서 이 책을 어떻게 읽을 수 있는가를 바랐던 거겠죠. (아…, 아닌가? ;;)

03
트랜스젠더 혹은 퀴어 활동의 맥락에서 『흑인 페미니즘 사상』을 리뷰하기. 쉬운 일은 아닙니다. 쉬운 일이 아닌 건, 제 블로그 [Run To 루인]에 쓰는 글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글을 싣는 매체의 성격과 형식을 아예 무시할 수는 없으니까요.

처음 계획은, 리뷰를 쓰는데 『흑인 페미니즘 사상』을 한 번도 언급하지 않는 글이었습니다. 『흑인 페미니즘 사상』의 인식론과 방법론를 밑절미 삼아, 콜린스가 한국어판 서문에도 밝혔듯, 이 책이 “배타적으로 흑인여성의 소유물로만 그치지 않”(7)고 “사람들과 대화를 촉진하는 논의”(8)로 활용하는 글쓰기를 하고 싶었습니다. 문제가 있더군요. 이렇게 쓸 경우, 『흑인 페미니즘 사상』을 읽은 사람은 왜 이런 리뷰를 썼는지 이해할 수 있겠지만 읽지 않은 사람들로선 황당하겠죠. “리뷰라는데 『흑인 페미니즘 사상』은 단 한 번도 언급을 안 해? 도대체 이 리뷰와 책은 무슨 상관이지?”라는 식으로.

저의 욕심은 간단했습니다. 이 책이 페미니즘에 관심 있는 사람들 뿐만 아니라, 페미니즘에 무관할 것만 같은 이슈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에게도 중요하다는 것. 고민을 풀어가는 데 있어 매우 소중한 조언이 될 것이란 것. 어쩌면 활동을 하고 공부를 하는데 등대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것. 이런 것을 말하고 싶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결국 저는 『흑인 페미니즘 사상』을 봉합사 삼아 글을 풀어가기로 했습니다. 최근 제 고민들, 활동들을 엮고 꿰매는 봉합사로서 『흑인 페미니즘 사상』을 리뷰하기. 한 가지 다행인 건 그 매체가 형식 자체를 따지진 않는다는 거죠. 글쓴이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는 거죠. 그래서 좀 편하게 쓰고 있습니다. 수필도 아닌 것이 논문도 아닌 것이 리뷰도 아닌 것이 일기도 아닌 것이. 이것도 저것도 아닌 어떤 형식으로.

그래도 걱정인 건 어쩔 수 없네요. 제가 나름 소심해서, 제가 하고 싶은 대로 밀어붙이고선 나중에 벌벌 떠는 타입이거든요. 하하.

+
이 글은 옮긴이들에게 미리 변명하는 글이기도 합니다?
흐흐. 🙂

+
이전에 쓴 관련 글
『흑인 페미니즘 사상』: 매우 짧은 리뷰
인용: 『흑인 페미니즘 사상』 + 이종태 기자의 기사

케슬러와 맥켄나의 『젠더』: 1970년대 젠더 이론을 추적하기

Kessler, Suzanne J. and Wendy McKenna. Gender: An Ethnomethodological Approach. Chicago &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관련 글
『젠더』: 상대방의 젠더를 판단하는 여러 기준들
두 영혼의 사람들(버다치), 젠더를 이해하는 다른 방식

원래 계획이라면 지난 달에 다 읽었어야 했다. 중간에 여러 일이 있었지만, 이런 이유는 모두 핑계다. 정말 열심히 읽었다면 열흘이나 늦을 리가 없으니, 그냥 게을러서 늦었다.

책 한 권을 읽고 세 편 정도의 관련 글을 쓴다고 해서 반드시 ‘좋은 책’은 아닐 테다. 하지만 책을 읽고 나서 하고 싶은 말이 생기고 쓰고 싶은 글이 생긴다면 ‘좋은 책’이지 않을까? 즉, 어떤 형태로건 독자의 몸을 움직이게 한다는 점에서 ‘좋은 책’인 건 분명하다. 다 읽었는데도 할 말이 없고 몸도 움직이지 않는다면 시간 낭비에 가까우니까. 그렇다면 케슬러와 맥켄나의 책은 어떨까? 세 가지로 구분해서 얘기할 수 있을 거 같다.

페미니즘이건 트랜스젠더이론이건 퀴어이론이건 뭐건 간에, 내게 1970년대는 초기에 해당한다. 이론과 논의가 지금과 같은 형태로 번창했다기 보다는 싹이 트기 시작하는 시기랄까. 좀 더 구체적으로 쓰면, 1950년대 중반 ‘젠더역할’이란 용어를 의학에서 처음 사용하기 시작하며 ‘섹스역할’과 구분하기 시작했고, 1960년대 즈음 트랜스젠더 개인(Virginia Charles Prince)과 의학에서 섹스와 젠더를 구분하기 시작했다. 섹스와 젠더 구분을 1960~1970년대 페미니즘에서 적극 받아들였고, 젠더는 페미니즘 논의의 중심이 된다. (논의하는 사람에 따라 1930년대의 마가렛 미드를 섹스-젠더 구분의 시발점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나는 1970년대까지의 섹스-젠더 구분 논의는 상당히 단순했다고 이해했다. 앤 오클리(Ann Oakley) 식으로, 섹스는 용기처럼 변하지 않지만 젠더는 용기에 담는 내용물처럼 변할 수 있다는 정도랄까? 혹은 성전환수술의 토대를 닦은 존 머니(John Money)나 로버트 스톨러(Robert Stoller)처럼 섹스가 변할 순 있지만, 지정한 젠더를 강화하는 방식이어야 한다는 정도? 어느 쪽이건 상관없다. 1970년대까지는 섹스-젠더를 분명하게 구분할 뿐만 아니라 ‘여성’과 ’남성’이란 이분법을 당연하게 여기는 시기란 인상이 강했다. 이것이 1980년대로 넘어가면서 변한다는 게 내 앎의 전부였다. 그래서일까? 1979년에 처음 나온 케슬러와 맥켄나의 책을 읽는 내내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저자들은 시종일관 이분법을 당연하게 가정하는 이론들을 꼼꼼하게 비판하며 이분법을 가정하지 않는 이론이 필요함을 역설한다. 이 책은 내가 알고 있던 1970년대 미국 젠더 논의의 지평을 넓혀줬다. 그래서 난 이 책을 읽는 내내 흥분했고, 마지막 결론을 기대했다.

한편, 이 책은 당시의 범주인 트랜스섹슈얼을 상당히 비중있게 다루고 있다. 내가 이 책을 읽기로 결정한 이유기도 하다. 트랜스섹슈얼을 다루지 않는 젠더 이론이었다면 나중에 읽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책은 젠더 이론을 다루는 동시에 트랜스섹슈얼의 경험도 다루고 있어 예정보다 일찍 읽었다. 다루는 정도도 한 챕터가 아니라 책 전반에 걸쳐 언급하고, 한 챕터에선 집중해서 분석한다. 그리고 트랜스섹슈얼을 다루는 장면에서 실망하지 않을 수 없다. 케슬러와 맥켄나는 두 영혼의 사람(버다치)은 젠더 이분법을 위반하거나 이분법에 부합하지 않지만 트랜스섹슈얼은 이분법을 강화한다고 비판한다. 성전환수술은 트랜스섹슈얼들이 이분법을 내면화하고 강화하는 실천의 하나란 것이 저자들의 주장 중 하나다. 이런 큰 주장때문에, 수술을 바라지 않고, 자신을 ‘여성’이나 ’남성’이 아니라 트랜스섹슈얼로 설명하는 이들의 경험은 잠깐 언급하고 넘어간다. 다른 부분에선 매우 영민한 저자들이 트랜스섹슈얼을 분석할 땐 왜 이렇게 막힌 걸까 싶어 안타까웠다. 이분법을 강화하느냐 하지 않느냐란 논쟁은 소모적일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이분법을 강화하기 때문이다.

이 책의 마지막 챕터를 읽기 전 나는 무척 기대했다. 제목도 “Toward a Theory of Gender”(젠더 이론을 향하여)로, 이분법의 한계에 갖히지 않는 새로운 젠더 이론을 제시할 거란 기대를 부풀게 하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하지만 … 기대는 금물. 간단하게 요약하면, 젠더를 ‘여성’과 ‘남성’으로 구분해서 접근하면 차이는 당연할 수밖에 없기에 이런 구분 자체를 질문하고 이분법을 몸에 익히는 과정 자체를 질문하는 이론을 만들어야 한다,  끝. ㅡ_ㅡ;; 1970년대 후반엔 상당히 새롭웠겠지만, 그리고 지금의 어떤 사람들에겐 이 정도의 논의만으로도 신선할 거 같다(젠더는 양성평등이라고 말하는 이들이 상당하니까). 하지만 나 혹은 내가 알고 있는 어떤 사람들에겐 무척 진부할 따름이다. 아니, 내용이 진부한 게 아니라 나의 기대가 너무 컸는지도 모른다. 난 케슬러와 맥켄나가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읽고 싶었지, 문제제기를 읽고 싶었던 게 아니었으니까. 그래서 “논문 한 편으로 써도 충분할 주장을 도대체 왜 책 한 권 분량으로 쓴 거냐고!!”라고 구시렁거렸다. 흐흐.

이 책을 읽던 초기엔 이 책이 무척 흥미진진했다. 다 읽고 나니 어쩐지 허탈하다. ;;; 그렇지만, 한 가지 분명한 건 1970년대 젠더 논의를 이해하는데 상당히 중요한 책이란 점이다. 아울러 버틀러와 같은 이의 주장이 뜬금없이 등장한 것이 아니라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활발하게 진행한 이론적 논쟁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어 즐거웠다. 젠더 이론을 다루는 수업이라면 이 책을 읽어도 괜찮을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