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내가 하는 말: 시건방진 트랜스젠더

01

좀 건방지게 말하자. 나는 한국 페미니즘 운동이 성취한 인식론적 토대의 수혜자면서 바로 그 인식론에 저항해야 하는 도전자다. 페미니즘은 학제에서 비규범적 존재가 자신의 위치로 기존 학제를 다시 설명할 수 있는 언어를 제공했다. 내가 아니라 나를 문제 삼는 바로 그 질문의 토대를 문제삼도록 했다. 하지만 이런 인식은 이성애-비트랜스젠더를 밑절미 삼는다. ‘여성’이란 토대는 여전히 견고하다. 견고할 뿐만 아니라 집요하게 고집하는 근본이다. 나는 이런 분위기와 노력에 포섭될 수도 없고 내쳐질 수도 없는 존재다. 나는 예외로는 머물 수 있지만 예외로만 머물 수 있는 존재다. 나는 예외가 되길 바라지 않는다. 나는 나로 인해, 꼭 내가 아니라도 트랜스젠더를 인식하며 인식론적 토대, 존재론적 토대 자체를 바꾸길 바란다. 이것이 내가 나를 전시하고 공개하는 이유다. 내가 아니라 젠더란 범주, 여성-남성으로 나뉜 공간을 새롭게, 그리고 지금과는 다르게 상상할 수 있길 바란다. 내가 바라는 것은 이것이지 나의 편의가 아니다. 예외로 머무는 한 나는 편하지 않다. 솔직하게 말해 더 불편하다. 내가 제공 받은 편의는 나의 것이 아니라 편의를 제공하는 사람이 것이다. 내게 편의를 제공하려고 애쓴 분의 노력을 폄훼하고 폄하하는 것이 아니다. 그 분에겐 언제나 고마울 따름이다. 그저 그 분의 노력과 상관없이 그 행동이 의도하지 않게 유지하는 토대를 말하고 싶을 뿐이다. 내가 예외로 포섭될 때, 젠더 이분법을 유지하려는 토대는 온전한 형태로 유지된다. 세상은 여성 아니면 남성 뿐이라고 인식하는 방식은 아무런 문제 없이 그냥 유지된다. 누차 말하지만 나는 이것을 바라지 않는다.
02
가장 평범하게 일상을 살아가는 삶의 급진성을 사유할 것.
가장 평범하게 사는 것이 가장 급진적으로 사는 것이다.
03
어제 처음으로 김비 님을 뵈었다. 글은 여러 편 읽었지만 직접 뵙고 강의를 들은 것은 처음이다. 조근조근 이야기하면서도 힘이 넘치고 또 성찰이 반짝이는 말이라니! 자신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야기하는데 그것을 개인의 문제로 환원하지 않고 사회적 태도의 문제와 끊임없이 연결하는 말하기 방식은 보통의 내공이 아니었다. 다른 무엇보다 김비 님의 삶을 말로 듣는 것은 그 자체로 큰 힘이었다. 나는 그냥 내가 선택한 방식으로, 나중엔 또 어떤 식의 삶을 선택할지 모르겠지만 지금은 지금 내가 선택한 방식으로 살아도 괜찮겠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리고 1990년대 후반 활자에 처음 등장하여 지금까지 꾸준히 트랜스젠더 이슈를 말하고 있어서 고마웠다. 언제나 하는 얘기지만, 나 같은 사람에게 김비 님이나 하리수 님과 같은 이가 있다는 것은 큰 힘이다. 공적 인물이 아무도 없던 시기에 무언가를 얘기하는 것과 그 이후에 등장하는 것은 전혀 다르다. 나는 그 이후에 등장했고 그래서 조금은 편하게 말할 수 있다.
참고로 02번의 말은 <못생긴 트랜스젠더 김비 이야기>란 책 제목과도 관련 있다. 이 얼마나 끝내주는 제목이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