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렌스 애니웨이: mtf/트랜스여성 영화

지난 화요일 오전에 아트레온에서 mtf/트랜스여성이 주인공인 영화 <로렌스 애니웨이>를 봤다. 요즘 몸 상태가 안 좋아서 후반부엔 몸이 힘들었지만 괜찮게 봤다. 극장에서 다시 볼 엄두는 안 나고 나중에 DVD가 나오면 구매 예정!
일단 인상적인 장면.
영화 시작은 안개에서 누군가(라고 쓰고 로렌스라고 읽는다)가 나와서 사람들이 놀라는 장면을 보여준 다음 다시 누군가가 안개 속으로 사라지는 장면을 연출한다. 이것은 로렌스가 정확하게 어떤 존재인지 포착하기 힘든 지점을 암시한다. 범주의 모호함을 상징할 수도 있지만 범주보다는 성격이 더 정확할 듯도 하고…;;;
영화 초반, 손가락 끝에 클립을 끼우는 장면이 있다. 그 모습이, 소위 여성의 긴손톱을 형상한 느낌이라 정말 좋았다. 남성으로 통하지만 자신을 남성이 아닌 젠더, 혹은 여성으로 인식하는 로렌스가 자신의 억누른 삶을 표현하는 찰나라서 좋기도 했다. 하지만 어쩐지 그 모습이 정말 매력적이고 아름다웠다, 슬프기도 했고.
로렌스가 가장 예쁘게 나온 순간은 처음으로 ‘여장’하고 수업에 들어간 모습. 이때 로렌스는 투피스 정장 치마를 입고 화장을 하고 반삭의 머리였다. 이 모습이 가장 좋았고 영화 전반을 통틀어 이 순간이 가장 예뻤다. 영화 흐름에서 중간 시기의 헤어스타일은 정말 안 어울렸고 후반부 곱슬머리는 그냥 평범했다. 반삭에 치마 투피스 정장에 화장이라니!
(대충 이런 모습인데.. http://i.ytimg.com/vi/Lj3JvLYZyDs/hqdefault.jpg )
처음으로 여자화장실에서 치마로 갈아입으려다가 포기하고 나오는 장면이 있다. 포기한 이유가, 화장실에 있는 다른 몇 명의 여학생이 강사/교수를 평하는 얘기를 나누는데 로렌스는 매력적이라고 얘기한다. 이 얘기를 들은 로렌스는 학생을 실망시킬 수 없다며 치마 입기를 포기하고 나온다. 나는 이 갈등, 이 순간의 감정이 정말 좋았다. 자신의 원하지 않는 외모지만 그 외모에 매력을 느낀다는 누군가의 말에 잠시나마 기뻐하는 찰나의 감정을 그려서 정말 좋았다.
별로인 순간은 샤를로테와 지내는 시기. 로렌스는 프레드와 헤어지고 샤를로테와 몇 년을 함께 하는데 그 동안 로렌스는 샤를로테에게 어떤 애정도 주지 않는다. 샤를로테가 로렌스를 위해 장을 보고 음식을 하는 등 온갖 일을 하지만 로렌스는 고맙다는 말 한 마디 하지 않는다. 대신 프레드에게 연락이 왔을 때 샤를로테를 붙잡는 대신 프레디를 찾으러 간다. 정말정말 화가 난 순간이다.
전반적으로 재밌었고 영상은 특히 아름다웠다. 이를테면 갈등이 고조되는 순간에도 색감을 정말 예쁘게 잡았고 그래서 화면에 빠져들었다. 아울러 감독이 168분에 가까운 편집을 할 수밖에 없겠다 싶기도 했지만 120분으로 편집했다면 더 좋았을 텐데.. 솔직히 지루한 감도 있었다. 그럼에도 이 영화, 나는 좋다.

mtf 트랜스젠더의 수염

언젠가 서울국제여성영화제에서도 상영한 적 있는 <마법의 성별>Juggling Gender(저글링 젠더, http://goo.gl/82FmG )엔 수염난 여성, 제니퍼 밀러(Jennifer Miller, http://goo.gl/ggRgR )가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구글링하면 이미지를 바로 찾을 수 있다.) 학부 수업 때 이 영화를 소개받았는데, 그 수업에선 젠더를 저글링하는 것, 젠더를 수행하는 행위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하여 젠더란 몸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구성이란 지적을 했다.
기본적으로 수염이 갖는 사회적 의미는 남성성과 밀접하고 특히 권력과 밀접하다. 남성의 수염(혹은 털)은 권력이나 권위 등을 상징하고 여성의 털은 수치심을 상징한다는 말은, 적어도 이곳에 오는 분들에겐 익숙할 듯하다. 그래서 여성에게 허용되는 털은 머리카락 정도고 남성에겐 거의 모든 털이 공공에 노출되어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취급된다. 털 혹은 수염과 남성성의 관계는 몸의 생물학적 작용이지만 사회적 의미가 가장 노골적이고 흔하게 전시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수업 시간에 <마법의 성별>를 소개한 선생님은 다른 시간에, 다음의 숙제를 냈다. 아침에 일어나서 잘 때까지 여성성 혹은 남성성을 어떻게 수행하는지를 꼼꼼하게 다 적어서 내라는 것. 이것은 우리가 얼마나 젠더화된 삶을 살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작업이다. 그런데 선생님은 이를 위한 예시로 ‘남성이라면 아침에 면도를 할 것이고’라고 말했다. 이 찰나, 나는 잠시 두려움을 느꼈다. 면도를 하는 사람은 남성인가? 이런 식의 예시가 <마법의 성별>과 충돌하는데 왜 그 찰나를 포착 못 하는 걸까? 그럼에도 나는 한동안, 아니 여전히 수염을 남성성으로 해석하는 관념에 자유롭진 않다.
물론 수염과 남성/남성성이 밀접하기에 관련 코드로 유머를 만들기도 한다. 이를 테면 얼마 전에 본 <뮤지컬 드랙퀸>엔, 드랙퀸 지화자가 대기실에서 면도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것은 대체로 여성의 몸에 나는 일상적 수염으로 독해되기보다 트랜스여성의 ‘남성 생물학의 흔적’을 드러내는 장면으로 독해된다. 혹은 여성의 몸에 나는 수염이라고 해도 숨겨야 할 것이기에 재빨리 깎아야 하는 것이거나. 물론 나는 이런 식의 장면을 사랑하는데, 내겐 이 장면이 일종의 해학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그것은 어떤 의미에서 나의 삶이기도 해서, 낄낄 웃는다.
수염과 남성/남성성의 관계와 관련해서 계속 질문하는 건, 수염이 나고 면도를 하는 행위는 남성의 어떤 성적 특질, 문화적 실천을 수행함이가란 질문을 하루도 빠지지 않고 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 이슈는 언제나 글을 통해서만, 아니 글에서도 에둘러서 말하지만 나로선 가장 스트레스 받는 주제기도 하다. 해학이면서 스트레스다.
영화 <마법의 성별>를 봤을 때, 해당 수업 선생님은 젠더 수행성을 이야기했지만, 나는 그런 부분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사는 게 수행인데 뭘 새삼스럽게.. 그보다 밀러가, 나는 여성이어서 수염이 난다,고 말한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자칫 생물학적 본질주의로 읽힐 수도 있겠지만 이 말은 그렇지 않다. 적어도 내게 이 말은, 기존의 관념 자체를 다시 독해하도록 하는 발언이다. 여성이어서 수염이 난다. 그것도 잔수염이 나는 게 아니라 덥수룩하게 난다. 이럴 때 면도하는 행위, 수염의 의미를 남성과 붙여서 설명할 수 있을까? 면도와 수염이 아무리 비트랜스남성이 압도적으로 겪는 일이라고 해도(정말 압도적 비율의 경험인지는 모르겠지만) 그 의미를 단순하게 붙이는 것은 곤란하지 않나…
(골드키위새 작가의 <우리집 새새끼> 초반에 작가가 수염난 모습을 보여줘서, 댓글에 작가의 성별을 논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에 대해 작가는 여성도 수염 나는 것 아니냐고 당황한듯 혹은 능청스럽게 되물었다. 매력적인 순간이다.)
<마법의 성별>를 처음 본 게 2000년대 중반이다. 그 이후 하고 싶은 일 중 하나는 그 영화의 주인공 밀러처럼 수염을 기르고 돌아다니는 것이다. 물론 이것이 어떤 사람에겐 남성의 수염으로 독해되겠지만 내겐 mtf 트랜스젠더의 수염이고 그리하여 다른 정치적 의미를, 혹은 다른 어떤 가능성을 만들고 싶다는 바람이 있다. 아니 정치적 의미 같은 건 나중 문제고 그냥 수염으로 어떤 장난을 치고 싶다는 바람을 품곤 한다. 이것을 내가 실현할 수 있을 지는 모르겠다. 언젠가 호르몬투여를 한다면, 그땐 수염을 기르고 돌아다니는 일을 할 수 있을까? 물론 이제, 이런 실천은 나 혼자의 독단적 판단으로 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한 번 정도는 해봐도 재밌겠다는 어떤 상상.
아무려나 나는 태어날 때 남성으로 지정받아서 수염 흔적이 있는 게 아니다. mtf 트랜스젠더라서 수염 흔적이 있다(당연하게, 모든 mtf/트랜스여성에게 수염 흔적이 있는 건 아니다). 그래서 나의 수염 흔적은 내가 트랜스젠더라는 사실을 알려주는 중요한 흔적이다. 적어도 지금은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