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젠더 의미, 메모

트랜스젠더란 용어는 역사적 개념입니다. 한 사람의 현재 몸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 사람이 살아오며 몸과 젠더의 관계를 어떻게 겪었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용어죠. 만약 시스젠더를 자신이 인식하는 젠더와 태어날 때 지정받은 신체적 섹스가 일치하는 사람이라고 설명한다면 저는 시스젠더입니다. 왜냐면 저는 mtf 트랜스젠더고 제 몸 역시 트랜스젠더의 몸, 트랜스여성의 몸, 그리고 여성의 몸이기 때문입니다. 언제나 얘기하지만 제 턱에 난 수염 흔적은 제가 여성이기 때문에 그리고 트랜스젠더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단지 현재의 몸 상태만 얘기한다면 저는 시스젠더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논리 장난을 치면, 저는 저를 트랜스젠더로 인식하고 제 몸은 트랜스젠더 몸이란 점에서 저는 시스젠더입니다.) 하지만 트랜스젠더란 용어는 한 개인이 살아가며 몸과 젠더가 겪는 다양한 경합을 설명하는 용어란 점에서 저는 자랑스럽게 트랜스젠더입니다. 아울러 시스젠더란 용어는 단지 태어날 때 지정받은 젠더와 신체적 섹스가 일치하는 사람을 지칭하기 위해 등장한 용어가 아니라 트랜스젠더에 대응하는 용어의 필요에서 등장한 용어입니다. 트랜스젠더와 일반인이라고 말한다면 트랜스젠더만이 특이한 경험을 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사회의 규범으로 작동하는 이원 젠더를 자연화하지요. 그래서 비트랜스젠더와는 다른 어떤 용어가 필요했고 이를 시스젠더란 용어를 만들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바로 이 지점을 놓친다면 트랜스젠더와 시스젠더를 분리된, 별개의 존재로 상상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시스젠더는 트랜스젠더와는 다른 젠더 경험을 설명하기 위해서라기보다 비트랜스젠더를 자연화하지 않기 위한 용어입니다. 몸과 젠더를 어떻게 경험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등장한 용어란 점을 정확하게 인식해야 하고 이 지점을 분명하게 해야 합니다.
(이것 역시 제가 시스젠더란 표현을 좋아하지 않는 이유기도 하고요.)

시스젠더, 욕망을 지지하면서 제도를 문제삼기

이런저런 자료를 찾다가, 위키영어사전에서 시스젠더를 설명하는 구절을 읽었다. 소위 자신이 인식하는 젠더와 태어날 때 지정받은 섹스가 일치하는 사람을 뜻하며, 이런 의미에서 수술 등 의료적 조치를 한 트랜스젠더도 시스젠더에 속한다는 설명이었다.
(시스젠더가 수술 등을 이행한 트랜스젠더도 포함한다는 구절은 몇 분 안 지나 삭제되었다.)
나는 이런 설명이 매우 당혹스러운데 이런 식의 설명은 트랜스젠더의 삶을 역사 없는 것, 단지 지금이라는 특정 찰나에만 박제된 형태로 만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시스젠더의 삶을 갈등 없는 것, 매끈한 것으로 만든다. 그리하여 수술을 모두 다 했거나 호적정정도 한 트랜스젠더는 시스젠더에 포함된다는 사고 방식은 여전히 인간의 기준을 시스젠더에 둘 뿐이다. 개개인이 자신은 트랜스젠더가 아니며 트랜스젠더가 부르지 말라고 요구할 수는 있다. 이것 자체를 비난할 수는 없다. 하지만 특정 사유체계를 규범으로 삼는 방식, 제도 자체는 끊임없이 문제 삼아야 하고 기존의 규범을 탈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개개인의 욕망을 지지하면서 기존의 규범과 체제를 문제 삼지 않는다면, 이런 태도는 개개인을 끊임없이 고통으로 내모는 바로 그 제도를 유지하는데 공모함과 다르지 않다. 이것이 내가, 그리고 내가 아는 여러 사람이 개개인의 욕망을 지지하면서도 고통을 다른 식으로 구성하기 위해 끊임없이 규범과 제도를 문제삼는 이유다.
아래는 참고하시라고…
This is an old revision of this page, as edited by 132.241.226.83 (talk) at 22:11, 20 February 2014. It may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current revision.
Cisgender and cissexual (often abbreviated to simply cis) describe related types of gender identity where an individual’s experience of their own gender matches their bodies. This includes people who were once transgender but physically transitioned so their gender identity matches their physical sex. [1] Sociologists Kristen Schilt and Laurel Westbrook define cisgender as a label for “individuals who have a match between the gender they were assigned at birth, their bodies, and their personal identity” as a complement to transgender.[2]

케이트 본스타인, 젠더 법외자/젠더 무법자

어떤 분에겐 반가울 소식 하나 전합니다.
케이트 본스타인이라고 아시나요? 아마 트랜스젠더퀴어 이론에 관심이 있거나 젠더 교육 프로그램에 관심이 있다면 한 번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1980년대부터 미국에서 트랜스젠더 이슈로 다양한 활동을 했고, 연극배우며 1990년대엔 트랜스/젠더 이론서, 교육서 등을 쓴 저자기도 합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트랜스젠더 이론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케이트 본스타인의 글을 읽으며 많은 위로를 얻고 많은 배움을 얻었을 거고요.
이런 케이트 본스타인이 처음 쓴 책은 이론적 자서전, 혹은 자전적 이론서입니다. <젠더 법외자> 혹은 <젠더 무법자>로 번역할 수 있는 책, Gender Outlaw: On Men, Women, and the Rest of Us는 본스타인이 트랜스젠더로 살아온 삶과 자신의 삶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적절하고 절묘하게 엮은 책입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트랜스젠더 자서전을 출판하는 붐이 일었는데 본스타인의 책이 그 붐을 일으켰다고 평가하기도 합니다. 삶과 이론이 절묘하게 엮이는 찰나며 삶이 얼마나 치열한 이론인지, 이론이 얼마나 감동적일 수 있는지를 증명한 책이기도 합니다.
저는 트랜스젠더 이론을 처음 공부하던 시기에 이 책을 읽었고 많은 위로를 받았고 배움을 얻었습니다. 제겐 정말 소중한 책 중 하나죠. 그래서 이 책을 한국의 다른 사람과도 나누고 싶었지만 쉽진 않았습니다. 여기저기 이 책을 번역하자는 얘기를 했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쉽지 않았습니다. 아쉬웠지요.
바로 이 책이 한국에 번역 출간될 예정입니다. 믿기나요? 얼마 전, 이 책 번역과 관련한 계약을 맺었다고 합니다. 판권 계약 및 옮긴이 계약 모두 맺었다고 하고요. 물론 제가 번역하진 않아요. 제가 욕심을 냈던 책이지만 전 다른 책을 번역하고 있거니와 제겐 단독으로 영어책을 번역할 능력이 없거든요. 저에 비하면 번역을 엄청 잘 하는 분이고, 트랜스젠더퀴어 이론도 공부하는 분이라고 합니다. 저도 그 이상은 잘 모르지만.. ^^; (이런 소식을 알게 된 계기는 따로 있는데 그건 나중에 다시..)
정말정말 기뻐요!
제 글로는 <젠더 법외자>가 어떤 글일지 가늠하기 힘드실 테니.. 모 님을 착취하여(고맙고 죄송합니다..ㅠㅠ) 몇 구절 옮겼습니다.
내 생각에 젠더는 S/M으로부터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안전하고, 정상적이고, 합의한 것이어야 한다.

젠더는 안전하지 않다.
만일 내가 나의 젠더를 바꾼다면 살인, 자살 또는 내 잠재력의 절반이 사라지는 삶이라는 위협을 대면하게 된다.
만일 내가 젠더를 알리는 신호가 섞여 있는 몸으로 태어난다면, 나는 도살될 위험에 처한다- 조정되고, 절단된다.
젠더는 안전하지 않다.

그리고 젠더는 정상이 아니다.
무지개를 흑 아니면 백이라고 하는 것은 정상이 아니다.
모두가 단 두 개의 범주 중 하나에 맞아야만 한다고 요구하는 것은 정상이 아니다.
인간을 억압하기 위해 여성으로 분류하고 칭송하기 위해 남성으로 분류하는 것은 정상이 아니다.
젠더는 정상이 아니다.

그리고 젠더는 합의에 의한 것이 아니다.
우리가 태어나면 의사가 젠더를 지정한다. 그 과정은 국가에 의해 문서회되고, 법에 의해 시행되고, 교회에 의해 신성화되고, 미디어에 의해 사고 팔린다.
우리는 스스로의 젠더에 대해 의견을 말할 수 없다. 우리는 젠더를 질문하고, 가지고 놀고, 친구들, 애인들, 가족들과 함께 만들어갈 수 없다.
젠더는 합의된 것이 아니다.

안전한 젠더는 비난이나 폭력의 위협 없이 무엇이든 누구이든 원하는 대로 될 수 있는 것이다.
안전한 젠더는 어떤 방향이든 바라는 곳으로, 우리나 다른 누구의 건강에도 위험을 끼치지 않고 가는 것이다.
안전한 젠더는 패싱하라는 위협도, 거짓말을 해야만 하는 일도, 숨여야 하는 일도 없어야 한다.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