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젠더/퀴어 역사 쓰기, 시간적 존재로서 타자: 사람책

지난 토요일에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의 트랜스젠더 삶의 조각보 만들기 프로젝트 팀)과 이화여자대학교 변태소녀하늘을날다, 두 단체가 공동으로 주최한 2013 LGBT 상담 컨퍼런스에 참여했다. 그냥 참가만 한 건 아니고, 사람책 세션에서 사람책으로도 참가했다. 10여 분 정도가 책으로 참가했고, 각자 자신만의 주제를 정했는데 나는 “레즈비언 트랜스젠더, 채식하는 트랜스젠더”였다. 무척 재미 없는 주제라 아무도 안 올 줄 알았는데(대출률 0을 기대했는데!!!) 이 목표는 실패했고.. 관련 더 자세한 얘기는 내일 하고..

40분씩 총 두 번을 했는데, 두 번째 대출 말미에 한 분이 앞으로 하고 싶은 게 뭐냐고 물어보셨다. 그래서 망설이지 않고 “잉여롭게 사는 거요”라고 답했다. 사실 이건 앞으로 꼭 살고 싶은 방법이다. 난 잉여롭고 빈둥빈둥거리며 살길 바란다. 특히 이 날 점심 때 햇살 좋은 나무 아래 앉아 있으니 그저 이런 여유를 누리며 살고 싶다는 바람이 더 간절했다. 그랬기에 잉여롭게 사는 건 나의 꿈이다! 하지만 이렇게만 말하면 안 될 것 같기도 하고 또 다른 하고 싶은 것도 여럿 있으니 그것 중 하나를 얘기했는데, 트랜스/젠더/퀴어 역사 쓰기다.
트랜스/젠더/퀴어 역사 쓰기는 트랜스젠더 운동을 시작할 때부터 원하는 작업이었고 박사과정에 진학할 때 학업계획서의 주제 중 하나로 제출한 이슈기도 하다. 그리고 언제나 두근거리면서 작업하는 일이기도 하고. 새로운 기록물을 발굴하면 혼자 좋아서 덩실덩실했다가, 그 내용이 기대에 못 미치면 실망했다가, 다시 읽으니 괜찮아서 또 좋아했다가.. 과거 흔적과 기록물을 발굴하고 역사를 쓰는 작업은 늘 즐겁고 좋은 일이라 박사학위논문이 아니어도 할 수 있는 작업 중 하나기도 하다. 특히 이번 주 금요일에 있을 행사를 계기로 간단한 원고를 쓰면서 요즘 역사쓰기엔 좀 더 버닝하고 있는 상황인데…

나는 역사쓰기가 트랜스/젠더/퀴어가 마치 근래에 등장한 존재로 독해되는 지점에 문제제기하며 그 역사를 복원하고, 기존의 역사를 재구성/상대화하는 작업이라고 믿고 있다. 즉, 퀴어의 역사화일 뿐만 아니라 역사의 퀴어화다. 늘 여기까지만 고민했는데..

적어도 9월부터 이곳을 방문하는 분은 아시겠지만, 이번 학기에 “여성과시간” 수업을 들으면서 시간과 관련한 고민을 자주 한다. 그러며 나는 늘 시간을 말해왔지만 그럼에도 시간적 사유를 하지 않았음을 깨닫는 등 고민을 확장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받고 있다. 그리고 바로 이 고민이 역사쓰기와 결합하자 역사 쓰기의 또 다른 의미가 떠올랐다. 다름 아니라 시간적 존재로 타자를 이해함이다.

많은 경우, 타자는 시간이 없는 존재로 독해된다. 예를 들어 오랜 만에 만난 지인이 트랜스젠더나 바이/양성애자, 동성애자 등에게 “넌 아직도 그렇게 사니?”라고 말하며 철없는 존재로 대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퀴어를 비롯한 타자를 과거에 고착된 존재로 여김과 같다. 혹은 케냐의 어느 부족의 삶을 TV 다큐멘터리로 본 다음, 그 다큐멘터리가 언제 제작되었는지와 상관없이 그 부족에 대해 혹은 케냐에 대해 안 것처럼 반응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이것은 그 부족이 과거에도 지금도 앞으로도 다큐멘터리에서 재현한 모습과 같을 것이라고 이해하는 것과 같으며 그 부족을 시간 없는 존재로 박제함과 같다.

역사를 쓴다는 건 타자를 시간적 존재로 재구성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바로 이것이 역사 쓰기의 중요한 의미기도 하단 걸, 깨달았다.

뭐.. 대충 이런 얘길, 사람책 말미에 했다. 이렇게 정리된 형태는 아니었지만.. 하하. ;;

한국 퀴어 관련 기록의 역사, 메모

잡담처럼.. 짧은 메모 형식으로..

-동성 간 결혼 관계와 관련한 기록은 오늘날 사람들이 짐작하는 것보다 훨씬 오래되었다. 그리고 그것은 쉬쉬해야 하는 사건이 아니라 대중에 꽤나 널리 알려진 사건이었다.
-LGBT와 관련한 기록은 대체로 1990년대에서 시작한다는 믿음이 만연하다. 현재 사람들이 그나마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또 정리가 된 자료는 실제 1990년대가 주를 이룬다. 하지만 LGBT와 관련한 기록은 그 보다 훨씬 오래되었다.
-비이성애자 여성, 혹은 레즈비언이나 바이 여성과 관련한 기록은 예상대로 적다. 그리고 레즈비언을 명시하는 기록과 바이/양성애를 명시하는 기록의 개수엔 큰 차이가 없다. 다른 말로, 레즈비언 공동체가 단단하게 형성되었는데 거기에 바이가 뒤늦게 참가했다는 식의 역사 구술은 지금 시점에서 만들어낸 망상이다. 20~30년 전엔 이런 구분이 별 의미가 없었다. 그냥 같이 있었다.
-mtf/트랜스여성이나 게이 남성과 관련한 기록은 적지 않은 편이다. 사람들이 예상하는 수준에선 훨씬 많을 수도 있고 엄청 적을 수도 있다. 어떻게 예상하느냐에 따라 다른 건 당연한데…
-공동체 외부에서 생산된 기록으로만 따질 때, 트랜스젠더와 동성애, mtf/트랜스여성과 게이를 분명하게 구분하려는 시도는 1980년대 중후반부에 본격 등장한다. 이유는 짐작할 수 있는 그것.
뭐.. 일단 대충 이 정도.. 좀 더 상세한 내용은 다음에.. 흐 ;;

영화, 역사를 그리다: 트랜스내셔널 한국의 퀴어 영화와 그 맥락

재밌는 행사가 있어 홍보합니다…
대학교에 있는 연구소에서 퀴어-영화 관련 행사를 주최한 게 얼마만인지 모르겠네요.. 정말 오랜 만이라는 얘기를 들었는데… 암튼, 퀴어-역사-영화를 연결한 내용이니 흥미로울 거예요… 흥미롭겠죠? 끄응.. ;;;;;;;;;;;;;;;;;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HK 트랜스내셔널 인문학 사업단에서는 <영화, 역사를 그리다: 트랜스내셔널 한국의 퀴어 영화와 그 맥락>이라는 제목으로 영화상영회 및 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이 행사는 1990년대 이후 지난 25년 간, 제한적이지만 한국사회의 공공영역에 드러나기 시작한 “퀴어”라는 비규범적 섹슈얼리티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젠더 다양성의 모습을 역사적으로 조망하고자 하는 다학제적 시도입니다. 이에 한국 퀴어에 대해 여러 방면에서 다양하게 활동했던 학자, 활동가, 영화가, 예술가들이 모여, 역사가 그 동안  간과해왔던 한국 퀴어의 역사를 다각적으로 조망하고자 합니다.  이 행사는 예술과 학술의 경계를 허물고, 영화를 만드는 것이 역사를 쓰는 하나의 방식임을 심도있게 논의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
영화, 역사를 그리다: 트랜스내셔널 한국의 퀴어 영화와 그 맥락
Film Making as History Making: Transnational Korea in Queer Contexts
일시: 2013년 10월 11일 (금요일, 오전10시-오후 6시)
장소g: 한양대학교 박물관 2층 세미나실
주최: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HK 트랜스내셔널 인문학 사업단
(문의: 02-2220-0545)
후원: 한국연구재단
 
 
I.   퀴어의 삶 드러내기, 그 트랜스내셔널 계보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From Subjectlessness to Subjecthood: A Transnational History of Queer Visibility in Contemporary Korea, 1990s-Present
10:00-10:10   영화로 퀴어 역사를 그린다는 것
                          토드 헨리 (University of California, San-Diego/한양대/이화여대)
10:10-10:50   강연: 한국 퀴어 커뮤니티의 역사  한채윤 (한국성소수자문화인권센터 대표)
10:50-11:30   토론 및 질의 응답   사회: 정연보 (한양대)
11:30-1:00     점심
 
II.   남자 없는 세상: 1950-60년대 여성 국극
A World without Men: Yosŏng Kukgŭk of the 1950s and 1960s
1:00-2:30     영화 “왕자가 된 소녀들” 상영 (2011/79m; 김혜정 감독)
2:30-3:30     감독과의 대화 및 토론   사회: 박정미 (한양대)
                       김혜정 감독
                       토론: 지혜 (연세대), 김청강 (한양대)
3:30-3:50      휴식
III.   가부장제의 그늘: 1970-80년대 퀴어의 삶
The Margins of Hetero-Patriarchy: Queer Life during the 1970s and 1980s
3:50-4:40      영화 “이발소 이씨” 상영 (2000/21m; 권종관 감독)
                        영화  “올드랭 사인” 상영 (2007/26m; 소준문 감독)
4:40-6:00      감독과의 대화 및 토론   사회: 토드 헨리 (UCSD/한양대/이화여대)
                        권종관 감독, 소준문 감독
                        토론: 루인 (트랜스/젠더/퀴어 연구소), 김경태 (중앙대)
6:00-8:00      와인파티